아리스토텔레스 경제를 말하다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42
홍기빈 지음 / 책세상 / 2001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가 알고 있는 삶의 모습은 도대체 어디에서 시작된 것일까? 한없는 궁금증에 목마를 때가 있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대단히 ‘철학적’이다. 인간의 본성과 역사에 대한 고찰 없이는 말할 수 없으며 간단하게 한 마디로 정리할 수도 없다. 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로 요약되는 그 실체 없는 삶에 복무하고 있는 우리들의 모습을 가만히 들여다보자.

  그 한 복판에 서 있는 것이 ‘경제’이다. 일본의 번역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용어에 대한 개념이 잘못되었다는 지적이 있다. 하지만 우리에게 경제는 생활이며 생존의 조건이며 때로는 생의 궁긍적인 목적이다. 일상에서 사용하는 경제라는 용어는 맥락에 따라 전혀 방식으로 다가온다. 그래서 경제를 말하는 방식이 경제학자나 공무원이 다르고 시장 상인이 다르며 월급쟁이가 다르다.

  경제를 살려야 한다고 외치는 대통령에게는 또 다른 것일 수도 있다. 누가 죽였는지 모르지만, 언제부터 병들어 죽어가고 있는지 모르지만 초지일관 경제를 살려야 한다고 주장하는 대통령에게 경제를 살린다는 의미는 무엇인가 궁금하다. 누구를 위한 경제이며 어떤 방식으로 경제를 살릴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인지 그 주장과 논리를 듣고 있노라면 경제와 더불어 역사와 정치가 함께 죽어가고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경제를 누구에게 물을 것인가? 홍기빈은 <아리스토텔레스, 경제를 말하다>를 통해 고대 그리스 철학자에게 경제를 묻고 있다. 경제는 도대체 무엇인가에 대해 아리스토텔레스는 우리에게 답을 줄 수 있을까? 홍기빈이 희랍의 현자에게 경제를 묻는 이유를 곰곰이 생각해 볼 만하다.

  이 책은 경제학에 관한 역사적 고찰에 바쳐지고 있다. 학문적 관점에서 이론적으로 풀어내는 경제학은 실생활에서 적용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거시적 관점이든 미시적 관점이든 경제학은 실제 운용되는 과정에서 인간의 삶을 지배할 수 있을 만큼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 또한 독립적인 분과학문으로 기능할 수도 없다. 정치와 사회 현상을 떠나서 경제를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은 자명한 논리이다.

  이 책은 현대 경제학의 정의에 대해 알기 쉽고 설명하고 있으며 그 문제점들에 대해서도 고려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에게 경제는 무엇이며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 것인가에 대해서도 스스로 질문을 만들어낸다. 물론 독자의 몫이지만 해답이 쉽지만은 않다. 경제라는 말을 역사적으로 고찰해 보는 부분도 유용하지만 시장을 발명한 그리스인들의 생활과 ‘행복’에 대해 그리고 민주주의의 발생과 폴리스의 정치적 상황들을 통해 경제 문제를 풀어내는 부분이 인상적이다.

  아리스토텔레스와 인간의 경제 부분은 이 책에서 핵심적인 부분에 해당한다. 이미 다른 책을 통해 화폐의 기능과 자본주의의 함수 관계에 대해 이해한 독자라면 흥미있게 접근할 수 있다.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한 조건으로서 화폐와 인간의 욕망에 대해 고민해야 하고 당연히 유한한 재화 속에서 무한한 욕망을 발견하는 일은 어렵지 않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활동을 프락시스praxis와 포이에시스poiesis로 구별한다. 후자는 ‘무언가를 생산하는 행위’이고 전자는 ‘행위 그 자체를 목표로 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 P. 111

  인간의 욕망은 프락시스든 포이에시스든 하나로 귀결될 수 없다. 두 가지 욕망의 덩어리로 엉키고 뒤섞여 시너지 효과를 발휘한다. 하나의 욕망이 채워졌다고 해서 갈증이 해소되지도 않고 완성되지도 않는다. 어차피 채워질 수 있다면 ‘욕망’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워지지도 않았을테지만 말이다.

  어쨌든 최소한의 노력으로 희소한 가치를 얻으려는 유한한 가치에 대한 무한한 욕망이 인간의 경제 행위의 기본 조건이 된다는 생각은 여전히 유효하다. 하지만 과연 그것만으로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이 조건 지워지고 많은 사람들의 삶을 ‘행복’하게 할 수 있을까? 물론 불가능하다.

  그래서 저자는 중농주의자들과 애덤 스미스, 독일 역사학파, 마르크스, 베블린, 폴라니, 케인스의 이론들을 소개하며 과연 우리에게 지금 현재의 관점에서 필요한 관점과 행동에 대해 간접적으로 고민을 요구한다.

경제를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각이 존재하고 때로는 정책 입안자와 실물경제를 움직이는 사람들 사이에 갈등이 생기게 된다. 비정규직으로 대표되는 우리 사회의 가장 심각한 문제점을 간과하고 있는 지금 우리에게 과연 어떤 경제가 필요하며 진짜 경제를 살리기 위한 방법이 무엇인지 다같이 고민만 한다고 해결될 일인가?

  아리스토텔레스가 다시 살아난다 해도 대한민국의 경제를 살릴 수 없고 그 시대에 요구되던 상황과 정신을 오늘에 되살릴 수도 없다. 다만 과거에게 길을 묻고 가장 현명하고 지혜로운 방법과 가치는 이미 오래전부터 모두가 알고 있지 않았을까? 방법을 몰라서가 아니라 목적이 다르게 때문이 아니었을까? 서로의 이익이 다르고 지향점이 다르기 때문이었을까?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이 책은 과거의 오래 된 경제에 대한 기억을 들추고 있다. 당대의 삶과 생의 목적을 돌아보는 엉뚱한 작업을 통해 혹은 화폐와 자본주의의 기원에 대해 살펴보는 일이 지금 우리의 삶을 돌아보고 진짜 경제가 무엇인지 고민해 볼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싶다.


080721-08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