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고전 공부는 대학에 다니거나 대학을 졸업한 사람들만이 하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삶과 세계의 근본적인 바탕에 관심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할 수 있고 또 해야만 한다. - P. 14.

우리가 어떤 책을 읽을 때 그 책을 이해하는 가장 기본적인 출발점은 그 책에서 사용하는 기본적인 개념의 뜻을 정확하게 아는 것이다. - P. 26

철학은 한 수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어려운 문제를 우리 함께 고민해 보자는 시도이다. 그래서 환상적이지 않다. 그렇다고 한마디로 딱 부러지는 구원의 메시지도 없다. - P. 34

어떤 사람들은 플라톤이 민주주의가 최고의 가치인 시대에 독재를 찬양했으며, 그에 따라 그의 책을 읽을 필요가 없다고 말하기도 한다. 독재를 찬양한 건 맞는 말이다. 그러나 플라톤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내면의 가능성을 최대한 발휘해서 존재의 변화를 주장하고 있음을 아는 것이 더 중요하다. 그것이 플라톤 읽기의 요체다. - P. 80

고전은 역자해제를 먼저 읽어서 참조한다는 것을 유념하기 바란다. - P. 100

우리가 일상적으로 저지르는 잘못 중에서 가장 흔한 것은 범주 착각의 오류이다. 가령 이명박이 성공한 CEO 대통령 후보로 지지했다는 사람들의 생각을 살펴보자. - P. 113

글을 쓸 때는 증거가 많고 결론이 간결해야 한다. 그리고 본문의 내용과 많이 벗어난 멋있는 말을 마지막에 장식해서는 절대로 안 된다. - P. 114

논술시험 볼 때 느낀 점 쓰면 감점이다. 100명이 논술을 보면 90명은 느낀 점을 쓴다고 한다. 객관적 사실만 있는 그대로 서술해서 전제와 결론의 균형을 맞추는 사람만 점수를 받는다. 보고서는 100퍼센트 서술로 이루어져 있다. - P. 115

보고서는 앞서 말했듯이 어떤 책이 다루고 있는 내용 중에서 좁은 범위의 주제를 정한 다음 그 내용을 책에 있는 그대로 정리하는 것이다. 소논문은 보고서와는 달리 자신의 주장이 들어가는 글이다. 그렇지만 보고서와 크게 다르지 않다. 주장을 정해 놓고 그것을 뒷받침하는 증거들을 모아서 규모 있게 제시하는 것이 조금 다를 뿐이다. - P. 115

보고서든 소논문이든 자신이 서술하고 주장하는 주제의 범위는 좁을수록 좋다. - P. 115

먼저 좁은 범위의 주제를 잡는다. 그런 다음 해당되는 주 텍스트를 읽고 해당 주제에 대한 간략한 정리글을 쓴다. 이 개요를 가지고 참고문헌을 찾는다. - P. 116

인문학 공부하는 사람이 글을 쓰는 데 창의력은 중요하지 않다. 창의력이 뛰어난 사람은 인문학 공부를 하지 않는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창의력 뛰어난 사람은 돈 되는 일을 한다. 인문학은 보잘 것 없더라도 온전히 자기 것을 갖고자 하는 이들이 몸으로 때워가며 공부하는 거다. 그러니 창조적인 메시지를 넣으려 하지 말자. 진짜로 무서운 메시지는,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서술했는데 그 서술을 읽고 난 독자가 폭풍을 맞은 것처럼 떨게 되는 그런 것이다. - P. 117

지금까지 한 이야기의 핵심은 다음 네 가지이다. 소논문의 주제는 범위를 좁게 잡아라. 자신이 쓸 글의 목차를 짠 다음에 참고문헌을 찾는다. 참고문헌을 읽을 때는 필요한 부분만 발췌해서 읽는다. 글을 쓸 때는 메시지 강박증에 빠지지 말고 있는 그대로의 것만 서술해야 한다. - P. 1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