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의 겉과 속 2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0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시대가 변해가도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과 비판은 계속될 것이다. 강준만의 책은 그런 의미에서 유행에 대한 추적 조사 보고서가 아니라 비판적 안목을 제시하는 안내서의 역할을 한다. 적절한 시의성을 생명으로 하는 대중문화 들여다보기는 자칫하면 철지난 유행가 따라 부르기가 될 위험성도 내포하고 있다.

  <대중문화의 겉과 속 1>에서 다양한 매체와 미디어를 중심으로 폭넓은 문화 현상들을 분석했다면 <대중문화의 겉과 속 2>에서는 이론적 접근이 두드러진다. 두 책은 제목만 같을 뿐 별개의 책으로 묶여도 상관없다. 따라서 속편의 개념으로 읽을 필요가 없다. 물론 대중문화라는 공통 분모를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접근 방식은 새롭다.

  1권에서는 신문과 방송, 인터넷 등 매체별 특성과 그것을 바탕으로 한 문화 현상의 속성들을 뒤집어 보는 데 주력했다. 맥루한의 “미디어가 곧 메시지이다”라는 말을 인용한다면 매체의 속성 자체가 대중문화의 특징을 고스란히 드러낸다고 볼 수 있었다. 2권에서는 이러한 현상들이 나타나는 원인과 배경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머리말에서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데서 알 수 있듯이 미디어를 읽고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리터러시는 ‘문식성’이라는 용어로 번역되어 사용되기도 하는데 미디어에도 적용 가능한 개념으로 확대하고 있다. 피에르 부르디외의 아비투스, 장 보들리야르의 시뮬라시옹 그리고 미셀 푸코의 판옵티콘까지 다양한 개념들을 대중문화와 접목시켜 이해의 잣대로 사용하고 있다. 결국 문화의 확장된 형태 혹은 부분 집합으로서 역할을 할 수 밖에 없는 것이 대중문화라고 볼 수 있다.

  소비문화나 마케팅 측면에서 나타나는 현상들은 21C가 시작되면서 나타나는 현상들을 다양한 사례들과 더불어 정교하게 분석하고 있다. 행복을 돈 주고 살 수 있고 돈이 곧 민주주의인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들의 자화상은 하나의 문화현상으로 볼 수 없지만 자본이 대중과 결합되어 어떤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는지 쇼윈도에 비친 우리들의 자화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는 문화현상이 아니라 당연한 것으로 정착되어 버린 인터넷에 대한 분석도 지속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인터넷에 나타나는 다중인격이나 사이버 공간의 특성들을 살펴보고 하나의 권력으로 성장한 포털사이트나 경제 구조까지 점검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도 있다. 인터넷과 더불어 휴대폰은 우리에게 또 하나의 문화현상으로 자리 잡았다. 인터넷과 휴대폰이 없는 세상이나 생활을 생각해 본 적이 없는 세대에게는 그것이 없었던 시절을 상상하기 어려울 것이다.

  저자는 마지막에 ‘인터넷과 휴대폰의 경제학’을 통해 디지털 격차와 인터넷 시간에 대해 분석한다. 한국이 왜 두 분야의 강국이 되었는지 가볍게 넘길 수 있는 이야기들을 설명하며 책을 맺는다. 주로 ‘미디어’에 초점을 맞추고 대중문화 전반을 살펴보는 것은 이 책이 갖는 가장 큰 특징이다. 이것은 사회학이나 정치학으로 확산되고 전반적인 한국 사회를 조망할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문화는 결국 우리들 삶의 모습이다. 거미줄처럼 네트워크로 연결된 세상의 모든 현상들을 조망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무의미할 지도 모른다. 1권보다 체계적이고 심도있게 ‘미디어’를 중심으로 대중문화 현상들을 분석하고 있기 때문에 정제되고 집약적인 느낌이다.

  뒤늦게 2003년에 나온 책을 통해 과거의 시점으로 현재를 돌아보는 즐거움도 얻을 수 있다. 시간이 한참 흐른 후에는 당시의 풍속사를 기록한 책으로도 읽힐 만하다. 지금 나의 모습을 확인하고 싶다면 과거 혹은 다른 시대, 외부자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이 좋다.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삶의 모습을 완벽하게 보여줄 수는 없겠지만 지나간 시간들 속에서 변화해 온 현재를 확인할 수 있게 해 주는 책이다.

  이제 2006년에 나온 3권으로 마무리 할 차례다. 책 몇 권으로 우리 사회의 모습을 조망하는 것은 불가능하겠지만 여러 층위에서 살펴 볼 수 있는 기회는 제공해 줄 것이다. 모르고 휩쓸리고 알면서도 따라가는 것이 여러 사람들의 문화가 되고 사회를 이끌어 간다. 비판적 관점과 올바른 판단력은 아무도 만들어 주지 않는다. 스스로 만들어가며 고쳐 나가는 세상살이의 도구로서, 제 역할을 하기 위한 방패 하나쯤 가지고 싶다. 책이 방패가 될 수 있을지는 늘 의문이지만.


20080314-0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