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셸 푸코 ㅣ 살림지식총서 25
양운덕 지음 / 살림 / 2003년 8월
평점 :
미셸 푸코의 이름을 처음 본 순간 그 의미와 무관하게 코를 간질이는 맵싸한 풋고추가 생각났다. 강렬한 자극만큼 그의 인상 또한 선명하다. 단 한 올의 머리카락도 보이지 않는 헤어스타일(?)이 민망했기 때문이다. 외모로 사람을 평가하겠다는 말이 아니라 그저 우선 귀에 들리고 눈에 보이는 것에 대한 그와의 첫 만남에 관한 이야기다. 외계인에 가까운 느낌으로 그를 만나면서 글을 통해 만난 그는 더욱 그러했다. 프랑스인 특유의 난해하고 복잡한 문장, 상징과 은유가 풍부한 표현은 쉽게 이해되지 않았다. 다른 철학자의 글들에 비해 좀 나은 편이지만 역사적 관점, 특히 17~8세기 고전주의 시대의 관점에서 발원한 그의 사유의 세계를 따라잡기가 쉽지 않았다.
<감시와 처벌>을 거쳐 <광기의 역사>를 통해 이번엔 <성의 역사>를 만날 차례다. 순서와 무관하게 시간 날 때마다 한 권씩 손이 가는 이유는 탁월한 안목 때문이다. 세상을 바라보는 눈이 가르친다고 해서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아침에 찡그리며 눈을 뜨고 피곤에 지쳐 밤에 잠이들 때까지 나는 얼마나 많은 시간을 ‘생각’하며 보내는지 모르겠다. 일상에 대한 반추, 일을 하기 위한 고민 이외에 세상과 사람들에 대한 관심과 사유의 시간은 그리 많지 않다. 미셸 푸코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는 68혁명의 불명예를 안고 있지만 행동하는 양심과 실천하는 지식인이 아니라고 해서 아무것도 아닌 것은 아니다. 그를 위한 변명이 아니라 현재적 유용성에 대한 사유의 밑거름이다. 삼십대 초반부터 정점에 달한 그의 사유는 ‘역사’란 무엇인가에 대한 우회적인 답변이기도 하다. 불과 몇 백년을 거치면서 우리의 ‘신체’와 ‘권력’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탐구하기 위해서 그를 제외하고 생각할 수는 없다.
신체에 깃든 규율과 통제, 절차, 질서 등은 근대적 일상을 이해하기 위한 단초를 제공하고 있다. 군대와 학교에서 병원과 직장에서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우리들의 모습은 하나의 병영을 방불케 한다. 낙오자가 되지 않기 위해 이리 뛰고 저리 움직이는 우리들의 신체는 이미 보이지 않는 감시와 통제의 눈길을 벗어나기 어렵다. 시선은 하나의 권력이다. 무언의 억압과 규율을 만들어낸다. 신체를 조절하는 것은 효과적이고 특별한 장치들이 동원된다. 벤담이 개발한 판옵티콘과 광인을 다루는 수용소와 병원이 그것이다. 정상과 비정상을 나누는 기준 자체가 역사적 관점으로 판별해야 하는 변곡점이 되고 개인이 누릴 수 있다고 생각하는 자유의 한계는 점점 좁하지기만 한다.
양운덕의 <미셸 푸코>는 그의 저서들을 통해 천착해온 ‘신체’와 ‘권력’이 빚어내는 근대의 주체 문제를 거론한다. 권력을 보는 과점이나 근대적 신체를 만드는 규율의 기술, 신체를 훈련 시키는 권력 장치, 생명을 관리하는 성의 문제 틀에 대해 핵심적인 관심사를 설명해 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계몽주의에 대한 비판적 태도에서,
서구 역사에서 계몽은 진리의 진보와 자유의 역사를 결합시키는 시도였다. 즉, 계몽은 진리의 성장이 바로 주체의 자유를 확대시킨다고 믿는다. 푸코는 이런 믿음에 따라서 계몽에 찬성할 것인가, 반대할 것인가에 대한 선택을 강요하는 태도가 바람직한지를 질문한다. - P. 84
푸코의 질문의 핵심은 항상 냉소적이고 풍자적인 문장의 뉘앙스에 놓여있다. 대안을 제시하거나 이것이다라고 결론 내리지 않는 그의 태도는 판소리의 창자와 유사하다. 슬쩍 빗겨서서 딴지 걸고 돌아서 시침떼고 정확하고 날카롭게 핵심을 찔러놓지만 방향을 제시하거나 굵고 강렬한 목소리로 주장하지 않는다. 참 맥빠지는 게릴라 전술같은 글쓰기지만 궁금해서 견딜 수가 없다.
푸코는 스스로를 주체로 아는 개인들을 말하고, 행위하고, 사고하도록 만드는 사건들을 ‘역사적’으로 탐구하면서 고고학적이며 계보학적인 비판적 방법을 사용한다. - P. 85
필연적 역사라고 믿는 것들 사이에 구멍이 존재한다. 우리는 그것을 우연성이라고 부른다. 우연이 모여 필연이 되기도 하고 인연이 되기도 한다. 현재 사회 구성원들의 기계적인 작동원리와 역사 원칙들은 그렇게 우연적이 것들과 필연적인 실제 사이의 경계에서 비롯된 것인지도 모른다. 미셸 푸코는 그 경계를 밝히거나 그 언저리를 보여주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 것은 아닐까? 이제 그의 글을 좀 더 신경써서 읽어 볼 차례이다.
08010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