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 사진의 작은 역사 외 발터 벤야민 선집 2
발터 벤야민 지음, 최성만 옮김 / 길(도서출판)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기다리면 보고 싶은 책이 나온다. 신기하게도 발테 벤야민의 책들을 체계적으로 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며 이미 출판된 책들을 뒤적거리다 그만 둔 적이 몇 년 전부터 몇 번인가 반복되었다. 그러다가 이번에 도서출판 <길>에서 선집 10권이 출판되었다. 선집도 다 읽을 수 있을 지 모르겠지만, 끊임없이 인용되는 <기술복제 시대의 예술작품> 2판과 3판을 나란히 번역해 놓은 책이 나왔다. <사진의 작은 역사>와 함께 매체미학에 대한 대표적인 그의 논문을 보며 20세기 초에 촉발되었을 논쟁들과 예술에 대한 혼란스런 개념들에 대한 탁월한 안목을 확인하게 된다.

  1935년에 초판을 썼고, 1936년에 수정 보완된 제 2 판을 출판하려 했다. 그래서 제 2 판을 원판(Urtext)이라고 불렀다. 이후 독일어로 출간할 의도를 갖고 제 3 판을 쓰게되었다. 3판은 1963년이 되어서야 처음 출판된다. 현대 예술에 대한 미학적 접근의 출발을 의미하는 이 논문은 발터 벤야민의 입장에서 보자면 하나의 세계관이 깨지고 새로운 시대의 예술이 시작된 것에서 출발했을 것이다. 패러다임의 전환은 단순한 변혁과 커다란 흐름의 변화가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개념의 출발이다. 기존 예술의 전면적인 폐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혀 새로운 장르의 탄생과 과학 기술의 발달로 인한 변화는 가히 혁명적이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 중요한 개념인 아우라(Aura)는 신비적이고 비의적 요소로 유물론적 관점에서 브레히트나 하버마스의 비판을 판기도 했다. 하지만 “예술작품의 기술적 복제 가능성의 시대에서 위축되고 있는 것은 예술 작품의 아우라이다.(P. 47)”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아우라 자체에 대한 개념의 모호성 보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기술적으로 예술작품을 복제할 수 있는 시대를 맞이했다는 자각일 것이다. 예술작품이 이제 더 이상 예술로서 의미와 위상을 가질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위기의식의 발로는 아니었을까? 새로운 시대를 맞이한 ‘사진’과 ‘영화’의 탄생은 기존 예술에 대한 평가와 개념을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게 했다.

  의식에 근거를 둔 예술작품의 가치가 이제는 ‘정치’와 결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게 된 ‘영화’의 탄생이 이 논문의 기저를 이루는 정신은 아니었을까 싶다. 이 논문은 번역자의 평가대로 영화에 대한 이론이며 현대 예술론이고 현대인들이 인식하는 지각과 경험에 대한 이론과 일맥상통한다. 탁월한 한 편의 논문으로 사람들의 의식이나 관점의 변화를 이끌어 낸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시각과 개방적인 태도로 기존의 틀과 개념들을 반성적으로 돌아보았다는 데 의미를 두어야 할 것이다. 발터 벤야민은 이 논문에서 아우라가 사라진 시대의 예술작품에 대해 우려하면서 아우라를 이렇게 짧게 정의한다.

아우라란 무엇인가? 그것은 공간과 시간으로 짜인 특이한 직물로서, 아무리 가까이 있더라도 멀리 떨어져 있는 어떤 것의 일회적인 현상이다. - P. 50

  이제는 가정이나 직장 학교나 공공장소 등 어디에나 복제 미술품 액자를 걸어 놓고 있다. 원본 그림이 전시되고 기획적인 열리지만 사람들은 진품의 확인이나 진품 자체만이 가지는 고유한 아우라를 즐기러 가는 것 같지는 않다. 수많은 복제품을 통해 그 그림이 주는 이미지와 감상을 원본과 비교해 보거나 심지어 크기와 색감 실제 존재 여부의 확인에 불과한 지도 모른다. 그야말로 시뮬라시옹의 시대에 접어든 것이다. 원본 없는 복제품의 시대를 살고 있는 지도 모른다. LG 전자의 CF난 신문 광고가 보여주는 예술작품에 대한 모욕 혹은 장난은 자본주의와 상업예술의 아이러니를 보여주는 듯하다. 재밌고 즐거움이 미덕이 되는 시대에 예술작품은 원본과 복제품의 아우라가 아니라 일상과 예술의 경계를 허물어 버리는 데 더 골몰하고 있는 지도 모른다.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보다도 더 현실적인 예술과 그것을 무한 복제 가능한 시대에 예술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이 발터 벤야민에 의해 오랜 전부터 시작되었다.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사진의 작은 역사 외>는 복제가 가능한 예술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한 고민의 시작을 알린다. 이 논문과 관련되 저자의 노트의 메모가 이러한 생각의 단초를 제공한다.

새로운 것이 승리하는 것을 도와주는 가장 확실한 중개자는 옛것에 대한 지루함이다. - P. 219

  옛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이 승리할 수밖에 없는 지루함을 이겨내야 한다. 그것이 예술이든 그것의 복제품이든 말이다. 지루한 세상에 불타는 구두를 던지라고 외치는 시인의 말처럼 이제는 새로움과 낯설음이 미덕이 되어 버린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 예술이 주는 의미와 가치를 새삼 되짚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하는 책은 아닐까 싶다. 어쨌든 ‘사진’과 ‘영화’는 이제 예술이냐 아니냐의 논란을 넘어 우리의 일상을 가장 강력하게 지배하고 있으니까 말이다.


071229-15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