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서스 - 석기시대부터 AI까지, 정보 네트워크로 보는 인류 역사
유발 하라리 지음, 김명주 옮김 / 김영사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피엔스』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이스라엘의 역사학자 유발 하라리는 정보가 신이 된 세상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호모 데우스』와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으로 현재와 미래에 대한 조언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연결’, 즉 상호 접속된 네트워크를 의미하는 『넥서스nexus』는 컴퓨터와 AI가 만나는 네트워크 세상에 관해 이야기합니다. 진실이 사라진 시대, 기존 질서가 무너지는 현실을 날카롭게 분석한 역사학자의 통찰력이 돋보이는 책입니다.

아날로그 시대와 달리 지식과 정보는 특정 계층이나 지식인, 전문가의 소유물이 아니라 누구나 접근이 가능한 공공재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사회적 네트워크로 촘촘하게 연결된 세상에서 정보는 더 이상 지혜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이 같은 현실에 대한 경고와 우려를 담아 현실을 살피고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하고 있습니다. 전체주의와 민주주의 역사, 즉 과거를 통해 현재의 문제점을 살피고 예측 가능한 미래를 어떻게 준비할 것인지 묻고 있습니다. 물론 여기에는 인터넷으로 연결된 네트워크와 AI로 인해 달라질 세상에 대한 고민이 함께 담겨 있습니다.

우리는 책을 읽으면서 쉽게 답을 얻으려고 합니다. 하지만 좋은 책은 정답을 제시하는 게 아니라 머릿속에 물음표를 남깁니다. 호기심과 질문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비판적 사고력을 기르지 않는다면 글쓴이의 생각에 쉽게 동의하며 누군가 정해준 길을 걷게 됩니다. 유발 하라리는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대신 현상을 분석하고 그 원인을 꼼꼼하게 살핍니다. 대안과 해결은 책을 읽는 독자의 몫입니다. 미래는 개별 독자뿐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 구성원들의 대화와 합의를 통해 함께 만들어야 합니다. 이런 논쟁과 토론이 가능한 책은 지식의 축적 수단이 아니라 현실 개선의 도구로 기능합니다.

과학기술의 미래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벌어지는 변화와 위협을 극복하며 조금 더 나은 세상으로 한발 나아가기 위한 노력은 정치인과 전문가에게만 맡길 수 없습니다. 계속해서 평범한 시민들이 함께 고민하고 토론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의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다고 믿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