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빛과 멜로디
조해진 지음 / 문학동네 / 2024년 8월
평점 :
“태엽이 멈추면 빛과 멜로디가 사라지고 눈도 그치겠죠”
이미지image는 사진처럼 정지화면에 가까워 시詩에 어울린다면, 영화movie는 움짤이나 쇼츠처럼 어떤 순간을 포착하지 않고 앞뒤 상황까지 담아내는 소설을 닮았다. 추억이 빛바랜 흑백 사진을 닮은 레트로 감성이라면, 기억은 과거와 현재를 잇는 역동적 움직임에 가깝다. 어떤 이야기를 담기 위해서는 조해진의 말대로 빛이 피사체를 감싸는 순간이 아니라 그 순간에 담긴 기억 속의 서사를 풀어놓아야 한다. 현대 소설은 일시 정지와 되감기 혹은 재생을 반복하는 비디오 테이프처럼 때때로 과거를 소환하고 잊고 있던 순간을 포착하며 기억의 파편들을 환기한다는 점에서 고전과 달리 ‘오늘’을 사는 ‘나’를 돌아보게 한다.
『로기완을 만났다』, 『빛의 호위』 이후 다시 『빛과 멜로디』를 읽으면서 소설가만큼 나도 변했음을 감지했다. 한 작가의 작품 세계와 경향을 분석하는 일을 업으로 삼지 않았으니 조해진과 그의 소설에 논할 일은 아니지만, 나름의 빛과 색을 드러내기 위한 작업들이 계속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빛의 호위에서 한발 나아간 이야기는 조금 더 깊고 섬세하다. 다른 작품에서와 같이 현재는 과거와 조응하며 미래를 향해 나아갈 힘을 얻는다.
누구나 내일을 꿈꾼다. 오늘이 끝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소설을 읽지 않을 지도 모른다. 현재와 나른 시간과 공간을 꿈꾸거나, 나와 다른 타인의 삶이 궁금해질 무렵 해가 지고 바람이 불고 비가 내린다. 그 찰나의 순간을 포착하기 위해 조해진은 빛을 사용하고 먼지 묻은 사진을 꺼내든다. 독자는 기꺼이 희뿌윰한 희미한 기억 속으로 자신을 투영한다. 각자의 기억 혹은 추억을 들추는 일이 모두 즐거울리 없다. 타자를 향한 분노, 내면에 생채기로 남은 상처, 잊고 싶은 순간일수록 선명한 과거에게 등을 떠밀려 우리는 조금씩 앞으로 나아간다.
승준과 권은이 아니라 살마와 나스차, 리디아……. 우크라이나와 영국이 아니라 대한민국 어디든 유목민으로 살아야 할 운명을 안고 태어난 사람은 모든 독자 자신이다. 아슬아슬한 경계를 넘는 사람들 혹은 현실에 안주할 수 없는 삶은 특별한 경험, 소설 속 이야기가 아니라 오늘을 사는 우리들의 이야기다. 낯선 감각과 새로운 이야기가 아니라면 소설보다 재밌는 콘텐츠가 넘치는 세상이다. 책장을 넘기며 기대한 게 무엇이든 함부로 추측하고, 타인을 규정해서 스스로 무너지지는 말자. 소설은 소설일 뿐! 그래도 서사는 본능이니 굳이 숨기고 살 필요는 없으나 현실과 착각하지 않으면 그 뿐!
거울 속 세상과 그녀를 위해,
영원에서 와서 영원으로 가는 그 무한한 여행의 한가운데서,
멜로디와 함께……
빛이,
모여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