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처럼 사소한 것들
클레어 키건 지음, 홍한별 옮김 / 다산책방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멈춰서 생각하고 돌아볼 시간이 있다면 삶이 어떨까, 펄롱은 생각했다. 삶이 달라질까 아니면 그래도 마찬가지일까?

많은 소설가들이 짧게 쓸 시간이 없어 길게 쓴다. 클레어 키건의 첫 소설을 인상깊게 느꼈다. 읽었다고 표현하기 보다는 담았다는 말이 어울릴 것이다. 번역문장이 이러하니 원문을 읽는 독자들이 어떻게 흔들렸을지 짐작이 간다. 단단하고 반짝이는 작은 칼날처럼 예리하게 벼려진 문장들. 힘겨운 일상과 반복적인 일상에 파문을 일으키는 불가해한 힘은 어디에서 기인한 것일까.

1980년대 아일랜드에서 벌어진 실화를 사실적으로 고증할 필요는 없다. 일제 강점기 대부도 선감원은 1982년까지 복지시설로 운영됐으며, 대한민국의 삼청교육대도 1980년대의 일이다.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은 어떤가. 머나먼 유럽 어느 나라의 시대적 사회문제를 들여다보기 위해 이 소설을 읽는 한국인은 많지 않았으리라. 소설을 능가하는 오늘의 현실은 영화보다 극적이고 드라마보다 커다란 반전이 계속된다.

그래서, 어쩌면 1980년의 영국이 아니라 2025년 한국으로 치환해도 부족함이 없다. 개별 사건과 상황들을 차치하더라도 거대한 권력 혹은 종교 혹은 기득권 앞에서 무기력한 개인을 들여다 본다. 과연 그것은 사회 구조와 제도의 문제일까, 아니면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개인들의 노력과 용기의 문제일까. 팽팽하게 당겨진 시위처럼 긴장한 단어와 문장들은 나른한 봄날 오후의 햇살처럼 반복적이고 평화로운 일상과 대비된다. 잠시도 멈출 수 없는, 가족을 위해 헌신하는 빌 펄롱과 아내 아일린에게 세라는 전혀 다른 존재였을 것이다. 소설의 결말이나 작가의 의도와 무관하게 이 소설은 문체가 보여주는 힘을 극대화하여 하나의 사건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중편 소설에 장편보다 긴 여운을 새겼다. 5% 미만의 체지방을 유지한 군더더기 없는 몸을 상상했다. 불필요한 수사, 감정적 형용사와 부사가 아니라 주인공의 갈등과 사건의 본질에 접근하는 단순한 서사가 오히려 자극적이다. 이처럼 사소한 것들을 포기할 수 있는 용기는 가능한가. 아니, 이토록 중요한 본질을 외면한 채 삶은 계속될 수 있을까.

황동규는 「즐거운 편지」에서 “내 그대를 생각함은 항상 그대가 앉아 있는 배경에서 해가 지고 바람이 부는 일처럼 사소한 일일 것이나 언젠가 그대가 한없이 괴로움 속을 헤매일 때에 오랫동안 전해 오던 그 사소함으로 그대를 불러보리라.”라고 썼다. 사소한 일은 위대한 일의 다른 이름이다. 사소함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중요함이다. 이처럼 사소한 일은 이보다 소중한 일일 것이다. 그것이 무엇이든, 어떤 이름으로 명명되든 이 소설을 읽는 모든 독자에게는 구체적 진술이 아니라 자기 삶에 대한 상징적 암시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이 아니었을까.

“소설가 존 맥가헌은 좋은 글은 전부 암시이고 나쁜 글은 전부 진술이라고 말하곤 했습니다. …… 저는 두 번 읽어서 결말 부분이 앞으로 밀려와 다시 서사가 한 바뀌 돌아가기 전에는 이야기를 다 읽었다고 느끼지 않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