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AI와 공부한다 - 우리가 알고 있는 교육의 종말
살만 칸 지음, 박세연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뎀으로 PC 통신에 접속하던 기억은 인터넷과 스마트폰 시대로 말끔히 지워졌다.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거쳐 유튜브가 지식과 정보의 유통 패러다임을 바꿔놓아고 이제 생성형 AI 활용 단계에 접어들었다.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으니 관심을 가져야한다는 의무감도, 시대에 뒤처지는 게 아닌가 싶은 불안감도 아닌 적응과 필요의 문제가 되었다. chatGPT나 Gemini가 인간의 삶을, 아니 인간의 사고와 감정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예측하기 어렵다. 아날로그의 추억을 공유한 마지막 세대가 21세기에 마지막으로 생존했었다는 기록이 먼 훗날 어떻게 읽힐까.

살만 칸은 세계적인 수준의 교육을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교육재단의 설립자다. MIT에서 수학과 전기공학, 컴퓨터과학을 전공학고 하버드경영대학원에서 MBA 를 취득한, 방글라데시 부근 벵골 사람 살만 칸이 보는 AI는 활용해야할 도구가 아니라 보이지 않는 교육의 동반자다. 좋은 질문이 좋은 답을 얻는 방법이다. 소크라테스식 문답법이 어떤 식으로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할까. AI는 이제 획일적이고 수동적인 공교육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기능을 갖췄다. 단순히 교사들의 수업자료 제작에 도움을 주고, 업무를 덜어주는 차원이 아니라 맞춤식 개별학습이 가능할 수도 있다는 꿈을 꾸게 한다. 그랜드 투어를 시키며 개인 교습을 시키던 유럽의 귀족들이나 도제식 수업으로 될성부른 나무의 떡잎부터 가르쳤던 양반교육은 근대이후 국민교육 제도 안에서 경쟁과 서열화의 어두운 그림자를 남겼다.

누구나 홈스쿨링에 투자할 만한 시간과 노력을 갖출 수 없고, 학교교육의 문제를 인식했다고 1:1 개인 학습으로 전환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살만 칸은 AI의 활용여부에 따라 개인의 발달단계와 학습 능력에 따른 ‘공부’가 가능한 방법들을 제시한다.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12년간 전국의 동갑내기들이 기계처럼 1년에 한번씩 계단식으로 학습능력이 향상하거나 모든 과목에서 고루 흥미를 나타내는 건 불가능하다. 알면서도 어쩔 수 없이 운영되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과 학년제를 모두 무너뜨릴 수도 없다. 이제 무엇을 상상하든 실현가능한 현실의 토대가 마련되었으니, 남은 숙제는 과감한 선택과 방법의 변화다. 중지를 모으고 고민하며 합의하고 실천하는 데까지 또 얼마나 많은 갈등과 충돌이 벌어질까. 그렇지 않으면 늘 그러하듯 ‘지금 이대로!’

AI 시대에 인간에게 남겨진 일은 얼마나될까. 아니 ‘나’는 무엇으로 나로 살아갈 수 있을까. 인강 시대에 접어들었으나 수백억 연봉을 받는 1타 강사가 셀럽이 되는 대한민국의 현실을 살만 칸은 어떻게 바라볼까. AI보다 똑똑하거나 잘 가르칠 수 있는 교사가 있을까. 물론 기본 전제는 학습자 개인의 자발성이다. 상상을 현실로 만들 수 있는 시대를 살면서도 생각을 바꾸지 않으면 관습적 사고에 젖어 있다면 AI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사회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교사와 협력하는 AI, 교육의 목적과 방법을 뒤바꿀 AI, 시험과 진학과 자격증에 근본적 문제를 일으킬 AI,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무력화시킬 AI, 일자리와 미래 전망을 뒤흔들 AI에 대해 이제 조금 진지하고 적극적으로 생각할 시점이 되었다. 아니, 더이상 외면할 수 없는 시간이 찾아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기술의 이면, 눈부신 인공 지능 시대를 살아내는 힘은 여전히 인간다움이다. 오랜 시간을 견딘 인류의 지혜와 삶의 문제들은 하나도 달라지지 않았다. 방법과 태도를 변화시키는 건 도구의 활용보다 근본적인 질문과 철학적 고민들이다. 켜켜이 먼지쌓인 고전과 역사적 과정을 살피는 혜안은 기막힌 요약과 음성 대화로 즉답을 내놓는 퀴즈식 지식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이제 인류가 지향해야할 읽기와 쓰기의 미래도 혁명적 변화가 도래했음이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어느 시대에나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질문 앞에서 막막해진다. 변화를 감지하고 흐름을 읽으려는 이유가 시대에 뒤떨어지거나 경쟁에서 낙오하지 않기 위해서일까.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 너머를 고민하는 ‘공짜 공부’, 고민의 출발지점이 달라 살만 칸의 이야기에 힘이 실린다. AI 시대의 자기계발서가 아니라 우리 모두 언젠가 겪어야할 변화의 과정을 어떤 식으로 받아들이고 선택할 것이냐의 문제를 담고 있고 있는 인문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