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은 비켜 가지 않는다
줄리언 반스 지음, 정영목 옮김 / 다산책방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란한 소수의 작가보다 고요한 다수의 작가에 주목하는 독자들이 많다. 존 윌리엄스와 헷갈릴만큼 줄리언 반스의 목소리는 반옥타브 낮다. 적어도 내겐 그렇게 들린다. 우연히 소설과 미술책 몇 권을 읽다가 제목에 ‘우연’이 들어 있어 손이 갔다. 칼 메르시어의 『리스본행 야간열차』보다 같은 제목의 황인숙 시집을 먼저 읽은 것처럼 닐이 시간을 거슬러 엘리자베스 핀치를 추억하며 그의 삶을 추적하자 문두스가 파라두를 따라 가는 여정이 먼저 떠올랐다. 어차피 소설이 누군가의 삶, 어느 순간의 진실, 어떤 공간에 비밀을 밝히는 것이라면 인간과 시간과 공간이 어떻세 서로 다르게 조합되는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지금-여기-나’가 아니라면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대학에서 ‘문화와 문명’을 가르치는 엘리자베스 핀치Elizabeth Finch(EF)는 독신으로 살다 세상을 떠난다. 강의를 듣던 닐은 EF가 세상을 떠날 때까지 20년 간 일년에 두 세번쯤 75분 정도 점심으로 파스타를 먹는다. 두 번 이혼했으며 자식이 셋인 닐은 EF가 세상을 떠나고 자신에게 그녀가 책과 기록을 남겼다는 사실을 알고 EF의 오빠 크리스토퍼 핀치와 친구들에게 EF에 관해 묻는다. 그러다 율리아누스와 에픽테토스를 만난다. 에드워드 기번의 『로마제국 쇠망사』를 인용하며 서른 한 살에 죽은 J(율리아누스)의 삶을 추적하는 과정은 액자 속의 액자처럼 소설의 중층 구조를 이룬다. 그가 살던 시대와 예수 그리스도 그리고 인류의 역사를 톺아보는 이야기는 EF의 생각을 추론하는 형식으로 작중 화자 닐이 서술한다.

소설에서 작가가 하고 싶은 말은 분명하게 들린다. EF와 닐 그리고 크리스토퍼 핀치와 닐의 친구들 몇몇이 등장하지만 소설의 주인공은 EF도 닐도 아니다. 두터운 액자 속에 엽서만한 그림처럼 율리아누스가 놓여 있다. 저 머나먼 과거의 이야기, 인류의 역사를 뒤흔들만한 작은 사건과 한 인간에 대한 오해. 가정법으로 후회를 곱씹는 어리석음이 인간의 숙명이라면 줄리언 반스는 EF를 통해 율리아누스 혹은 이후의 수많은 닐들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싶었나보다.

안다고 달라지나. 모른다고 불행한가. 활자를 따라 걷는 사람들에게 아주 조용하고 차분한 목소리를 들려주는 작가들에게 매료되는 사람들이 있을 뿐이다. 흔들림없는 편안함은 침대가 과학이라 외치는 어느 가구 회사의 슬로건이 아니라 불안과 공포를 숙명처럼 안고 사는 현대인의 꿈인지도 모른다. 이미 정해진 길을 걷고 싶다면, 이미 결정된 미래를 알고 살던 시대를 우리는 이미 통과하지 않았던가. 자유를 누리려면 불안의 무게를 견뎌야 하는 법이다. 배교자로 낙인찍힌 율리아누스의 이야기가 아니라 왜 타인을 향한, 아니 다른 종교에 대한 분노와 멸절을 누가 가르쳤을는지 묻고 있는 줄리언 반스의 목소리는 크지 않다. 그렇다고 해서 이 소설이 반종교, 기독교에 대한 오해를 위해 쓰여지지 않았다는 건 충분히 짐작할 수 있지 않은가. EF와 닐의 이야기로도 충분하고 율리아누스가 아니어도 소설은 성립한다. 이미 세상을 떠나버린 EF 삶이든, 고대 로마의 황제 이야기든, 남은 생을 또 어떻게 살 것인지 고민하는 닐이든 상관없다. 비온 뒤에 해가 떴고 우리도 또 내일을 살아야 할 테니, 소설 속의 인물들과 현실을 살아내야 하는 우리는 별반 다르지 않은 처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