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좋은 이야기는 그림과 관념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림과 관념이 많이 혼합되어 있을수록 이해가기가 한결 쉽다.”
헨리 제임스의 『기 드 모파상』중에서
그림도 이야기처럼 우리에게 정보와 지식을 제공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사고의 과정에는 반드시 이미지가 개입한다고 했다. - P. 14
형식적으로 말하면 이야기는 시간 속에 존재하고, 그림은 공간 속에 존재한다. - P. 20
우리가 보는 것은 우리 자신의 경험에 의해 해석된 그림이다. 베이컨의 지적대로, 불행인지 다행인지 모르지만 우리는 이미 본 적이 있는 형태나 모양과 비슷한 것만 볼 수 있다. 한마디로 아는 만큼 보는 것이다. - P. 23
예술작품이 만들어내는 이미지는 이중적인 인식과정을 거친다. 먼저 예술가가 상상했던 이미지가 존재하고, 나중에 그것을 감상하는 사람들이 느끼는 이미지가 존재한다. - P. 26
모든 예술작품은 끝없는 해설과 비평을 통해 점점 그 의미와 가치가 증폭된다. 따라서 예술작품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그 동안 누적되어 온 해설과 비평들을 한 꺼풀씩 벗겨내야 한다. 그런 다음에야 비로소 각자의 관점에서 작품을 이해하게 된다. 이처럼 작품을 감상하는 궁극적인 실체는 개인이다. - P. 30
2.
“침묵을 복구하는 것이 사물들의 역할이다.”
새뮤얼 베케트의 『몰로이』중에서
유진 이오네스코(1912~1914, 루마니아 태생의 프랑스 극작가)가 자신의 희곡에서 “언어는 침묵이 전달하고자 하는 것을 방해한다”고 말한 것은 20세기에 들어와서다. - P. 44
3.
“장기판을 주제로 한 수수께끼를 낼 때 말하면 안 될 단어는 뭘까?”
나는 잠시 생각한 뒤 “그야 장기라는 단어죠”라고 대답했다.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의 『갈림길의 정원』중에서
4.
“…오직 카메라의 렌즈만이 진실이다. 렌즈는 그 무엇도 가로막을 수 없는
단단하고 확고한 이미지를 제공한다.”
훌리오 코르타사르의 『악마의 군침』중에서
5.
“인간은 피부를 쓰고 있을 때에만 인간이다. 피부를 벗겨내고
해부하면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것과는 전혀 다른 모습,
곧 이해할 수 없는 물질로 이루어진 기계장치가 드러난다.
하지만 그것이 바로 인간의 본질이다.”
폴 발레리의 『노트』중에서
6.
“다른 종류와 형태로 변한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를 전하는 것이 나의 목적이다.”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중에서
오늘날의 이미지는 대부분 효율성과 이익, 감각적 만족을 위한 성적 표현이라는 공통양식을 지닌다. - P. 186
예술이나 철학 혹은 과학이나 의학 모두 인간이 결국에는 죽어 해골이 될 수밖에 없다는 현실을 직시한다. 이 해골은 클라라뿐만 아니라 바로 우리 곁에 서 있다. 이것은 우리가 겪게 될 운명이다. 아슬아슬한 줄타기는 죽음의 순간에 끝난다. 살아 있는 우리도 죽음의 줄타기를 하고 있는 클라라의 곁에서 순서가 오기를 기다린다. - P. 224
다만 아무런 정보도 갖고 있지 않은 관찰자의 한 사람으로서 작가의 의도에 맞든 맞지 않든 나름대로 그림을 이해할 뿐이다. 나는 여러 자료를 참고해 내가 만들어낸 의미를 작품에 부여한다. 내 해석이 맞든 틀리든 나의 생각을 신뢰할 수밖에 없다. - P. 225
스페인 철학자 미구엘 데 우나무노(Miguel de Unamuno)는 “존재는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 P. 228
우리 시대의 예술언어는 의미가 분명하지 않을뿐더러 개인의 해석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진다. 그림의 본래 의도와 상관없이 때와 장소, 또한 관찰자에 따라 새로운 해석이 가해지게 마련이다. - P. 229
7.
“모든 것이 제대로 생겼는지 보려고 이 거울, 저 거울을 아무리
들여다 보아도 만족할 수 없다.
나는 세상이 만들어지기 전의 내 얼굴을 찾는 중이다.”
W. B. 예이츠의 『젊으면서 늙은 여인』중에서
예술작품은 우리에게 감동과 영감을 주는 창조행위다. 그림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결코 말로 다 표현할 수는 없다. 물론 예술작품은 해석될 수 있다. 왜냐하면 그것도 역시 경험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의 이해를 초월하는 예술작품의 본성 때문에 완전하고 결정적인 해석은 결코 존재하지 않는다. 예술작품은 많은 것을 시사하면서도 동시에 애매모호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 P. 230
모든 초상화는 어떤 점에서는 관찰자를 비추는 자화상이다. - P. 235
만일 모든 초상화가 관찰자를 비추는 거울이라면, 관찰자는 그 초상화를 비추는 또 다른 거울이다. - P. 269
8.
“동물들, 학살당한 동물들이 보인다. 내게 있어서는 그것이 전부다.
하지만 대중에게는 각자 보고 싶은 것을 볼 수 있는 자유가 있다.”
피카소의 <게르니카>에 대해
9.
“오직 보이지 않는 것만이 우리를 감동시킬 수 있다.”
테오도르 주프루아의 『미학 강좌』중에서
10.
“건축은 생각의 표현방식이다.”
르 코르뷔지에의 1936년 9월 23일자 편지에서
11.
“뼈대로만 존재하면서 피라미드처럼 덩치만 클 경우
영속성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토머스 브라운 경의 『항아리 무덤』중에서
12.
“그것이 이전에 존재했든 아니든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진정한 애정이
지니는 성스러움과 상상력의 진실, 곧 상상력은 미(美)를 통해 진리를
포착해 내야 한다는 점 외에는 아무것도 확신할 수 없습니다.”
존 키츠가 벤저민 베일리에게 보낸 1817년 11월 22일자 편지 중에서
“극장은 진실을 비추는 거울이다.”
아우구스토 보알의 『카데르노 데 아노타송이스』중에서
그림이든 조각상이든 결국 모든 형상은 망막을 현혹시켜 발견이나 기억의 환상을 야기하는 얕은 속임수에 지나지 않는다. 이는 마치 우리가 입자 하나하나마다 우리의 얼굴과 목소리를 담고 있는 미립자로 이루어진 무한소의 나선에 불과한 것과 마찬가지다. - P. 432
운이 좋다면 우리는 그 안에서 진실의 작은 조각을 발견할지도 모른다. 어떤 책을 막론하고 예술작품 속에 담긴 진실을 따라잡기에는 한계가 있는 듯하다. 반신반의하면서 되는 대로 아무렇게나 적어 내려간 이 책도 예외가 아니다. - P. 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