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율리시스 1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239
제임스 조이스 지음, 이종일 옮김 / 문학동네 / 2023년 12월
평점 :
『율리시스』는 두 민족(이스라엘-아일랜드)의 서사시인 동시에 인체의 순환이자 하루(생활)에 대한 작은 이야기입니다. - 제임스 조이스가 쓴 ‘편지’ 일부
가끔 그런 생각을 한다. 죽는 순간 자기 삶의 모든 과정이 주마등처럼 스친다는데, 그중 몇 권의 책이 마지막 순간에 떠오를까. ‘가장’ 인상 깊었던, 재미있었던, 감동적이었던 책을 아직 잘 모르겠다. 모든 순간에 각각의 깊이와 속도로 몰입했던 책들 사이에서 언제나 길을 잃거나 오솔길을 발견한 듯하다. 거대한 숲을 이루고 있는 각각의 나무 사이에는 틈이 있다. 그 틈 사이로 빛이 들거나 알 수 없는 검은 침묵이 놓여 있다. 질문에 답하지 않는 작가, 고통스런 외침을 외면하는 저자, 갈급하게 새 책을 뒤적이게 하는 문장, 멍한 눈길로 푸른 하늘만 쳐다보게 했던 시인을 떠올릴까. 발터 벤야민은 《기술복제 시대의 예술작품》에서 “새로운 것이 승리하는 것을 도와주는 가장 확실한 중개자는 옛것에 대한 지루함”이라고 선언했다. 사진기와 영화가 예술가와 작가들을 불안하게 했을까. 아우라가 사라지기 시작한 위기의 시대에 에피파니를 경험한 제임스 조이스는 『젊은 예술가의 초상』을 통해 소설의 위기를, 아니 예술의 종말을 예감했을까. 죽기 전에 읽지 않아 못내 아쉬웠던 책의 목록에 남겨질 뻔한 책들을 이제 하나씩 만나고 있다. 그중 하나가 『율리시스』다.
그러나 읽었다,라는 독서 경험 외에 무엇이 남았을까. 소설의 역할과 기능을 떠나 재미와 감동이라는 본질적 이유를 찾을 수 없는 문학 작품들에 대한 태도를 결정하기 어렵다. 단순히 어렵다거나 이해되지 않는다는 차원이 아니라 개별 독자들을 설득할 명분에 관한 이야기다. 문학사에 남긴 뚜렷한 영향은 대개 이후에 등장하는 작가들에게서 그 흔적을 찾기 마련이다. 낯설고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는 소설가와 시인에게 오스카 와일드의 말대로 “일관성은 상상력 없는 자들의 마지막 피난처”라고 하니 옛것에 대한 지루함을 견디고 상상력을 발휘한 작가들의 ‘고전’은 보편성을 확보하거나 충격적일 만큼 새로워야 한다. 이 책의 명성에 걸맞은 편견을 걷어내고 읽어보자. 누구나 곧 잠이 들 것이다.
『율리시스』 출간 102주년, 완독 후에 감상은 ‘이 소설을 읽은 독자보다 이 책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사람이 더 많을 것’이라는 농담으로 대신하고 싶다. 연구자들을 위한 소설이란 다양한 문학적 실험들, 상징과 비유로 가득한 표현과 언어유희, 반영론적 관점에서 살펴야 하는 장치와 비교문학의 요소 등이 포함된 작품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이 한 권의 소설로 학위를 받을 사람은 아직도 많이 남아 있겠다. 제임스 조이스가 스스로 “끔찍한 괴물소설”이라 불렀던 이 소설은 평행이론으로 시작해야 한다.
해설에서 이종일은 이를 ‘호모 평행’이라고 명명한다. 그리스 고전 《오디세이아》와의 유사성은 제목, 구성, 인물 등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소설을 읽으려는 독자는 ‘호모 평행’으로 풀어 놓은 각 장에 대한 해설과 등장인물부터 읽는 것이 좋다.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단 하루에 벌어진 일이라는 사실은 그리 놀랍지 않다. 우리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통해 순간을 포착한 작가의 눈에 매료되거나 그 미친 디테일과 치밀한 묘사에 벌어진 입이 다물어지지 않아 침을 흘린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블룸과 그의 아내 몰리, 친구 스티븐을 중심으로 집을 떠나 방황하다 귀가하는 원점 회귀형 혹은 여로형 구조를 간파하기도 어렵다. 정확한 시간과 동선은 해설을 통해서야 겨우 파악했기 때문이다. 열여덟 개의 장은 각각의 에피소드로 기능하면서도 부분으로서 전체의 일부를 이룬다. 1장 텔레마코스부터 18장 페넬로페까지 각 장의 제목은 오디세우스의 경로를 따라간다. 블룸과 몰리 그리고 스티븐이 오디세우스와 페넬로페 그리고 텔레마코스에 대응하는 듯하지만 무작정 ‘호모 평행’을 따라가면 이 소설을 고전 패러디에 불과한 작품으로 읽는 오류를 범할 수도 있다. 어쨌든 소설의 흐름은 ‘시간’의 축 위에서 벌어지는 개별적 사건으로 유기적 결합 없이 파편화된 종말에 이른다. 그 결말은 어떤 의미도 추측도 가능하지 않은 ‘무의미의 축제’처럼 여겨진다.
어쩌면 한국의 독자들은 자연스럽게 문학 시간에 배웠던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을 떠올릴지 모르겠다. 《천변풍경》등 당대 현실을 그대로 담아 고현학考現學이라 할만큼 마치 사진처럼 풍경을 담아냈던 박태원이 이 소설을 완독했는지 확인할 수 없으나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합리적 추측은 충분히 가능하다. 어차피 소설은, 아니 작가는 인간과 세계에 대한 분석과 해석에 천착할 뿐이다. 현실을 추동하는 힘을 가진 리얼리즘 문학이 없지 않으나 대개 독자는 변화와 실천이 아니라 불가해한 삶의 이면, 그 진실을 파악할 수 없는 인간 삶의 부조리를 위로받기 위해 책장을 넘기는 게 아닌가.
그런 면에서 읽는다면 제임스 조이스가 시도한 거의 모든 형식적 실험과 잡학다식한 내용으로 독자의 의식을 무아의 경지로 풀어놓고 무의식의 세계를 따라가는 ‘재미’를 느끼는 변태같은 독자가 없지 않겠다. 각 장마다 주요 인물의 내면 독백은 의식의 흐름을 따라 전개된다.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설명은 없다. 사건의 유기적인 결합은 기대하지 마시라. 작가의 불친절한 서술로 인해 독자들의 혼란은 가중되고 등장인물의 복잡한 내면세계는 ‘이해’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을 뿐이다. 낯설게 보고 새롭게 만들기 위한 조이스의 노력은 헛되지 않기에 독자들은 1400쪽 모두 읽기 전에 책을 던져버리거나 숙면의 밤을 맞을 것이다. 그렇게 읽다만 『율리시스』를 책장에 꽂아두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충만한 기쁨을 느낄 수 있지 않을까. 우리는 항상 실패할 수밖에 없는 대의에 충실해야 한다고 믿는다.
우리는 항상 실패한 대의에 충실했어. 교수가 말했다. 우리에게 성공이란 지성과 상상력의 죽음이야. - 1권, 23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