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디 - 우리 몸 안내서
빌 브라이슨 지음, 이한음 옮김 / 까치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엉뚱하게도, 대한민국 헌법 제12조 신체의 자유를 떠올렸다. 인간의 몸은 자유의 본질이며 출발이다. 원하지 않는 신체 접촉은 물론 폭력으로부터 자유로운 사회적 합의는 인간다운 삶의 기본이다. 건강한 몸을 유지하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 또한 인간의 기본권이다. 헌법에 보장된 권리이기 때문이 아니라 인간으로 태어났다는 이유만으로 존중받아야 할 권리다. 그러나 현실은 우리가 꿈꾸는 세상과 거리가 멀다. 시대와 맥락에 따라 매력적인 몸이 다르고 특정한 몸을 추앙하던 사람들도 변한다. 질병과 장애로 일그러진 표정과 뒤틀린 몸을 로트렉이나 에곤 실레처럼 색다른 관점으로 표현한 화가도 있으나 대개 몸에 대한 미의 기준과 사회적 관점은 본능에 가까운 직관으로 여겨지곤 한다. 그러니 몸과 관련된 주제는 정치, 사회, 역사, 예술 분야에서 조금씩 다르게 접근할 수밖에 없다. 빌 브라이슨은 이렇게 다양하게 변주되고 흥미로우며 미지의 대상인 인간의 몸을 찬찬히 들여다본다.

피부에서 뇌와 머리 입과 목, 심장과 피, 면역계와 소화기관뿐 아니라 음식, 잠, 직립 보행과 심호흡에 이르기까지 몸과 관련된 흥미로운 이야기로 가득한 이 책은 ‘우리 몸 안내서’라는 부제답게 외계인을 위한 인간 이해 매뉴얼 같은 느낌이다. 해부학 도판으로 충분한 설명을 굳이 텍스트로 설명할 이유는 없다. 『그림과 함께 읽는 바디』가 따로 출간된 사실을 토론 도중 알았다. 지극히 자연스럽고 당연한 질문이었을 것이다. 이 시대에 ‘라디오 드라마 극장’을 듣는 느낌이었으니까. 물론 빌 브라이슨의 목적이 인체 해부도 설명에 있지 않았으리라는 건 누구나 충분히 짐작할 만하다. 『거의 모든 것의 역사』로 입증한 지식과 정보의 편집력, 유려한 문장과 매끄러운 설명력, 재치 있는 입담과 적절한 비유를 무기로 다양한 인문학적 양념이 뿌려진 책은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이 책 또한 의학 분야로 분류할 수 없을 만큼 잡학 다식한 읽을거리로 가득하다. 과장하거나 주관에 치우치지 않으면서 새로운 시선으로 인간의 몸을 바라보며 다양한 고민거리를 제공하는 책은 생각보다 많지 않다. 아무나 쓸 수도 없다. 지식과 정보의 깊이와 넓이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글쓰기 능력을 우리는 숱한 책에서 매일 확인하고 있지 않은가.

생명을 담보로 한 의료 대란은 어느 쪽이 옳고 그름으로 판정할 수 없다. 응급 의료 체계부터 진료 과목 편중, 지방 의료 붕괴 등 이해관계로만 따질 수 없는 의료 문제는 교육보다 더욱 심각하게 공공성을 따져 거시적인 관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토론에서 다뤄진 ‘좋은 의학과 나쁜 의학’ 뿐만 아니라 ‘건강과 노화’, ‘뇌와 기억’ 등 우리는 몸을 통해 자기 삶을 이야기할 수밖에 없었다. 단순히 의대 증원 문제가 숫자놀음이 아니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성적순으로 의대에 진학하는 동안 무너진 기초 과학, 특정 직역의 상상을 초월한 이기주의, 의료 보험의 보장성과 실비보험 문제 등 이야기는 결국 현실과 닿고 우리 몸이 곧 삶이 되는 현실을 돌아보는 시간이었다.

누군가는 더 오래 살기 위해 불노초를 캐오라던 진시황제를 떠올렸을 테고 누군가는 덧없는 삶에 대한 환멸로 자살한 숱한 예술가를 떠올렸을 것이다. 건강수명은 기대수명과 다르다. 우리는 언제까지 직립보행하며 살 수 있을까. 타인의 도움을 받지 않고 존엄한 삶을 유지할 수 있는 시간은 얼마나 남았을까. 아니 그렇게 사는 방법은 무엇인가. 가장 기본적인 실존적인 몸과 건강 문제 앞에서 누구도 예외가 될 순 없다. 헌법에 보장된 신체의 자유만큼 건강권도 소중하다. 아프지 않고 건강한 몸으로 오늘을 살 수 있는 ‘행복’이 허락된 사람은 생각보다 많지 않다. 두 발로 사유하는 인간으로 살아갈 수 있는 남은 시간에 경의를.

문 : 건강한 사람을 정의한다면?

답 : 아직 검사를 받지 않은 사람. - 48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