뜻밖의 미술관 - 생각을 바꾸는 불편하고 위험한 그림들
김선지 지음 / 브라이트(다산북스)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선지는 ‘인간은 무엇일까. 우리가 사는 세상은 어떤 곳인가. 이 물음이 내가 글을 쓰는 이유다.’라는 말로 이 책의 프롤로그를 시작한다. 그림책이다. 예술은 인간과 사회를 빗겨 나간 자리에 놓인 특별한 대상이라는 착각. 작품마다 내뿜는 아우라에 눈이 부셔 관객의 생각과 감정을 누군가가 대신 설명해 줄 거라는 혼란. 아마 이런 몇몇 편견 때문에 그림 읽어주는 사람들이 등장한 게 아닌가 싶다. 아니, 그런 분들의 혜안을 빌려 빛과 그림자, 형태와 색채를 조금 더 오래 지켜보는 지도 모르지만.

개인의 취향이겠으나 사랑 운운하며 감정을 쏟아내는 그림 에세이에 부정적 반응이 심하다. 예술은 대개 한 인간과 사회의 현실과 이상 혹은 꿈과 무의식의 경계에 놓인다고 믿는다. 어느 쪽도 포기하지 않은, 혹은 어느 한 편에 완벽히 호응하는 작품이야말로 관객들의 갑론을박을 이끌어내는 문제작인 경우가 많다. 이진숙의 『인간다움의 순간들』과『위대한 고독의 순간들』이 인문학적 사유로 잘 차려진 성찬이라면 김선지의 『뜻밖의 미술관』은 맛과 영양을 포기할 수 없는 사람들이 바쁠 때 챙겨먹는 간편식 같은 느낌이었다. 한 권 분량의 책을 염두에 두고 쓴 글과 신문 칼럼 등 한 편의 글로 소비될 글을 쓰는 사람의 마음가짐이 같을 수 없다. 독자는 취향과 자기 필요에 따라 어느 쪽을 선택하면 그뿐이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그림에 대한 단편적 지식과 에피소드가 아니라 필자 나름의 ‘관점’과 깊은 ‘사유’가 바탕이 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런 면에서 김선지의 글을 짧지만 분명한 메시지로 독자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다.

책은 크게 ‘명화 거꾸로 보기’ 파트와 ‘화가 다시 보기’ 파트로 나눴다. 예술 분야의 책을 처음 보는 독자가 아니라면 모두 익숙한 그림들이고 기본적인 배경 지식도 갖춰져 있을 터. 중요한 건 그래서 필자는 무엇을 보았다는 건지, 아니면 어디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지에 관심이 간다. 김선지는 얼굴이 하얀 예수가 이상하지 않느냐고 묻는다. 고다이바는 정말 나체로 말을 타고 마을을 돌았을지, 황금비는 정말 아름답게 보이는지, 비너스의 모델은 매춘부가 아니었을지 살핀다. 고증을 거쳐 나름의 근거를 제시한 이야기가 신선하다. 물론 익숙한 이야기도 있다. 모두 처음이라서가 아니라 그림을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는 재미를 가지라는 권유다. 당연히 예술도 아는 만큼 보인다. 작품은 묻는 만큼 답한다.

“예술은 인간의 삶과 역사를 비추는 거울”이라는 저자의 생각은 역사 전공자로서 세계에 대한 인식 틀이 무엇인지 말해준다. 인간과 세상을 떠난 예술은 불가능하다. 빌렌도르프의 비너스부터 인공지능이 그려낸 그림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축적된 지식과 정보, 꿈과 욕망, 무의식과 환상을 드러낸 작품일지라도 인간의 삶과 역사 속에서 그 의미를 읽어낼 수 있으며 예술가의 의지와 작품의 아름다움을 즐길 수 있다고 믿는다. 미적 기준에 대한 사회적 기준이 시대마다 빠르게 변한다. 새롭고 기발한 아이디어가 빚어낸 신선함이나 놀라운 상상력으로 창조한 산업 디자인은 자본주의 시대의 예술과 신제품의 경계를 허물기도 한다. 우리가 즐기는 세상이 그대로 놀라운 창조물이다.

그럼에도 우리가 간혹 미술관을 찾는 건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떠나는 추억 여행이다. 인류가 걸어온 길, 먼 옛날의 추억이 내 기억 속에 어떻게 자리 잡고 있는지 확인하는 시간이다. 혐오와 증오가 시대 정신이 된 건 아닌지 혼란스런 시간을 지나고 있다. 정답을 가진 자들의 목소리가 드높다. 네가 틀렸다는 아우성에 귀가 아프다. 침묵의 시간이 지나고 나면 또 다른 무언가가 조금 보일 수도 있을까. 날마다 새로울 순 없어도 가끔 고개를 들고 지는 해를 바라볼 때 어제와 다른 노을이 아니라 처음 만나는 절멸의 시간이었으면 좋겠다. 완벽한 어둠이 존재하는 세상에 대한 그리움. 아직 때가 아니라면 조금 더 기다리더라도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