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3 - 꽃핀 소녀들의 그늘에서 1
마르셀 프루스트 지음, 김희영 옮김 / 민음사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전의 아우라에서 벗어나는 일은 생각보다 쉽지 않다. 인류 문학의 거장 마르셀 프루스트도 마찬가지다. 책을 읽기 전에 사전 정보를 최대한 차단하고 오로지 텍스트 자체에 몰입하는 즐거움을 맛보려고 노력한다. 현대 문학과 달리 고전은 두 가지 시점으로 바라본다. 첫 번째는 ‘당대성’이다. 씨줄과 날줄처럼 정교하게 얽힌 사회, 역사적 배경과 문화, 사상적 토대가 고전을 이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둘째는 ‘현대성’이다. 지금-여기here and now에서 살아가는 나의 관점이다. 이해와 공감, 재미와 감동은 문학의 가장 큰 효용이지만 내가 즐길 수 없다면 굳이 책장을 넘길 필요가 없지 않을까.

지극히 사적인 허구적 자서전 또는 자전적 소설이라는 생각이 편견에 불과하다는 걸 확인하는 데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소설에 등장하는 실존 인물과 유대인 배척주의, 드레퓌스 사건 등은 당대에 가장 첨예한 사회적 이슈였다. 한 사회의 가치판단, 집단적 무의식은 오랜 전통과 문화 뿐 아니라 인간과 사회의 지향점, 타인을 바라보는 태도로 판가름 난다. 프루스트가 어떤 이념적 지향점을 갖고 있는지 확인해야 하는 소설은 아니다. 다만 무엇을 쓸 것인지, 또 어떻게 쓸 것인지에 관한 거대한 자전적 작품론 혹은 작가론으로 읽히는 건 2편 「꽃핀 소녀들의 그늘에서」이 갖는 형식과 내용 때문이다.

1부 ‘스완 부인의 주변’은 파리 샹젤리제의 겨울이 배경이다. 화자의 유년기에 해당하는 시기에 스완 부인을 바라보는 관점, 질베르트에 대한 사랑 이야기다. 2편 ‘고장의 이름-고장’은 발베크의 여름이 배경이다. 1부에서 작가 베르고트가 화자의 글쓰기 혹은 작가로서의 삶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면 2부에서 화가 엘스티르는 어떻게 표현할 것인지를 고민하게 한다. 관점에 따라 세상은 달리 보이는 게 아니라 인상파 화가는 ‘빛’에 의해 보이는 대상 그 자체가 본질이 아니냐고 묻는 듯하다. 알베르틴에 대한 사랑이 질베르트와 어떻게 달라지지, 소년기에서 청년기로 이행하는 과정, 부르주아를 대표하는 스완과 귀족을 상징하는 게르망트와의 관계 혹은 대립은 1800대 후반 프랑스로 대표되는 유럽을 벨 에포크가 아닌 조용한 변화와 갈등의 시대라고 역설하는 듯하다. 물론 철저하게 그리고 지극히 사적인 기억 혹은 추억 속에서 반추하는 방식을 선택한 프루스트의 독특한 서술과 묘사, 어마어마한 만연체 문장, 사건과 감정에 대한 표현은 다른 작가의 작품에서 볼 수 없는 독창성과 개성을 드러낸다. 문체가 곧 작가다. 그런 면에서 프루스트의 아우라는 곧 문체에서 나온다고 느꼈다.

신흥 부르주아 vs 전통 귀족 계급의 갈등과 대립의 서사의 축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이 거대하고 지루한 문체에 함몰된 독자가 읽어내는 것은 베르뒤랭 부인과 게르망트 공작부인의 차이가 아니라 전기와 전화가 보급될 19세기말 유럽 사회를 바라보는 프루스트의 고현학이다. 콩브레에서 샹젤리제를 거쳐 발베크에 도착한 프루스는 유아에서 소년으로 그리도 이제 청년이 되어 본격적으로 자기 삶의 주체로 홀로 선다. 인상파 화가로 등장하는 엘스티르는 “원인부터 설명하지 않고 우리 지각이 받아들이는 순서에 따라 사물을 제시”한다는 말로 자신의 세계관을 설명한다. 그것이 누구에게나 통용되는 관점이 될 수는 없으나 적어도 서로 다른 생각과 감정 혹은 선택과 판단이 혼란스럽게 뒤엉킨 세상에서는 ‘인식’보다 ‘지각’이 우리가 동의할 수 있는 최소한의 교집합은 아닐까 싶었다. 인상파의 명암대비가 세계를 당시 세계를 보는 유럽인의 눈이었다면 또 다른 관점으로 대상의 본질을 포착하는 화가도 있었으나 결국 프루스는 인상파의 위대함이 ‘시간’ 속에 숨어있다고 판단한 건 아닐까. 시시각각 변하는 시간의 흐름이 곧 인간과 세계의 본질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2편은 그렇게 ‘시간’이라는 주제와 꽃과 소녀들의 대비를 통해 프루스트의 화양연화 혹은 자기 삶의 벨 에포크 시대를 그려낸 건 아닌지 모르겠다.

10년 동안 번역에 매달린 프루스트 전공자 김희영은 해설에서 “작가의 창조적 자아는 그 도덕적 인격이나 겉모습, 즉 사회적 자아와는 다르다는 명제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소설이라고 평가한다. 스완과 오데트, 베르고트와 엘스티르, 질베르트와 알베르틴 혹은 어머니와 할머니에 대한 기억과 추억은 철저한 주관적 변용을 통해 재해석된다. 그러나 당대를 함께 했던 실존 인물과 현실은 관계 형성에 분명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수많은 등장인물을 등장시켜 사건과 사고를 설명하거나 이것이 그대로 문학적 알레고리로, 때로는 웅숭깊은 은유로 발현되는 것은 프루스트 읽기의 또 다른 재미이자 진입장벽으로 독자들에게 깊이 읽기를 강요한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는 크레이프 케이크를 떠오르게 한다. 1편 「스완네 집 쪽으로」와 2편 「꽃핀 소녀들의 그늘에서」 4권을 읽은 후의 감상이겠으나 정성스레 켜켜이 쌓아 올린 시간의 질감을 느끼게 한다. 똑같은 층위의 반복일지라도 또 다른 무언가를 기대하게 만든다. 아직 멀고 긴 시간 여행이 기다리고 있겠으나 7편의 소설이 따로 또 같이 읽혀도 무방하다. 어차피 한 인간의 일생도 찰나에 불과하며 어떤 시간의 단면도 영원처럼 느껴지기도 하지 않는가. 사랑과 이별과 망각의 고통이 이 작품의 주된 리듬이라면 이제 겨우 사랑과 이별의 크페이프 한 조각을 시식했을 뿐이다. 읽기는 어려우나 여운은 길고 입맛은 몸에 남을 듯하다. 아주 오랫동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