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대리의 트렁크
백가흠 지음 / 창비 / 2007년 8월
평점 :
소설집을 읽으면 제목과 내용이 뒤섞이고 차례를 다시 훑어보지 않으면 나중에 누구의 단편이었는지 기억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백가흠의 소설집 <조대리의 트렁크>는 9편의 단편이 모두 기억나고 다른 소설가의 단편과 헷갈릴 것 같지도 않다. 이 책은 그만큼 인상적이었다. 인상적이라는 말은 다르다는 건데 소재나 내용 면에서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것들을 선택했다는 말이고 문체가 가볍지도 무겁지도 않다는 말이다.
아침마다 조간을 펼치며 심각한 수준으로 무섬증을 느낄 때가 있었다. 사회면을 들여다보는 일이 곤혹스럽고 마치 다른 세상의 이야기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할 때가 많다. 애써 눈을 돌리고 싶고 외면하고 모른 척 하고 싶은 이야기들이 있다. 분명, 내가 살아가는 현실에서 벌어진 일이며 우리들의 자화상임에도 불구하고 피하고 싶을 때가 많다. 백가흠은 그것들을 들춰낸다. 덤덤하고 무심하게 들춰낸다.
영화를 보다가 눈을 질끈 감거나 귀를 막고 듣고 싶지 않은 소리가 있다. 그것을 굳이 보여주는 감독이나 돈 내고 보지 않으려 노력하는 관객을 떠올려본다. 비슷한 상황은 아니지만 ‘웰컴, 마이!’를 보면서 나는 책장을 넘기기가 두려웠다. 끔찍한 현실은 소설 속에서 재현되고 실날하게 이면의 감추어진 진실들을 드러낸다. 뉴스에 스쳐지나가는 장면이나 사건의 제목 속에 숨어있던 불편한 현실과 적나라한 진실들을 보여주려는 작가의 의도는 성공적이다.
백가흠과의 첫 만남은 흥미로 이어질 것 같다는 느낌이다. 소설이 보여주는 현실은 아름답고 과장된 꿈을 표현하려는 공간이 아니다. 가볍고 유쾌할 수도 있고 무겁고 진지할 수도 있지만 삶의 진정성이 배어나는 시린 느낌이 드는 소설이 나는 좋다. 손등이 갈라져 피가 나거고 역거운 장면과 상황들이 이어져도 현실과 소설의 공간은 중첩되고 갈라지며 혼란스런 감동과 충격으로 독자들을 몰아갈 수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
저마다 다른 진실을 쏟아내며 아파하고 비명을 지르는 소설이 훌륭하다고 할 수는 없다. 소설을 통해 원하는 것은 독자마다 다를 것이다. 현실을 잊을 만큼 매력적인 이야기와 재미를 느낄 수 있고 알지 못했던 사실들을 확인하거나 전혀 다른 측면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눈을 갖게 해 주기도 한다. 철저하게 거짓과 환상의 세계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불편하더라도 그것이 진실하다면 두 눈 부릅뜨고 한 번쯤 확인할 필요도 있다.
이 책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정상성에서 벗어나 있다. 기준에 따라 ‘정상’이 달라질 수 있겠지만 소수자들의 이야기라고 하면 더 적절하겠다. 버려진 아이와 적응하지 못하는 어른, 장애와 동성애으로 이어지는 소설의 면면은 때로 공포영화보다도 그로테스크하다. 장면 자체보다도 상황이 보여주는 비극성과 구조적인 비명이 더 끔찍하게 들린다. ‘웰컴, 베이비!’에 등장하는 엿보는 아이, ‘웰컴, 마미!’의 반지하방에 갇힌 아이, ‘루시의 연인’의 주인공, ‘조대리의 트렁크’에 갇힌 할머니, ‘굿바이 투 로맨스’의 두 여자는 모두 갇힌 사람들이다. 공간적
인 폐쇄성은 단순한 두려움보다 단절의 다른 표현이다. 인간의 존재 가능성은 소통에 있는 것이 아닐까? 서로 공존하며 소통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도전이 백가흠이 도달하고 싶은 세상이라는 생각은 지나친 생각일지도 모르지만 그렇게 믿고 싶다.
‘사랑의 후방낙법’이나 ‘웰컴, 베이비!’에서 작가는 ‘사랑’에 대해 유리창에 비친 흐릿한 빗물 수채화처럼 이야기한다. 투명하고 맑은 사랑이 아니라 애매하고 모호한 태도를 취할 수 밖에 없는 사랑이기 때문에 그럴 것이다. 남자가 남자를 사랑하고 여자가 여자를 사랑하는 것은 남의 일일 때만 허용될 수 있다면 그것은 무관심과 다름없다. 다양한 인간 군상들의 복잡한 삶의 모습들을 모두 담아낼 수는 없지만 뒤안길에서 소수자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에 대한 관심과 애정은 단순히 좋은 소재로 그치지 말아야 한다. 소설을 통해 현실을 뒤바꿀만한 혁명을 하자는 게 아니라 또다른 시선과 간접 체험을 통한 세상에 대한 통찰력은 키워나가야 하는 것인 아닌가 싶다.
백가흠의 소설은 열린 세상 속의 닫힌 사람들에 대한 답답한 보고서일지도 모른다. 외부적 시선으로 그들을 들여다보는 관찰자의 시선이 아니라 ‘매일 기다려’의 노인처럼 내부의 순수하고 견딜 수 없는 생의 욕망들이 밖으로 분출될 수 있을 때까지 나는 기다려 볼 참이다. 작가의 방향과 다음 책들이 어떤 방향으로 흐르든 또 하나의 기다림이 아니겠는가. 구린내 나는 현실과 불편한 진실을 찾아 떠나는 작가의 뒷모습을 바라볼 준비는 되어 있다.
070824-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