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피그말리온 ㅣ 열린책들 세계문학 176
조지 버나드 쇼 지음, 김소임 옮김 / 열린책들 / 2011년 6월
평점 :
“중요한 비법은 나쁜 매너, 훌륭한 매너 또는 어떤 특별한 매너를 지닌다거나 하는 게 아니라 모든 인간에게 똑같은 매너를 보여 준다는 데 있다. 마치 3등칸이 없는, 한 영혼이 다른 영혼과 똑같이 소중한 천국에 와 있는 것처럼 말이지.”
성격과 매너를 바꿀 수 없는데 말투와 억양을 바꿀 수 있을까. ‘미션 임파서블’의 에단 헌트처럼 무모한 도전에 내기를 거든 히긴스와 피커링의 승자는 누구인가.
신화는 인류의 꿈이자 희망이며 현실 너머 환상의 세계다. 불안과 두려움 없는 인생은 불가능하듯, 고난과 좌절을 겪지 않는 신화는 없다. 현실원칙을 넘어 쾌락원칙에 도달하려는 인간의 욕망을 실현하기 위해 누군가 이야기를 만들고 그 이야기에 또 다른 이야기가 보태져 거대한 신화의 세계가 탄생했으리라. 그래서 신화는 영원히 이루지 못한 꿈으로 아쉬움과 미련을 남기리라.
“우물쭈물 하다 내 이럴 줄 알았지!”라는 묘비명으로 유명한 극작가 조비 버나드 쇼가 소환한 피그말리온과 갈라테이아는 희곡의 주인공 헨리 히긴스가 꽃파는 소녀 일라이자 둘리툴과 전혀 다르다. 목적과 태도 뿐만 아니라 개연성과 핍진성을 논할 수 없다. 신화는 신화이고, 희곡은 희곡일 뿐! 그러나 인간에겐 유사성을 토대로 비유와 상징을 즐기고 메타포의 감동을 즐길 줄 아는 DNA가 숨겨져 있다. 그것이 비록 왕의 DNA는 아닐지라도 신산스런 일상을 견디고 예술적 감흥을 불러일으키는 본능적 유전자에 해당한다.
피그말리온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키프로스의 조각가다. 나그네들을 박대한 키포스의 여인들이 아프로디테의 저주를 받아 몸을 팔게 되었고 피그말리온은 이를 탄식하며 독신으로 살았다. 현대판 전신인형의 탄생을 예고하듯 피그말리온은 상아로 아름다운 여인을 조각해서 함께 생활한다. 갈라테이아라는 이름까지 붙이고 옷도 갈아입히고 키스도 하고......진짜 연인처럼 살았으니 인터넷 가십뉴스에 나올만한 이야기다. 심지어 아프로디테 축일에 참가해서 진짜 여자로 변하게 해달라는 불가능한 소원을 빈다. 그러나 신화가 아닌가. 그 소원은 이뤄지고 백년해로하며 아들까지 낳았다는 이야기.
형식은 로맨스를 예상하지만 사족처럼 붙은 후일담에서 밝히듯 이 작품은 해피엔딩으로 끝나지 않는다. 피그말리온과 갈라테이아는 인간의 헛된 꿈과 욕망을 실현하며 대리 만족을 느끼게 하지만 조지 버나드 쇼는 신랄한 풍자와 비판의 대가다. 당대 영국의 신분 제도와 교육, 경제 문제 등을 다룬 이 연극이 뮤지컬, 영화 등 다양한 장르로 변용되어 사랑받는 이유는 빈민가 소녀를 통해 런던 상류 사회를, 인간의 허위의식과 사회적 가면을 폭로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언어학자인 히긴스는 끝까지 거리에서 꽃 파는 소녀 리자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지 않는다. 관객의 기대와 예상을 벗어나지만 그것이 객관적 거리를 유지하며 사적인 로맨스를 넘어 당대 사회에 대한 풍자와 해악으로 읽히기 때문이다. 마치 우리 판소리처럼 걸쭉한 입담과 19금 개그가 난무하지는 않지만 히긴스의 냉소적 태도와 무례함이 피커링의 매너와 비교되어 상류사회의 빛과 그림자를 들여다보는 듯하다.
리자의 아버지 둘리틀은 중산층 도덕률에 대해 묻는다. 비보호대상 빈민에 해당하는 자신의 처지를 호소하며 히긴스에 속물근성을 드러내지만 그것이 둘리틀 개인의 인성이 아니라 영국사회의 구조적 문제라는 점을 조지 버나드 쇼는 분명히 드러낸다. 보편적 복지와 차별적 복지의 프레임 전쟁으로 시끄러운 진영논리가 아니라 근본적으로 복지란 무엇인지, 그 지향점과 목적지를 분명히 점검해야 하는 상황의 대한민국의 오늘을 돌아보는 데까지 나아가면 지나칠까.
전체 5막으로 구성된 희곡은 서문과 후일담이라는 사족이 길다. 연극이라는 제한적 장치로 다 드러내지 못한, 자신의 생각과 의도를 자세히 설명하는 TMI가 너무 많다. 하지만 희곡은 지루하지 않으며 내용은 진부하지 않다. 여전히 세련된 작품으로 읽고 볼 수 있을만큼 시대를 앞선 듯 인간의 욕망과 내면을 잘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신화에서 이름과 모티프를 가져왔으나 피그말리온이나 갈라테이아의 재해석이 아니라 그들과 전혀 다른 인간 세계의 히긴스와 리자 이야기라서 더욱 매력적인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