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치와 자본주의
베르너 좀바르트 지음, 이상률 옮김 / 문예출판사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명품과 사치품을 구별해야 할 필요는 없다. 밴드왜건 효과의 극대화가 유행을 만들고 ‘인싸’와 ‘아싸’를 구별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스놉 효과를 노리는 사람들만 명품을 소비하는 건 아니다. 고가의 물건은 나름의 효용 때문에 그만한 값을 지불하고 구매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믿지 않으면 팔리지 않는다. 그것이 타인의 부러움과 시샘이든 자기 만족과 인쟁 투쟁이든.

자유와 평등이 보장된 민주주의 사회에서 ‘사치’는 왕과 귀족의 전유물이었다는 철지난 유행가 같은 소리에 한번쯤 귀 기울여보는 건 어떤가. 1913년, 베르너 좀바르트는 사치가 자본주의를 촉발했다는 신박한 주장을 내 놓는다. 인간의 허영심과 상위 계급에 대한 모방이 사치를 조장했고 그것이 서민들에게 유행하면서 자본주의에 활력을 불어넣었다는 주장은 초기 자본주의 모델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참고가 될 만하다. 장에 가는 어머니의 에코백과 영부인의 명품백은 장소와 상황에 따라 전혀 다른 의미로 해석된다. 때로는 마트에 들고가는 명품백과 대통령 전용기에 오르는 에코백이 자리를 바꾼다. 계급과 계층에 따른 소비와 자본주의적 욕망에 시비를 걸 사람은 많지 않다. 아니, 우리 시대의 자본주의는 이를 흠모하며 삶의 목적과 보람이 되기도 한다. 100년도 지난 베르너 좀바르트의 사치와 자본주의가 새롭게 읽히는 건 숨쉬듯 편안한 자본주의의 출발과 중세 계급 사회의 사치가가 근대사회로 전환되면서 어떻게 일반적인 생활방식으로 자리잡게 되었는지 살펴보는 생각의 실마리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중세와 근대의 강은 넓고도 깊다. 자본주의가 확고하게 자리잡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렸고 우리가 아는 자본주의는 시대와 국가에 따라 조금씩 다른 모습으로 변해왔다. 그러나 인간의 욕망과 자본주의의 메커니즘은 본질적으로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궁정에서 출발한 사치는 시민의 부와 새로운 귀족, 즉 신흥자본가의 등장으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다. 저자는 16~18세기를 집중적으로 조망한다. 대도시의 발생은 사랑을 세속화했고 고급 창녀의 등장 배경이 되었다. 1~3장은 4~5장을 위한 사적 전개 과정이다. 사치가 어떻게 자리잡게 되었으며 사치에서 자본주의가 배태된 배경을 추적한다. 그러면 이 책의 제목이 된 ‘사치’란 무엇일까.

“사치란 필요한 것을 넘어서는 모든 소비이다. 이것은 분명히 상대적인 정의이기 때문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 때에만 명료한 내용을 지닌다. 이것을 확실하게 하는 데에는 두 가지 가능성이 있다. 우선 그것을 주관적으로 어떤 가치판단(윤리적인 것이든, 심미적인 것이든, 또는 그 어떤 조류의 것이든지 간에)에 근거할 수 있다. 아니면 그 필요한 것을 잴 수 있는 어떤 객관적인 척도를 찾으려고 시도할 수 있다.” 좀 당황스런 기준이지만 주관적 가치판단과 객관적인 척도를 살피자는 주장이다. 지극히 당연한 말이지만 ‘필요한 것을 넘어서는 모든 소비’라는 간단한 정의도 문제다. ‘필요’의 기준과 수준이 다르다. 사람들이 입버릇처럼 말하는 ‘상식’이 서로 다르듯, 필요는 ‘욕망’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베르너 좀바르트는 이 기준을 저 멀리 왕과 귀족에서, 가깝게는 도시생활에서 찾는다. 순수한 사치산업과 혼합산업, 사치소비의 혁명적인 힘으로 마무리되는 일련의 과정은 근대 자본주의를 추동하는 힘으로서 사치의 역할과 힘을 보여준다.

1899년 소스타인 베블런은 『유한 계급론』을 통해 자본주의가 작동하는 방식에 새로운 안목을 보탰다. 개인적으로 매우 인상깊었던 관점 중의 하나다. 주류 경제학자들이 자본주의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방식은 정치가 배제된 형태의 통계와 결과론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미 벌어진 현상에 대한 해석은 현실을 이해하고 다가올 미래를 예측하는 데 생각보다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 만약 그랬다면 노벨 경제학상 수장자를 대통령이나 경제관료로 활용해야 하지 않을까. 여전히, 경제학 전공자들이 실물 경제를 움직이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으나 살림살이가 나아지는 경우는 드물고 불황과 공황을 예측할 수도 없었다. 정치와 심리가 경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각종 지표들로 무장한 예측들이 난무하지만 ‘인간’의 삶을 중심으로 생활밀착형 경제학을 들고 나온 사람은 많지 않다. 아마르티아 센이 불평등과 빈곤에 대해 깊이 고민했으나 ‘자유로서의 발전’은 여전히 요원하다.

이제 다시, 아니 언제나 그러하듯 왜곡된 자본과 개인의 이기적 욕망은 비정상적인 괴물을 양산해왔다. 합리적 선택과 이성적 판단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제는 상식적으로 납득할 수 없는 일들이 난무한다. 오래 전 베르너 좀바르트도 자본주의의 ‘현재’를 고민하기 위해 통시적 관점으로 과거를 돌아보며 미래를 전망했으리라. 현재는 과거의 결과다. 도미노처럼 쓰러지는 시간의 연속성에서 자유로울 수 없으니 우리는 현재의 결과로서 미래를 맞이할 뿐이다. 지금, 여기서 우리는 어떤 선택과 행동으로 미래를 만들어가고 있는지 알 수 없다. 그것이 개인의 노력과 한계라고 해도 흐름을 짚어내고 전체를 조망하는 안목이 필요하지 않은 건 아니지 않은가.

이렇게 해서 그 자신이 ―이미 우리가 본 바와 같이―비합법적인 사랑의 합법적인 자식인 사치가 자본주의를 낳은 것이다. - 28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