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의 지배 - 디지털화와 민주주의의 위기 한병철 라이브러리
한병철 지음, 전대호 옮김 / 김영사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한병철의 글을 읽었습니다. 아포리즘처럼 한문장씩 꾹꾹 눌러쓴 책이니 얇은 분량이라고 만만하게 볼 책은 아닙니다. 문장과 문장 사이의 거리가 멀고 행간의 의미가 채워지지 않으면 앞으로 나가기 힘이 듭니다. “자유와 감시가 하나로 합쳐지는 순간, 지배는 완성된다.”라는 문장이 책 전체의 방향을 제시합니다. ‘정보화와 민주주의의 위기’라는 부제는 이 책이 현대인이 겪는 불안과 위기의식이 어디에서 기인한 것인지 그 이유를 탐구하는데 관심을 두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줍니다. 경제와 정치, 아니 자본주의와 민주주의는 한몸으로 움직입니다. 어울리지 않는 커플처럼 어색하지만 헤어질 수 없으니 불편한 동거가 계속됩니다. 한병철은 이를 “정보자본주의는 신자유주의의 권력 기술을 터득한다.”라고 지적합니다. 여전히 신자유주의 미망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몇몇 정치인이나 경제학자들을 위한 비판이 아니라 ‘정보’와 ‘데이터’로 요약되는 미래 산업의 화두가 우리 삶-정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점검하는 생활철학이자 사회학적 고찰입니다.

미셸 푸코의 『감시와 처벌』, 『말과 사물』, 구스타프 르봉의 『군중심리』, 위르겐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구조변동』, 장 자크 루소의 『사회계약론』, 한나 아렌트의 『전체주의의 기원』, 플라톤의 『정치학』 등 100쪽에 불과한 분량의 글에 사회학의 고전과 철학적 담론이 응축되어 있기 때문에 발터벤야민이나 조지 오웰, 올더스 헉슬리까지 다양한 고전과 인문학적 교양이 진입장벽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연구자들의 특성상 일반대중을 향한 말과 글의 난이도 조절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은 실패가 아니라 어쩔 수 없는 문턱일텐데 용어와 개념을 친절하게 풀어 설명하거나 쉬운 말로 바꿔 쓰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대중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나 지나친 친절은 독서의 깊이와 확장성을 가로막을 수 있으니 선택은 독자의 몫이라고 하겠습니다.

정보체제, 인포크라시, 소통행위의 종말, 디지털 합리성, 진실의 위기 등 다섯 가지 주제로 정밀하게 써내려간 현대사회의 자화상을 통해 미래를 준비해야 하는 것 또한 독자의 몫입니다. 문제를 인식하고 자각하는 역할로 철학자와 사회학자들의 역할은 충분합니다. 저는 해법과 대안까지 한세트로 구성된 완벽한 책을 원하지 않습니다. 현실에 뛰어든 정치, 경제, 사회학 연구자들의 면면을 우리는 수없이 경험했고 지금도 지켜보고 있습니다. 학문적 이론이 어떻게 현실에 실현될 수 있는지, 그 실패의 원인이 무엇인지 무수한 시행착오를 모르지 않습니다. 특히 ‘교육’ 분야는 말할 것도 없습니다. 상상을 초월하는 사람들어 육아, 교육 전문가로 자처하며 특단의 대책과 기막힌 해법을 내놓습니다. 추종자가 생기고 반대를 위한 반대자도 나섭니다. 장하준이나 한병철처럼 영어나 독일어로 쓴 글들을 통해 대한민국의 현실은 어떻게 해석될 수 있을까요.

미성숙하며 조작 가능한 ‘투표 가축’이라는 표현은 양극화를 부추기고 담론 분위기에 독극물을 뿌린다는 저주에 가까운 우려가 뼈아프게 느껴집니다. 생각이 다른 주장을 ‘가짜 뉴스’로 치부하는 양극단의 진영 논리도 어이 없지만 실제 사실관계를 따지기 보다 자기 생각과 감정에 맞는 정보와 데이터만 수용하는 필터 버블과 디지털 동굴이 바로 지금 우리가 겪는 소통행위의 종말 현상이 아닐까 싶습니다. 점점 더 넘치는 정보의 감옥에 갇혀 스스로 선택하고 판단하는 대중은 그 정보 자체의 출처와 관점을 비판적으로 살피지 않습니다. 미성숙한 어른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일상을 바라보는 한병철, 아니 우리들의 시선은 어떤가요. 그들은 친구, 연인, 가족, 이웃, 동료들입니다. 아니, 또 다른 ‘나’의 모습입니다.

트럼프 당선이 촉발한 ‘대안 사실들alternative facts’은 서사적 연속성과 정합성 결여, 탈이데올로기화된 정보체제를 의미합니다. 가짜 뉴스를 대안 사실이라뇨. 정말 놀라운 발상입니다. 어느 초등학교 교사의 극단 선택이 종북주사파가 추진한 대한민국 붕괴 시나리오라는 발언이 실제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의 발언일까요. 아니면 가짜 뉴스일까요. 유색인종에 대한 혐오 등 미국 사회에 어둔 그림자를 드리운 트럼프 당선의 의미를 이제 다시 살펴볼 필요가 없을까요. 역사에서 교훈을 얻지 못한 인류는 실수를 반복하는 법입니다. 한병철이 들고나온 민주주의의 위기는 단순히 정보를 지배하는 현대사회의 시스템을 비판하기 위함이 아니라 길들여지되 길들여지는 줄 모르고 판옵티콘에 갇혀 자유를 외치는 죄수같은 형국을 인식하지 못하는 현대인을 향한 경종입니다. 딸랑딸랑~ 여러분 정신차리세요~

모임에 참석하신 분들이 대부분 진실의 위기가 인상적이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새로운 가치 허무주의가 자리잡는 현실은 결코 바람직하지 못합니다. 공론장에서 대화와 타협을 시도하고 합리적 토론이 이어질 수 없다면 ‘정보’라는 이름으로 쇠뇌시키는 미확인 카톡들, 유튜버의 뇌피셜들만 문제가 되는 건 아닙니다. 거대한 구조적 모순을 자각하지 못하고 있는 그대로의 현실이 세상 전부로 착각하는 우리는 정보의 집에 갇혀 사는 ‘소비 가축’은 아닐까요. 탈정치화는 새로운 미성숙을 만들고 디지털 커뮤니티는 하나의 상품commodity으로 전락한 현실에 대한 한병철의 비판이 정치적 해위 능력 없음을 자인해야 하는 우리에게 어떻게 들리는지 모르겠습니다. 간만에 귓가에 울리는 매미 소리가 여름이야~ 라고 외치는 듯 싶습니다.

데이터주의는 이데올로기 없는 전체주의다. - 2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