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행복한 이유 워프 시리즈 1
그렉 이건 지음, 김상훈 옮김 / 허블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나무』에 실린 단편 「완전한 은둔자」를 읽었을 때 충격이 떠올랐습니다. SF는 개인적인 취향이 아니라서 잘 읽지 않습니다. 쥘 베른의 소설 같은 고전은 좀 읽었으나 김초엽의 소설도 읽다 덮을만큼 어느 구석에 닿지 못하나 봅니다. 독서모임의 장점 중 하나가 스스로 선택하지 않을 책과 분야의 경계를 허무는 일입니다. 망설이다 끝까지 읽었습니다. 첫 번째와 두 번째 단편인 「적절한 사랑」(1991)과 「100광년 일기」(1992) 때문이었습니다. 남편의 뇌를 자궁에 품을 수 있다는 상상은 충격적입니다. 아마 이 소설을 읽었다면 베르나르 베르베르는 모티브를 얻었을 듯 싶습니다. 어쨌든 상상력엔 한계가 없으니 과학기술의 눈부신 발달을 목도하는 현대인에게 불가능한 미래는 거의 없을 겁니다. 공동체의 윤리와 개인의 선택 사이에서 충돌하는 지점이 아마 가장 큰 걸림돌이 되겠지요. 바닷속을 여행하고 하늘을 나는 꿈은 현실이 되었습니다. 장기를 갈아 끼우는 건 일도 아닌 세상이니, 뇌를 리부팅하거나 다른 몸에 이식해서 영생을 꿈꾸는 일도 현실이 될지 모릅니다. 두려운가요, 아니면 기대되나요?

순전히 ‘나’의 판단과 선택이라고 믿는 모든 일들이, 미래는 우리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는 생각이 착각은 아닐까요. 인간의 자유의지와 선택 문제는 종교와 철학의 분야가 아니라 뇌과학과 심리학의 영역으로 넘어온지 오랩니다. 그렉이건의 『내가 행복한 이유』(1995)에는 11편의 단편이 실려 있습니다. 인터넷이 일상에 활용되어 네트워크 세상을 사는 우리에겐 조금 진부한 용어나 개념이 등장하기도 하지만 번역자 김상훈의 해설대로 하드 SF를 읽는 일은 피학적 독서를 즐기는 분이 아니라면 생소하고 고통스런 경험일 수 있습니다. 제가 그랬습니다. 최신 과학, 의학 이론이 주인공, 즉 인간 존재와 삶의 의미에 천착하는 과정의 도구이자 장치라고 생각하기엔 분량과 스타일이 넘친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하나의 주제에 매몰된 1인칭 주인공의 사변적 고백이 ‘지루함’을 만들었습니다. 철학적 고민은 독자의 몫이어야 하는데, 주인공이 스스로 갈등과 번민에 빠진다면 곤란합니다. 주인공은 사건을 만들고 갈등을 일으키는 ‘말’과 ‘행동’에 치중해야 하는 게 소설의 고전전 문법이 아닐까요. SF 소설 매니아들이 들으면 쌍욕을 먹을 만한 볼멘 소리일까요. 읽는 재미가 덜해지는 이유는 자명하게도 긴장감이 떨어지는 스토리 전개와 지나치게 고뇌하는 미래 주인공들의 현실적 태도 때문이었습니다.

소설의 목적과 의도, 작가의 주제의식이 대개 사회과학, 과학철학, 윤리학의 문제라면 이미 그 분야에서 충분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을텐데 굳이 소설이라는 도구가 필요한가 싶었다는 지극히 개인적인 소회와 달리 SF소설을 좋아하는 분들의 평가는 전혀 달랐습니다. 독서 모임의 목적이 공감과 위로가 아니라 다른 관점과 낯선 시선 때문이니 경청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테드 창과 그렉 이건의 차이, 김초엽을 비롯하 최근 경향까지 알게됐지만 찾아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들 만큼 매력적인 설득을 당하지는 못했습니다.

하드 SF(자연과학 기반) : 휴머니스트 SF(심리학이나 인류학 등 인문과학)

󰀻

*1960년대 뉴웨이브 : 문학적, 인문학적으로 세련된 SF 지향

*1970년대 하드 SF : 다수의 고전 걸작 양산

*1980년대 사이버 펑크 : 스타일을 중시하면서도 정보과학과 생명과학을 위시한 첨단 과학의 내재화 강조

*1990년대 포스트 사이버 펑크 : 바이오테크놀로지BT,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IT, 나노 테크놀로지NT 등

신세대 하드 SF(테드 창, 그렉 이건 등)

󰀻

첨단기술에 대한 전문지식 : 실존하는 현실의 하부구조를 밝혀내는 성배 탐색에 준하는 행위

김상훈의 해설을 정리해봤습니다. 그렉 이건은 오스트리아 출신으로 ‘SF계의 뱅크시’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답니다. 텍스트는 미술, 음악 분야의 감각적 인상과 다릅니다. 읽고 쓰는 사람들의 공통된 관심사는 결국 ‘인간이란 무엇인가, 우주에서 인간존재란 무엇인가’와 같은 주제로 모아지지 않을까요. SF 소설도 그렇다고 하는데 개인의 정체성, 자유의지가 정치와 경제, 즉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적 프로파간다를 견딜 수 있는 개인이 있을까 싶은 우려는 저만의 생각이 아닐 겁니다. 사색하고 공부하라는 루쉰의 호통이 죽비처럼 현대인의 어깨를 내리칩니다. 소설이 소설로 끝나지 않고 현실과 인간의 삶으로 연결된다면 SF가 아니라 휴머니즘이 되겠지요.

「내가 행복한 이유」(1997)와 「내가 되는 법 배우기」(1990)에 대한 이야기도 많이 오갔습니다. 결국 모든 독서는 ‘나’에게 닿는 머나먼 여행이기 때문입니다. 「블랙 미러」시리즈를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영상으로 보는 포스트 사이버 평크 SF에 해당하는 건가 싶습니다. 다가올 미래, 아니 이미 당도해 있는 미래인 오늘, 겨우 1.4킬로그램 밖에 안되는 뇌의 사용법에 대해 다시 생각해 봅니다. 존 레이티의 설명이 아니더라도 우리는, 아니 나는 온전히 나로 살기 위해 몸부림쳐야 하는 게 아닌가 싶기 때문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