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의 생각이 내 생각이 되지 않으려면 - 내 삶의 주도권을 되찾는 필로소피 클래스
오타케 게이.스티브 코르베유 지음, 김윤경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존과 번식을 위한 생리적 욕구는 본능이다. 자연 선택에 의한 적자생존 DNA는 인간의 1차적 욕망을 자극한다. 학습과 경험이 필요 없다. 하지만 본능적 욕구를 넘어선 고차원적 욕망은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보고 듣고 배우며 익히고 자연스럽게 내면화된 존경과 자아실현의 욕구는 후천적 의지에 따른다. 짜장면을 먹어 본 적이 없는 사람이 짜장면을 먹고 싶다는 자유 의지나 욕망이 생길 리 없지 않은가.

변연계의 지배를 받는 감정, 즉 애정의 욕구는 생존과 번식에 필수적 요소다. 이성을 지배하는 전두엽의 발달은 우리가 ‘생각하는 존재’라는 신화를 창조했다. 근대 이후 종교와 맞선(?) 과학은 이성의 빛을 따라 걸었고 현재의 눈부신 문명을 이뤘다. 인간이 다른 동물과 구별되는 특징으로 손꼽는 ‘생각’은 어떤 과정을 거쳐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도구로 자리 잡을 수 있을까. 모든 사람은 생각하는 힘을 길러 온전한 자유인으로 거듭날 수 있으나 식욕, 성욕처럼 절대 사라지지 않는 본능과 달리 ‘이성’은 적극적 노력과 오랜 시간이 걸리는 힘겨운 자기와의 싸움이다. 그래서, 혹은 귀찮아서 스스로 생각하는 대신 남의 생각을 받아들인다.

오타케 게이와 스티브 코르베유는 남의 생각이 내 생각이 되지 않으려면 김수영의 말대로 온몸으로 밀고 나가는 철학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행동과 실천이 철학의 종착역이라는 선언이 아니라 누구나 철학이 필요하다는 주장은 몸 철학을 전제로 한다. ‘옳음’이나 ‘대답’이 아니라 ‘프로세스’가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고 있는가?” 이 책은 어쩌면 이 질문에 대한 정교한 질문의 연속이며 앎과 삶을 연결하려는 노력이다.

대중적 철학서는 대개 철학사에 대한 이해, 철학자의 삶과 사상, 철학 개념에 대한 설명, 적용과 실천 등에 집중한다. 2차 저작물들의 특징은 쉽게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철학과의 거리를 좁히는데 주된 목적을 둔다. 그러나 이 책은 철학 입문서가 아닌 철학 개념 정리와 실천적 워크북에 해당한다. 정리, 해체, 탐구, 발전, 재생, 창조 등 여섯 가지 철학 수업은 ‘보는 것은 세계와 관계를 맺고 세계를 바꿔나가는 일’이라는 수업 준비를 통해 가능하다. 주로 근, 현대 철학자들의 핵심 개념을 짧은 분량으로 정리하고 삶의 문제와 직결되는 부분을 짚어준다. 적극적인 참여와 적용 문제는 독자의 몫이다. 좋은 책은 손 놓고 입 벌린 독자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대신 스스로 생각하고 고민하라고 독려한다.

수업을 진행하듯 커리큘럼 소개라는 머리말에서 저자는 “철학을 ‘알아두어야 할 지식’으로 전달하는 일은 철학하는 것이 아니다. 철학을 하는 데는 반드시 신체가 필요하다. 철학한다는 것은 헛된 논의가 아니라 ‘행위’다.”라고 말한다. 지식이 육화되는 과정은 사람마다 다르다. 직접 경험을 통해서만 삶의 지혜를 깨닫는 대부분의 사람은 자기 한계를 뛰어넘기 어렵다. ‘내가 해봐서 아는데~’, ‘내가 직접 봤다니까~’, ‘분명히 본인한테 직접 들었기 때문에~’로 시작되는 신념에 가까운 확신은 의심을 거부하는 경우가 많다. 그 생각의 빈틈을 채우려는 지식과 정보에 대한 욕심보다 중요한 건 ‘관점’이다. 지식과 경험을 정리하고 해체하며 탐구하고 발전시켜 재생하고 창조하는 작업은 철학자의 고유 업무가 아니라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과 태도다.

비판적 관점을 상실한 정보 수용, 맹목적 신뢰와 지지, 변함없는 신념과 자기 확신이야말로 철학의 최대의 적이다. 아니, 동굴에 갇혀 그림자만 바라보면서도 충분히 행복하고 즐거운 삶이다. 아는 게 힘이 될 때보다 모르는 게 약이라고 믿고 싶은 심정은 낮은 자존감에 기인한다. 무엇이 바람직한 것인지, 누구를 위한 말과 행동인지, 본질적인 목적과 이유가 어디를 향하는지 ‘생각’하는 건 고통스럽고 적극적인 노력과 변화 의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현실은 때때로 우리를 슬프게 하지만 철학은 지속적으로 나를 의심하는 태도다. 온몸으로 내 삶을 밀고 나가는 힘의 원천은 1차적 본능을 넘어 인간다운 삶과 더 나은 미래를 위한 2차적 의지에서 나온다. ‘뭣이 중헌디?’ 이 질문에 정답은 없다. 그러나 최소한 옳고 그름이 아니라 다름과 차이에 대해서는 생각해야 한다. 너를 위해서가 아니라 바로 ‘나’를 위해서. 그것이 철학하는, 아니 생각하는 인간이 누릴 수 있는 작은 이익이자 행복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