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옥이 따로 없어
법정최저임금 정도나 받는 강제 노역에 시달린 후
저물 무렵 반지하나 옥탑방으로 자진해 입방하는
당신이 양심수
-「당신이 양심수」중에서, 20쪽
누군가는 소리를 내야 한다. 소리는 소리를 부른다. 외면하고 싶은 현실이지만 부정할 수는 없지 않은가. 지난여름 물에 잠긴 반지하, 뜨거운 옥탑방에 사는 사람들을 송경동은 현대판 ‘양심수’라고 부른다. 청소용역노동자들의 선언을 시작으로 아직도 강철이 어떻게 단련되는지 묻는 시인에게 대한민국은 누구나 원하는 걸 얻을 수 있는 행복한 나라가 아니다. 누가 대통령이 되든, 정부의 정책이 어떻게 달라지든 돈 없고 힘없는 사람들의 자리는 변함이 없다. 현실의 최전선에서 하루를 견디고 삶을 지탱하는 이웃들을 바라보는 시선과 태도가 세상을 살아가는 바로 우리들의 삶의 자세다. 타인을 바라보는 기준과 공동체를 향한 목소리가 지금, 여기에 선 내 삶의 무게다. 무엇을 할 것인가.
나중에는 나도 무장하고 다녔다
상처받고 싶지 않아 먼저 공격했다
짓밟히고 난 뒤의 모멸과 분노를 견딜 수 없어
목청을 먼저 높이 올렸다
「목소리에 대한 명상」중에서, 48쪽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 감동적인 자연과 두근거리는 순간 보다 피 흘려 싸우는 현장과 땀으로 범벅이 된 노동의 순간들이 모여 거대한 삶의 뿌리를 이룬다. 기막힌 묘사와 감각적 언어보다 때때로 목청 높여 외치는 송경동의 목소리를 아프게 읽어야 한다. 시는 슬픔의 미학이다. 삶은 고통의 연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