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의 조건 - 철학이 진실을 구별하는 방법
오사 빅포르스 지음, 박세연 옮김 / 푸른숲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에겐 두 가지 유형의 무지, 즉 근거 없는 잘못된 믿음과 믿음의 부재가 존재한다. 이는 잘못된 정보를 받아들인 것과 정보를 전혀 받아들이지 못한 것의 차이다. - 180쪽


우리는 사물이 보이는 것보다 가까이 있다는 자동차 백미러의 경고를 때때로 잊는다. 시야각을 넓히기 위한 착시현상은 일상에도 나타난다. 현상은 본질을 드러내지 못하고 결과로 원인을 파악하지 못하기 쉽다. 소설가 이현은 단편 「거의 하나였던 두 세계」에서 “나는 진실의 반대말이 주로 거짓이나 가짜라고 배워왔는데, 살면서 오히려 무지에 더 가까운 개념이 아닌가, 생각할 때가 많았다.”고 고백한다. 스웨덴의 저명한 언어철학자 오사 빅포르스는 이를 증명하듯 무지의 반대말로서 진실이 갖춰야 할 조건에 대해 이야기한다. 우리가 사는 세계에 과연 ‘진실’ 따위가 존재하느냐는 냉소적 태도도 좋고, 진실 그 자체를 갈구하는 종교적 몰입도 좋다. 다만 사실fact와 진실truth 사이의 거리만큼 먼 세계에 진입하기 위해 우리가 갖춰야 할 조건에 대해서는 한번쯤 살펴봐야 하는게 아닐까.


포스트 트루스post-truth(탈진실, 진실보다 감정과 개인적 믿음이 여론 형성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현상)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익숙해진 ‘대안적 진실alternative truth’이라는 말은 트럼프 당선 이후 일상적인 허위의 세계를 근사한 포장지에 불과한 게 아니라 또 하나의 진실을 창조할 수 있다는 자신감의 발로가 아닌가 싶을 때가 있다. 온갖 가짜 뉴스와 추측성 보도, 편집과 일방적 프레임으로 언론의 기능을 상실한 몇몇 레거시 미디어의 헤드라인을 볼 때마다 느끼는 분노에 가까운 불편함을 설명하기 어렵다. 어이는 집을 나가고 헛웃음이 나지만 정치적 성향에 따른 이념 논리로 치부되기 십상이다. 어차피 객관적 거리가 불가능하다면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진실의 세계는 존재하기나 하는 걸까.


우리는 왜 지식에 ‘저항’하는가. 아니 그 전에 지식이란 무엇인가. 저자는 “1. 이론적 지식theoretical knowledge : 무엇을 알고 있는지knowledge that, 알고 있는”과 “2. 실천적 지식practical konwledge : 방법을 알고 있는지knowledge how, 할줄 아는”으로 나눈다. 이론과 실제의 거리만큼 추론과 경험의 세계는 타협할 수 없다. ‘내가 해봐서 아는데’로 시작하는 경험론자들과 ‘논리적으로 그게 가능하냐’는 주장이 부딪치는 자리에서 우리는 ‘의심’ 이외에 믿을 구석이 없다. “지식은 우리 모두가 협력해 만든 창작물이다. 즉, 각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기여해온 인식적 노력이 누적된 결과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우리의 사고는 왜곡되는가. 거짓말과 가짜 뉴스가 판치는 세상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저자는 한발 더 나아가 그 원인을 교육 현장에서 찾는다. 구성주의가 교육에 미친 영향을 꼼꼼하게 살핀다. 비판적 사유의 부재가 악惡이라고 선언한 한나 아렌트의 말은 언제나 옳다. 진실 고수holding true를 위해서는 인식적 불평등epistemic injustice을 극복하고 암묵적 편견implicit bias을 이겨내는 실천적 지혜practical wisdom가 요구된다. 결코 쉽지 않은 일이지만 저자는 최악의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비판적 사고, 출처 비평, 전문가 신뢰, 토론과 팩트체크’를 제안한다. 


저마다의 상식이 다르다. 각자 선악의 기준이 다르고 공정과 정의를 보는 관점도 다르다. 내로남불이 본능이라는 핑계에도 한계가 있다. 진실의 조건마저 상대적이라면 우리는 어느 지점에서 서로 다른 생각과 개별적 사실을 확인해야 할까. 언어의 명징함, 개념의 정확성, 비판적 사유의 엄중함이 우리를 구원케 하리라. 진실의 반대말이 무지라면 겸손과 반성적 태도가 자신을 한발 나아가게 하지 않을까. 지금 생각한 대로 살고 싶다면 말릴 수는 없으나 대부분 사람들은 그게 사는 대로 생각하는 증거라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다. 


분야는 다르지만 최근에 쏟아지는 논의는 개별적 진실, 즉 대안적 진실을 주장하는 이들의 태도다. ‘왜’가 아니라 ‘어떻게’ 그럴 수 있는지 서로 궁금해하는 게 아닐까. 우리라는 카테고리 안에 담을 수 있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분야별로, 쟁점마다 진실을 서로 다르게 주장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게 최소한 내 생각과 믿음이 ‘진실’이 아닐 수도 있다는 의심은 기본이 아닌가. 


우리는 자신이 틀릴 수 있다는 사실에 항상 마음을 열어놓아야 한다. - 33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