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것도 하지 않는 법
제니 오델 지음, 김하현 옮김 / 필로우 / 2021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앤드루 산텔라는 “일을 미루는 사람이 그러듯이 결코 직선으로 나아가지 않으며, 한 가지 일에서 등을 돌려 다른 일로 향했다가 다시 돌아오기를 반복한다. 일은 차츰차츰, 조금씩 진행될 뿐이다. 아무것도 구하지 않을 때에야 비로소 지식을 손에 넣고 욕망을 채울 수 있으리라.”(『미루기의 천재들』)는 말로 세상의 모든 미루기의 천재들을 빙자한 게으름뱅이에게 용기를 주었다. 일찍이 마르크스의 사위 폴 라파르그가 주장한 『게으를 수 있는 권리』는 자본주의형 인간의 탄생을 예고했음이 틀림없다. ‘개미와 베짱이’는 모든 게으른 자들의 분노를 자아냈다. 베짱이처럼 굶어 죽을 처지라는 극단적 사례가 아니라면 우리는 얼마나 부지런하고 성실하며 피땀 흘려 일해야 하는가. 욕망의 크기를 줄이고 삶의 방법과 태도를 바꾸면 전혀 다른 세상이 열리지 않을까. 고대 철학자들이 말한 행복의 조건과 현대인의 행복은 그 결이 다를까. 관습적 사고를 깨뜨리는 제목을 달고 등장하는 수많은 도발적 책들을 가끔 집어 든다. ‘하마터면 열심히 살 뻔했다’ 류의 책은 보지 않았으나 각종 배신 시리즈와 전복적 사고를 유도하는 책은 마다할 이유가 없다. 깊이와 넓이가 어느 정도 확보되어 주관적 편향에 흐르지 않는다면 저자의 경험과 생각의 조각들은 대체로 밴드왜건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해줄 수도 있다. 생각 없이 살면 사는 대로 생각하게 된다는 오래된 금언이 ‘나’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믿는 수많은 헛똑똑이를 위해 이런 종류의 책은 멈추지 말고 정수리에 찬물을 들이붓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렇게 열심히 살 필요가 있나?”라는 깨달음은 촌각을 다퉈 ‘노오력’의 끝을 본 사람이 뱉을 수 있는 질문이다. 가보지 않은 길을 예측하고 추론만으로 진리를 확신할 수는 없다. 하루 3시간만 일하면 충분하다는 헨리 데이비드 소로나 인류의 역사는 노동 시간 단축의 역사라고 강력히 주장하는 리오 휴버먼에게 현대인의 삶은 자본으로부터 소외된 기계적 노동자, 중세의 농도의 삶과 크게 달라보이지 않을지도 모른다. 자유와 평등이라는 가치를 내세우는 민주주의 사회에서 우리는 자발적 노예로 살아가기 쉽다. 자본주의 욕망과 가상세계의 밈들이 현대인의 뇌를 점령한지 오래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법’은 꼼짝도 하지 않고 누워 천정에 자기 망상을 투영하거나 방바닥에 엎드려 장판을 디자인하는 법과는 거리가 멀다. ‘열심히’ 안 해도 ‘잘’하면 되는 나이와 위치가 되는 일의 기쁨과 슬픔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 같지만 ‘무언가 계속하고 있는 것’이라는 착각에서 비롯된다. 제니 오델의 데뷔작은 사람과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 매력적이다. 누가 얼마나 열심히 사는지 그 치열함으로 부와 권력이 나눠진 시대를 나는 알지 못한다. 더구나 현대인의 하루, 평범한 사람들의 인생에 노력과 열정이 빠져 좌절하거나 실패하는 경우도 드물다. 도대체 우리는 어떤 삶을 원하는가.

손바닥 안에 네모난 화면을 들여다보면 그 어떤 환각제보다 강렬한 세상이 펼쳐진다. 욕망을 자극하고 쾌락을 주며 웃음과 눈물을 창조한다. 디지털 디톡스가 필요하다고 말하는 사람의 생각에 동의하기 어렵지 않은가. 그게 좋으면 그만인 세상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 법이라는 말은 일시적으로 소비될지언정 변화를 일으킬만한 트렌드로 자리잡긴 어렵다. 잠시 고개를 들어 하늘을 쳐다보고 공원에 앉아 새들의 움직임을 관찰하며 꽃이 지고 바람이 부는 계절을 느끼는 일은 대개 일시적 휴식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하루하루 우리 삶을 돌아보면, 그 시간이 누적되어 자기 인생이 된다고 해도 괜찮은가. 왜 다르게 살 순 없을까. 정말 세상이 나를 이렇게 만들었고, 먹고 살기 위해 어쩔 수 없는 일인가. 저자는 독자를 다그치지 않는다. 조용한 목소리로 쓸모없음의 쓸모에 생각해보라고 속삭인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은 “그 자리에서의 저항”이며, 이는 곧 “스스로를 자본주의적 가치 체계에 쉽사리 이용당하지 않는 모습으로 만드는 것”이다. 자기만의 저항법은 매우 중요하다. 각자 선 자리가 다르다. 바틀비처럼 아무 힘도 없어 보이는 사람도 자신의 위치에서 자기 삶을 단단하게 지켜내려는 저항은 그 자체로 숭고하다. 저자는 상업적 소셜 네트워크, 즉 관심 경제에 관심을 집중한다. 지금, 현재 우리의 삶을 특징짓는 여러 가지 요인 가운데 가장 중요한 요소가 바로 관심 경제다. 디지털 디톡스가 필요한 시대를 살면서 그 위험성을 인지하지 못한다면 개인적 성공과 성취가 어떠하든 자기 삶의 주인으로 살아가긴 매우 어렵다. 생산성이라는 신화에서 벗어나 저항, 유지, 회복, 돌봄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시점이다. “악당은 상업적 소셜미디어의 침략적 논리이며, 이득을 취하려고 우리를 불안과 질투, 산만한 상태에 머무르게 하는 소셜미디어의 금전적 동기다. 더 나아가 악당은 이러한 플랫폼에서 자라나 오프라인의 자기 모습과 실제로 살아가는 공간에 대한 사고방식에 악영향을 미치는 개인주의와 퍼스널브랜드 숭배다.”(20쪽)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 더 힘든 일은 없다.(15쪽) 바쁜 일상에서 잠시 맛보는 휴식은 달콤하다. 더 나은 내일을 위해 재충전하는 시간도 소중하다. 그러나 거꾸로 생각해보면 아무것도 하지 않을 자유를 만들어 가는 건 자기 자신이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은 사치도, 시간 낭비도 아니다. 오히려 의미 있는 생각과 발화의 필수 요소다. 자기 삶의 소중함을 자각하는 순간, 아무것도 하지 않는 법은 세상의 기준과 세속적 성공에서 벗어나 조금 다른 삶을 꿈꾸는 사람들의 태도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틀린 게 아니라 다른 건 세상을 아름답게 한다. 획일적 욕망을 꿈꾸는 세상에서 무지개처럼 다양한 빛깔로 살아가는 건 멋진 일이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