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편안한 죽음 을유세계문학전집 111
시몬 드 보부아르 지음, 강초롱 옮김 / 을유문화사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존엄사가 사회적 의제로 부상할 때가 되지 않았나. 현대 의학은 두근거리는 삶이 아니라 심장박동 연장술로 생명을 유지하는 데 최선을 다한다. 기술의 발달과 인간의 존엄 사이의 디커플링 현상은 핵가족 시대, 콩가루 집안에 닥친 필수적 사회문제가 되었다. 누구나 늙는다. 누구나 병들고 죽는다. 자연스러운 순환 과정을 거스를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출생률에 온 신경을 곤두세우고 육아와 보육 문제에 집중하는 동안 죽음은 오롯이 개인의 문제로 치부된다. 과연 그런가. 당신의, 아니 나의 마지막을 상상해 본다. 병원 중환자실 or 요양병원 or 고급 실버타운인가. 아니면 남편과 아내, 며느리와 사위, 자식들에 기댈 예정인가. 그도 아니면 형제자매, 조카 등 친족에 의지해야 하는가.

안락사를 넘어 존엄사 문제는 한 인간의 생을 마무리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다. 영화 《아무르Amour, 2012》는 노부부의 죽음을 다룬다. 영원한 사랑보다 먼저 찾아온 죽음 앞에서 선택지는 그리 많지 않다. 한동안 사랑의 끝 혹은 삶의 종착역을 생각하게 한 영화다. 시몬 드 보부아르의 『아주 편안한 죽음』은 자전적 소설이다. 사르트르와 여동생 푸페트가 실명으로 등장한다. 실제 1963년 어머니의 죽음을 맞이한 보부아르는 자신의 경험을 담아 그 이듬해 이 책을 출간했다.

150여 쪽 분량의 짧은 작품이지만 내용은 깊고 어둡다. 욕실에서 넘어진 어머니가 두 시간을 기어 전화기까지 가는 장면을 묘사하며 이야기는 시작된다. 우리들의 부모님, 우리 자신의 이야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진행형의 현실이다. 죽음은 시대를 가리지 않고 인간의 몸은 그리 많이 달라지지 않았다. 이후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수술을 하고 동생과 교대로 어머니를 돌보는 과정을 묘사한다. 이미 세계적인 작가로 명성을 떨친 딸에게도 어머니는 설명할 수 없는 존재다. 모녀지간이 모두 그렇지 않으나 보부아르는 당시 어머니를 기독교적 가치인 동시에 부르주아적인 가치, 나아가 가부장적 질서의 대변자로 간주했다. 애증의 관계였으나 늙고 병들어 죽음을 눈앞에 둔 어머니를 바라보는 시선은 복잡 미묘하다.

타자로서 아들이 아버지를 바라보는 순간, 딸이 어머니를 대하는 순간 오히려 관계가 편안하다. 거리 두기는 코로나 시대가 만든 사회적 질서가 아니라 가장 친밀한 부모와 자식간에 지켜야할 최소한의 예의가 아닐까. 부모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자식이나 죄책감과 미안함에 허덕이는 부모나 안쓰럽기는 마찬가지다. 그것이 반드시 경제적 대가, 물질적 보상이 아니라도 복잡한 심리적 관계가 개인의 삶을 송두리째 뒤흔들 수도 있다. 보부아르는 아주 담담하게 “엄마는 천국이 있다고 믿었다. 그렇지만 나이가 들어 쇠약해지고 병에 걸렸는데도 불구하고 엄마는 현세에 무척이나 집착했고, 죽음을 동물적으로 두려워했다.”라고 적는다. 객관적 거리가 불가능해 보이지만 관찰자의 눈으로 어머니를 바라본다. 딸에게 엄마는 어떤 존재인지 그 내밀한 관계를 짚어보기 위해 이 책을 읽을 필요는 없다. 다만 아주 오래전부터 딸에게 어머니는 어떤 존재인지 생각해볼 여지를 준다. 집집마다 모녀마다 사연인 말할 수 없을 만큼 길다. 사적인 관계가 일반화될 수 있는 지점이 있다면 보부아르는 이 책을 통해 세상의 여성들에게 무엇을 말하고 싶었을까.

죽음을 앞둔 어머니는 “죽음 그 자체가 무서운 건 아니야. 죽음으로 넘어가는 과정이 무서운 거지.”라고 고백한다. 병상에 누워서야 “너무 다른 사람들만을 위해서 살았구나. 이제부터는 나 자신만을 위해서 사는 이기적인 노인네가 될 테다.”라고 말한다. 누구나 겪는 때늦은 깨달음과 후회. 우리는 조금 더 일찍 죽음을 맞이할 준비를 할 수 없을까. 몸이 늙고 병들어서야 뒤돌아보는 대신 사는 동안 염두에 둘 순 없을까.

어느 누구도 편안하게 죽음을 맞이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자기 삶의 마무리를 스스로 선택할 수는 있어야하지 않을까. 어떻게든 조금 더 오래 사는 게 능사는 아니다. 보부아르가 관찰한 대로 인간의 존엄과 죽음은 아주 거리가 멀어진다. 생의 마지막을, 딸들과 이별하는 순간을 생생하게 바라보는 내내 불편한 마음은 가시질 않는다. 너무 일반적이고 당연한 과정이라서 특별한 장면이나 기록으로 남길만한 요소도 없어 보인다. 하지만 그 보편적 정서와 마음의 물결이 지나치게 생생하다. 그래서 오히려 불편하다.

우리도 언젠가 죽는다. 그것은 불확실한 자기 삶에 가장 확실한 단 하나의 미래다. 숱한 이야기를 남긴 채, 미련과 아쉬움을 뒤로하고 모두 떠난다. 그리고 살아남은 자의 슬픔은 온전히 하루라도 더 오래 사는 사람들의 몫이다. 나는 인간에게 죽음은 하나의 부당한 폭력이라는 보부아르의 말에 동의하지 않는다. 그것 또한 살아남은 자들에게나 적용될 수사에 불과한 게 아닐까.

30쪽에 달하는 강초롱의 <타인에 대한 애도를 통해 자기 자신과 화해하기>는 보부아르에 대한 배경지식이 부족한 독자에게 길잡이 역할을 한다. 어머니 죽음에 대한 애도가 결국 자기 자신과 화해하는 과정이라는 분석은 지극히 살아남은 자의 이기적 관점으로 읽히지만 논리의 비약으로 읽히지는 않는다. 자기 위로와 자기 기만이 모든 인간의 합리화 기제라면 아들이 아버지를 극복하고 딸이 어머니를 이겨내는 것도 지난한 삶의 필요한 과정이 아닐까.

모든 인간은 죽는다. 하지만 각자에게 자신의 죽음은 하나의 사고다. 심지어 자신이 죽으리라는 걸 알고 이를 사실로 받아들인다 할지라도, 인간에게 죽음은 하나의 부당한 폭력에 해당한다. - 15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