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주의를 권하다 - 스스로를 사랑하지 못하는 당신에게 내 인생에 지혜를 더하는 시간, 인생명강 시리즈 5
이진우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일의 사회학자 울리히 벡의 말처럼 21세기의 메가트렌드는 의심할 여지 없이 개인화individualization가 되었다. 개인주의는 근대의 발명품인 ‘낭만적 사랑과 연애’의 전제 조건이다. 21세기에 다시 유행하는 건 더이상 몰개성적 집단주의와 전체주의가 설 자리를 잃었다는 반증이 아닐까. 특히 코로나 감염병이 가져온 비대면, 비접촉 시대의 생존 방식으로 개인주의가 확고하게 자리 잡을 거라는 예상은 어렵지 않다. 그간 숱하게 쏟아져 나온 개인주의 예찬과 독려에 이진우가 힘을 보탠다. 제목처럼 개인주의는 권하고 말고의 문제가 아니라 이제는 생존을 위한 옵션이 아니라 자기 삶의 기본값으로 설정해야 한다. 니체와 한나 아렌트를 소개하며 방송을 탄 저자의 말솜씨는 글솜씨 못지않다. 기막힌 문장을 쓰는 작가의 어눌한 말투에 놀란 적도 있고 달변가의 쓰디쓴 문장을 읽어본 적도 있다. 말과 글을 두루 갖추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강의라도 한 문장씩 자신의 속도와 호흡에 맞춰 ‘읽는’ 행위는 불특정 다수를 향한 말을 ‘듣는’ 행위와 분명하게 차별화된다. 그래서 나는 여전히 오디오북이라는 말이 생경하다.

주변 사람들을 관찰하고 그들의 말과 행동을 분석해보면 내면의 욕망과 지향점은 물론 자존감과 콤플렉스까지 고스란히 들여다보게 된다. 오래 사귀고 깊이 아는 관계는 그만큼 불편하기도 하고 감내해야 할 것들이 적지 않다. 적당한 거리 두기는 코로나 시대 이전부터 사람과 사람 사이에 꼭 필요한 최소한의 예의다. 자기감정을 쏟아내는 친구, 배려와 헌신을 요구하는 연인, 사랑과 봉사를 원하는 가족, 우리가 남이냐고 묻는 선후배, 가족처럼 지내자는 직장 동료 등 선을 넘는 오지라퍼들은 타인의 불편함보다 자신의 만족감이 우선인 것처럼 행동할 때가 많다. 참견과 조언은 백지 한 장 차이다. 관심과 스토킹은 받는 자가 판단한다. 사적인 질문과 호기심을 친근감으로 포장하지 말아야 한다. 상대방의 불편함을 고려하지 않는 모든 말과 행동은 폭력이다. 침묵은 금이 아니라 때때로 무시와 분노의 표현이다. 이 모든 말과 행동이 ‘개인주의’라는 이름으로 허용된다는 착각이 개인주의에 대한 오해다.

이진우는 일상에서 맺는 모든 관계의 출발을 ‘자기 사랑’이라고 본다. 심리적 생존을 위해 ‘미니멀 자아minimal self’를 제안한다. 그러나 한국은 개인이 없는 사회다. 산업화와 민주화 과정을 거치면서 근대사회에 비해 개인화되었음에도 진정한 개인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진정한 개인’이란 권리의 주체로서 사회적 책임 의식을 가진 사람이다. 사회학자 송호근은 우리가 아직 성숙한 시민사회를 발전시키지 못했다고 말하면서 “시민사회의 시대에 한국에는 ‘비시민’이 넘쳐난다”고 진한단다. 시민 정신이 없는 시민은 사적 영역에 웅크린 이기적 인간일 뿐이라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한국에는 ‘개인’이 보편화되어야 사회가 더 높은 단계로 발전할 수 있다.(90쪽) 그러니까 우리가 흔히 이기주의의 포장지로 사용하는 ‘개인주의’는 권리의 주체로 사회적 책임 의식을 가진 사람과 거리가 멀다.

프리드리히 니체는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어떤 사람은 자신을 찾으려고 이웃에게로 가고, 또 다른 사람은 자신을 잃고 싶어서 이웃에게로 간다. 그대들 자신에 대한 그대들의 그릇된 사랑은 고독을 감옥으로 만든다.”라고 말했다. 고독을 감옥으로 만들지 않으려면 코로나 이후, 즉 비대면, 비접촉 시대의 개인주의는 이웃과의 교류에 자기만의 방식과 타인에 대한 배려, 역지사지의 태도가 반드시 필요하다. 인스타에는 불행이 없다. SNS는 언제나 정의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을 타고 흐르는 지식과 정보는 오히려 개인의 눈과 귀를 가린다. 이진우는 생각하는 나를 ‘이성적 사고의 산물로 계획하고 구상하는 콘셉션concetion’으로, 느끼는 나를 ‘자기 자신과 만나는 가장 원초적인 방식인 지각인 퍼셉션perception’이라고 표현했다. 대체로 인간관계는 퍼셉션으로 결정되며 중요한 선택과 판단의 순간에도 콘셉션이 오류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그래도 ‘노멀크러시normal crush’를 꿈꾸는 사람은 희망이 있다고 믿는다. ‘평범한 것에 반발하다’는 의미지만, 숨은 뜻은 ‘사회가 정한 기준을 따르기보다 소소하고 평범한 일상을 즐기는 것’이다. 과시적 소비 욕망이나 보여주기 위한 컨셉이 아니라면 개인주의자는 특별함과 평범함의 가치를 전복하는 사람이다. 이진우는 ‘모난 돌이 먼저 정 맞는다’는 속담을 “정상성에서 벗어나 조금이라도 특출나고 다르면 한국 사회에서는 그 태도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둥글둥글하고 모나지 않은 조약돌 같은 사람만이 집단에 수용된다. 개성을 추구하다가는 당장 타인의 시선에 걸려 배제되고 매도되며 경멸당한다.”라고 해석한다. 튀지 마라, 왜 너만 그러느냐, 가만히 있으면 중간은 간다, 왜 남 생각은 안 하느냐, 너가 그러면 우리는 뭐가 되느냐…… 일상에서 개인을 죽이는 말로 활용되는 수많은 조언과 충고를 견뎌낼 자신이 없는 사람에게 과연 이진우가 권하는 ‘개인주의’는 얼마나 효용 가치가 있을까, 싶은 생각이 앞섰다. 밤하늘을 보며 잠시 생각해 보자. 누구나 알고 있지만 쉽게 바뀌지 않고, 누군가 고쳐줬으면 내가 나서기는 싫은 일들에 대해.

압축 성장이 만든 기형적 한국 사회에서는 시민사회가 이중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대한민국은 겉으로는 오랜 시간 민주화 운동을 거치며 시민이 주인이 되는 사회를 이룩한 것 같지만 실제로는 시민이 없는 국민국가 형태다. 시민이란 행위에 책임을 지며 공공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구성원이다. 그러나 한국 사회의 구성원 대부분은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할 뿐 공공의 가치나 이익에는 별 관심이 없다. - 개인주의를 권하다, 19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