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세계는 존재하지 않는가 21세기를 위한 새로운 인본주의 1
마르쿠스 가브리엘 지음, 김희상 옮김 / 열린책들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깜깜한 밤하늘에 별을 보며 저 별은 어디서 반짝이고 있는지 궁금해지기 시작한 건 아마 일곱, 여덟 살 무렵이 아니었을까 싶다. 겨우 수백만 년 전 털 없는 원숭이에 불과하던 호모사피엔스가 현대 문명을 이루며 사는 2022년이지만 모든 인간은 ‘개체 발생은 계통 발생을 반복한다.’는 진화 과정을 단기간에 증명한다. 부모의 보호와 양육 없이 생존할 수 없는 느릿한 인간의 성장 과정은 슬프지만 아름답기도 하다. 돌이 지날 무렵 두 발로 땅을 딛고 서 호모 에렉투스의 삶을 시작한 순간의 환희를 선물한 기억으로 부모는 평생 자식을 바라본다. 애착 관계를 지나 사춘기에 접어들며 독립된 개체로 세상 속으로 나아갈 무렵 인간은 자신의 존재를 스스로 자각하고 세계에 눈을 뜬다. 나는 누구이며 어디에서 왜 태어났을까. 무엇을 위해 어떻게 살 것인가. 세상은 어떤 곳이며 세계는 어떻게 구성되었는가. 너무나 자연스런 생각의 갈피를 접으며 인간은 조금씩 성장한다. 밤하늘의 별이 뜬 곳이 궁금하다가 어둠은 어디에서 시작됐는지, 저 어둠은 어디까지 계속되는지, 반짝이는 별이 있는 곳은 어디인지 생각하다 잠이 들었다.

네 언어의 한계의 세계의 한계라는 비트겐슈타인의 말 한마디에 발이 묶여 아주 오랫동안 비틀거렸다. 결국, 한 인간이 인식하는 세계는 오감에 의한 감각적 세계가 아니라 언어로 명명된 대상 너머로 확장될 수 없는 것인가. 언어가 없는 세계는 인지할 수 없다는 말인가. 눈 앞에 맹점에 존재하는 대상은 존재하지 않는 것인가. 세계를 구성하는 범위와 한계를 밝히는 과학 이론은 증명할 수 없는 실재 세계를 어떻게 ‘안다’고 말할 수 있을까. 그 세계 너머에는 어떤 어둠과 빛이 있을까. 진화론, 양자역학, 불확정성 원리, 엔트로피 법칙이 말하는 세계의 진실은 생명의 미시적 영역부터 세계의 구성 방식을 이야기하지만 인간의 호기심과 존재론적 의미를 말해주진 않는다.

명민한 철학자 마르쿠스 가브리엘은 당신과 우주에서 시작해 유물론과 구성주의의 한계를 지적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을 지나 이제는 새로운 리얼리즘의 관점으로 세계를 바라보라는 요구는 낯설지 않다. 철학사의 핵심을 전달하기 위해서도 아니고, 자기만의 생각을 주장하기 위한 이야기도 아니다. 왜 세계는 존재하지 않는가에 대한 응답은 철학적 증명이 아니라 자기 존재에 대한 의심과 확인에서 비롯돼야 하기 때문이다. 자연과학의 세계관으로 세계를 본다고 해서 정답을 얻을 수도 없다. 종교와 예술의 측면에서도 이 문제에 접근하지만 이제 모든 철학의 제문제를 해결했다는 비트겐슈타인의 발언 이후에도 여전히 우리에게 남은 문제는 절대 해결되지 않는다. 그것은 주체적 삶이 가능하도록 ‘나도 너도 스스로 도는 힘을 위하여’온몸으로 밀고 나가야 하는 반성과 성찰의 삶이 필요하기 때문이 아닐까.

한 살 더 나이를 먹고 세월이 흐른다고 해서 현명해지거나 어떤 깨달음을 얻을 거라는 착각 때문에 사람들은 점점 더 편협한 세계에 갇히고 자기만의 기준이 더 단단해진다. 의심과 질문이 없는 삶은 쓰레기가 된다는 발언에 반감이 생긴다. 바로 저것이 문제라며 손가락으로 하늘을 가리키면 ‘just look up’이 아니라 《돈 룩 업don′t look up》을 외치며 현실에 안주하고 선악을 판단하며 선전선동에 속는다. 강물에 손가락으로 금을 긋듯 지나가는 시간을 구별하기 위해 나이와 연도를 새기고 나름의 의미를 부여하는 인간의 삶을 한 발 떨어진 자리에서 살펴보면 엄청난 희극이다. 가까이 다가가 각자의 비극을 확인하지만 않는다면 말이다. 사람들은 대부분 원근 조절에 실패하고 거리 두기를 평생 몸에 익히지 못한다. 진화심리학이 안내하는 자연선택과 변이의 간극을 메우지 못한 채 오늘도 각자 발밑에 땅바닥만 툭툭 차기 일쑤다. 그러다 어느 순간‘툭’하고 끈이 떨어진다. 마르쿠스 가브리엘의 “실제로 인간은 상당히 많은 부분에서 오류와 착각에 빠져 살아간다. 우리는 자신의 무지함이 어느 정도인지조차 가늠하지 못한다. 대개의 경우 자신이 무얼 모르는지도 알지 못한다.”라는 말이 뼈에 사무치는 이유다.

세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나는 존재하는가. 진화 과정에서 인간의 욕망과 행복은 매우 단순하게 세팅되었다. 생존과 번식을 위한 자연선택의 명령은 너무 단순하고 확실해서 반감을 일으킨다. 존재론적 질문과 철학적 사고가 어쩌면 인간의 본성과 너무 동떨어진 듯 보이지만 궁극적으로 인간에 대한 오해를 이해로 바꾸는 지름길이 아닐까 싶어진다. 나를 이해하지 못한 채 타인을 알고 싶다는 생각은 오만에 불과하다. ‘인생의 의미는 인생 그 자체, 곧 무한한 의미와 대결을 벌여 가는 일이며, 우리는 다행스럽게도 여기에 참여할 수 있다. 우리가 항상 운이 좋기만 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결국 자기 운을 스스로 만들어 가는 사람이 있고 인생의 무한한 의미와 무의미 사이에서 길을 잃는 사람도 있지 않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