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 세상에 없는 계절이다 랜덤 시선 16
김경주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권혁웅 시인으로부터 “한국어로 씌어진 가장 중요한 시집 가운데 한 권”이라는 찬사를 받은 시집 『나는 이 세상에 없는 계절이다』

 단 한 줄에 기대어 시집을 샀다. 우연히 만난 젊은 시인에 대한 평가 때문에 책을 사는 일이 드문데 무모할 정도의 평가에 호기심이 동했다. 게다가 ‘랜덤하우스중앙’에서 발간한 시집이었으니 뒤적거려보지도 않았을 것이다. 일종의 편견이지겠지만 창비나 문지, 실천문학사나 민음사 등 몇 개의 출판사는 시집을 선택하는 데 있어 내게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한다. 편식과 편견은 귀차니즘과도 연결되어 있다. 여기저기 기웃거리고 돌아다니며 찾아 나서는 게 귀찮기도 하고 불편하기도 하다. 그러다 보니 좋은 책을 놓칠 기회도 많아진다.

 김경주의 <나는 이 세상에 없는 계절이다>는 너무 거창한 평가와 기대 때문에 편안한 읽기가 불가능했다. 시집 전체를 훑어내거나 단편들 속에서 명문을 찾아내거나 하는 재미를 잃어버렸고 초조한 마음으로 읽어나갔다. 특이한 경험이었다.

외롭다는 것은 바닥에 누워 두 눈의 음(音)을 듣는 일이다 제 몸의 음악을 이해하는 데 걸리는 시간인 것이다 그러므로 외로움이란 한 생을 이해하는 데 걸리는 사랑이다  - ‘우주로 날아가는 방1’중에서

외로움이라는 인간의 표정 하나를 배우기 위해 산양은 그토록 별자리를 기억하고 있는지 모른다 바바게스트 하우스 창턱에 걸터앉은 젊은 붓다가 비린 손가락을 물고 검은 물 안을 내려다보는 밤, 내 몸의 이역(異域)들은 울음들이었다고 쓰고 싶어지는 생이 있다 눈물은 눈 속에서 가늘게 떨고 있는 한 점 열이었다  - ‘내 워크맨 속 갠지스’중에서

 다소 당황스럽다. 외로움에 대해 직설적으로 말하는 시를 오랜만에 만나는 기분이다. 감정을 드러내는 방식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서정시라지만 그것을 어떻게 보여주느냐 하는 것이 시인의 능력이라지만 ‘외로움’이라는 단어 자체가 불러일으키는 파장 자체가 만만치 않다. 그러나 ‘그러므로 외로움이란 한 생을 이해하는 데 걸리는 사랑이다’라는 선언 앞에서 무력해진다.

 인간의 본질적인 외로움에 대해 토해내는 시인들의 말이 이제는 진부할 만큼 감동과 울림이 없는 이유는 삭막해진 가슴 때문이거나 감정을 드러내는 일 자체가 사치스러운 상황 때문일지도 모른다. 모든 것이 눈에 보이는 시각적 이미지나 물질적인 것으로 환원되는 시대에 외로움이나 고독이 설 자리는 많지 않아 보인다. 근원적인, 가장 밑바닥에 자리잡은 감정들에 대해 말해야 하는 ‘서정시’의 시대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인지는 시인들만의 몫은 아니다. 전업작가로, 특히 시인으로 생활을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어디에서 어떤 모습으로 시를 길어 올리고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끌어내는가에 대한 관심과 개인적인 호기심을 넘어서 문학에 대한, 혹은 시에 대한 전망이 안개 낀 유리창과 같아 보인다.

 김경주의 첫 시집은 주목받을 만한 첫 시집은 그만한 찬사가 어울리든 아니든 ‘생활’ 속에서 마주치는 것들에 대한 촘촘한 그물망과 마주하게 된다.

어쩌면 벽에 박혀 있는 저 못은
아무도 모르게 조금씩 깊어지는 것인지 모른다

이쪽에서 보면 못은
그냥 벽에 박혀 있는 것이지만
벽 뒤에 어둠의 한가운데서 보면
내가 몇 세기가 지나도
만질 수 없는 시간 속에서 못은
허공에 조용히 떠 있는 것이리라

- ‘못은 밤에 조금씩 깊어진다’중에서

 일상을 벗어나서 우주나 존재론적 측면에서 인간에 대해 접근하는 시들에게 주어진 사명과 김경주의 이 시집에 드러난 접근 방식은 분명하게 구별되어야 한다. 한국어의 의미와 영역이 어디까지 닿을 수 있는지 끊임없이 실험하게 될 시인의 목소리는 이후에도 계속되리라 믿는다. 극찬과는 무관하게 묵묵히 그리고 자신의 길이 무엇이라는 생각도 없이 걸어가는 과정 속에서 보여주는 이야기들을 들어볼 참이다.

‘이 무시무시한 신인의 등장은 한국 문학의 축복이자 저주다’라고 평가를 받은 시인이 도대체 다음에 어떤 시를 써야 하는지 의문스럽다. 권혁웅 시인의 평가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도 독자들의 몫이겠지만 프로스포츠 신인왕 2년차의 징크스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는 시인의 몫이다. 첫 타석에서 홈런을 쳤다고 박수치는 소리에 어리둥절하지 않기를. 한 동료시인의 주관적 박수소리에 매몰되지 않기를 바랄뿐이다.


070221-0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