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기의 역사 나남신서 72
미셸 푸코 지음, 이규현 옮김 / 나남출판 / 200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흔히 미쳤다는 표현 속에 이렇게 많은 함의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다만 미심쩍은 눈초리와 의심스런 생각을 갖긴 했다. 질병으로서 미쳤다는 표현과 흔히 일반적인 용어로 미쳤다는 말은 차이가 많다. 정상에서 벗어난 것을 일상에서는 미쳤다고 표현한다. 현대 의학에서 미쳤다는 표현은 쓰지 않지만 뇌의 이상이나 다양한 정신질환자를 우리는 흔히 미쳤다고 표현한다.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불가능하면 미친 것이다. 그럼 나는 정상일까? 우리는 모두 정상의 범주 안에 놓여있나?

흔히 의미있는 작업들이라고 하면 인간 사회에 충격을 주거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분야에 대해 언급하는 책들이 야간 산행에서 만난 등불처럼 반갑다. 누가 처음이냐가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무언가에 대한 깊이 있는 고민들은 선명한 자국을 남긴다. 그런 의미에서 미셸 푸코의 <광기의 역사>는 뚜렷한 흔적을 남겼다.

‘고전시대의 광기의 역사’라는 원제를 줄여서 번역했지만 특정 시대의 ‘광기’에 집착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광기의 역사>로 읽어도 무난하다. 이 책은 책 자체가 갖는 의미와 저자의 명성을 무시하고 읽을 수 없어서 책을 읽는 내내 빛의 간섭현상 같은 느낌을 떨칠 수가 없었다. <감시와 처벌>로 번역된 ‘감옥의 역사’로 이 책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푸코의 사유가 어디에서 출발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책이었다.

고전주의에서 20세기에 이르기까지 ‘광기’가 어떻게 다루어졌으며 어떤 방법으로 처리되었는지 왜 중요한가? 그것은 인간의 이성을 들여다보는 또다른 프리즘의 역할을 한다. 17세기와 18세기의 광기가 19세기와 어떻게 다른가? 현재 우리가 받아들이는 광기는 무엇인가? 책을 읽는 동안 끊임없이 밑줄을 치며 잠깐씩 반복해서 읽어보았지만 쉽게 정리할 수는 없었다.

일반적으로 광기는 종교적 관점과 도덕적 관점에서 접근되기 시작했다. 쉽게 말하면 이성이 아닌 비이성의 관점이냐 도덕의 관점이냐가 중요하다. 어떤 관점으로 접근하느냐에 따라서 광기에 대한 태도와 대응 방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두 가지 관점이 확연하게 구분되는 것도 처리 방법이 전혀 다른 것도 아니지만 그 사회가 지닌 ‘광기’에 대한 태도는 인간 이성의 역사를 조망할 수 있는 잣대가 된다.

구빈원에서 출발해서 현재의 정신병원에 이르기까지 푸코가 추적하고 싶었던 광기의 역사는 ‘인간 이성의 역사’의 다른 이름이다.

지혜에 비하면 인간의 이성은 광기일 뿐이었고, 사람들의 얄팍한 지혜에 비하면 신의 이성은 광기의 본질적 움직임 안에 놓여 있다. 큰 차원에서는 모든 것이 광기일 따름이고, 작은 차원에서는 전체가 그대로 광기이다. - P. 92

이 책을 읽는 내내 떠나지 않는 생각이 있다. 나는 미쳤나, 정상인가. 여러 가지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광기에 대해 설명하고 분석하고 있지만 현재의 관점에서도 모호하기는 마찬가지다. 사회적 의미와 태도가 달라졌을 뿐 광기는 여전히 우리 주변에 다양한 형태로 내재되어 있다. 다만 그것을 바라보는 눈이 달라졌을 뿐이다.

숱한 역사적 자료와 텍스트를 넘나드는 푸코의 사유를 통해 ‘광기’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이 책은 소설을 읽는 것처럼 단숨에 읽어야 한다. 호흡이 끊기거나 단절되고 나면 하나로 집중하기 어렵다. 니체와 고흐, 아르토를 예를 들며 책의 ‘인간학의 악순환’으로 책을 끝내고 있는 저자의 의도는 예술에서 나타나는 광기가 사회적인 부분과 어떻게 다르게 수용되는지 묻고 있는 듯하다.

사회가 수용할 것인가 배제할 것인가에 따라 광기의 운명은 갈라진다. 광기를 어쩌자는 것도 어떻다는 것도 아니다. 그것의 역사를 통해 인류가 걸어온 길을 되돌아본다. 인간이 인간일 수밖에 없는 조건인 ‘이성’에 반해 ‘비이성’으로 분류될 수밖에 없는 ‘광기’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그것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

실재 현실에서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어떤 태도를 취하고 있는지 생각해 보면 푸코가 고민했던 생각의 끄트머리를 짐작할 수 있다. 제 정신으로 살기 힘들 것 같았던 역사를 돌아보면 정상으로 분류된 사람들이 미친 것은 아니었을까 하는 엉뚱한 상상을 해본다. 미친게 미친게 아니라 정상이 비정상인 사람들과 세상 속에서 고민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그 고민은 어떤 것인지, 더욱 혼란스럽기만 하다.

용어와 개념이 낯선 부분들과 심각한 번역투의 문장(우리말 구조와 어순이 망가져버린)들이 문맥을 흐려놓고 이해를 방해하는 부분들은 어쩔 수 없는 한계일 수도 있겠지만 어렵지 않은 부분들도 어렵게 느껴지게 하는 방해 요소가 되었다.

광기는 다만 이성의 날카롭고 비밀스러운 힘일 따름이다. - P. 96

광기는 ''착각''의 가장 순수하고 가장 완전한 형태이다. - P. 105

광기는 이성의 완전한 부재인데, 사람들은 광기를 ''이성적인 것의 구조''라는 바탕 위에서 그러한 것으로 곧장 인식한다. - P. 317

광기는 진실과 인간의 관계가 혼란되고 흐려지는 바로 거기에서 시작된다. 광기가 일반적 의미와 특별한 형태들을 띠는 것은 바로 이 관계의 파괴와 동시에 이 관계로부터이다. - P. 400

광기는 설령 보호시설 밖에서 결백을 선고받는다 해도 어김없이 보호시설에서 처벌받게 된다. 광기는 오랫동안, 적어도 오늘날까지는 도덕의 세계에 유폐되어 있다. - P. 767


광기에 대한 무수한 정의들과 분석들을 통해 푸코가 생각하는 광기가 아니라 우리가 인식해 왔던 광기의 역사를 재점검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광기도 결국 인간과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일 뿐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070103-0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