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각사
미시마 유키오 지음, 허호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한 인간에 탐구와 진지한 관심이 문학의 출발이다. 그 개인이 사회와 인류로 확장된다. 문학의 중심에는 항상 사람이 놓여있다는 데 이의를 제기하기는 힘들 것이다. 그 수많은 소설들 중에서 유독 미시마 유키오의 소설이 우리에게 커다란 의미를 지니는 것은 다양한 이유들 때문이다. 작품의 배경이 된 시대와 상황, 작가의 특별한 죽음, 극적인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야기 등등.

<금각사>의 작가 미시마 유키오는 1970년 11월 25일, <천인오쇠>의 마지막 원고를 신조사에 넘겨 준 후, ‘다테노카이’ 대원들과 육상 자위대 이치가야 주둔지에 난입, 자위대의 궐기를 외치고는, 동부 방면 총감실에서 할복자살하였다. 일본 군국주의의 부활과 우경화에 대한 우려가 심각해지는 상황이 지금 현재만의 문제는 아니었다. 길고 긴 세월속에서 일본이라는 나라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

일본 문학에 대한 본격적인 관심을 넘어 ‘미시마 유키오’라는 작가의 죽음이 주는 의미와 일본 문학에 끼친 영향들에 대해 다른 책을 통해 읽다가 문득 그의 <금각사>를 읽었다. 1956년에 완성된 일본 소설을 평가하는 것은 개인적으로 의미가 없다. 소설의 완성도에 대한 의견이나 우리 문학과의 비교도 의미 있겠지만 호기심은 이 소설을 쓴 작가에 집중되어 버렸다.

소설의 주인공 미조구치와 그의 친구 가시와기는 작가에게 분명히 자신의 정체성을 투영한 분신처럼 보인다. 미시마 유키오의 성장배경과 성격이 반영되어 나타난 부분이 많다. 우리 소설에서 김동인 보여주였던 유미주의 계열의 소설로 볼 수 있는 이 소설의 미의식은 다양한 방식으로 평론가들에게 변주되었다. 특히 관심이 가는 부분은 ‘인식가’인 가시와기와 ‘행동가’인 미조구치 사이의 관계다. 애증 관계에 있는 두 주인공은 나르치스와 골드문트의 관계와는 또 다른 양상을 보인다. 서로 갖지 못한 부분에 대한 열등감은 정신병적 이상 증상으로 나타나 결국 ‘금각사’를 불태우는 극단적인 행위로 나타난다.

나에게는 모든 것이 먼 옛날의 사건이라고밖에는 생각되지 않았다. 둔감한 사람들은 피가 흐르지 않으면 허둥대지 않는다. 하지만, 피가 흘렀을 때에는 비극은 끝나 버린 다음인 것이다. - P. 22

잊혀진 ‘기억’은 일종의 역설이다. 생각해보면 누구에게나 먼 옛날의 사건들이 존재한다. 그 트라우마는 우리의 기억을 지배하고 삶을 결정하며 현실을 조종하기도 한다. 주인공에게 있어 우이코의 죽음은 그의 생애 전반을 지배한다. 소설 초반부에 피를 흘리며 쓰러져 버린 우이코는 ‘금각’에 투영되어 환영처럼 나타난다. 주인공에게 있어 우이코가 금각이고 금각이 곧 우이코가 된다.

이 소설은 그렇게 한 인간의 내면에 자리잡고 있는 악마적인 모습들을 드러내기도 하고 자신이 가진 콤플렉스에 반응하는 방식들에 대해 되볼아보게 하기도 한다. 엉뚱한 방식의 소설읽기는 자유롭게 상상될 수 있는 법이니까 말이다.

종종걸음으로 가는 꾀죄죄한 허리띠의 뒷모습을 바라보며, 어머니를 유달리 추악하게 만드는 것이 무엇인가를 나는 생각했다. 어머니를 추악하게 만드는 것은…… 그것은 희망이었다. 습기 찬 담홍색의, 끊임없이 가려움을 느끼게 하는, 이 세상의 그 무엇에도 뒤지지 않는, 더러운 피부에 번진 완고한 옴과도 같은 희망, 불치의 희망이었다. - P. 210

희망을 추악하다고 말하는 미시마 유키오는 한 인간에게 있어 부질없는 희망이 얼마나 큰 고통인가를 보여주는 듯하다. 그것이 작가의식이든 주인공의 성격에 대한 반영이든 나는 이 소설에서 손에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는 풀처럼 끈끈한 희망의 지겨움을 읽었다. 그것이 무엇이든 어떤 의미이든 상관없이 우리는 얼마나 큰 욕망 속에 존재하는지 확인하게 된다.

현실이 서글프다면 소설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는 더욱 명료해진다.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 희망이 용도 폐기되는 현실을 확인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한 인간에게 무의미한 단어를 이 소설에서는 애써 외면한다.

“삶을 견디는 다른 방법이 있으리라고 생각하지 않니?”
“아니. 나머지는 광기나 죽음이지.”
“세계를 변모시키는 건 절대로 인식이 아니야.”라고 얼떨결에 나는, 고백에 가까운 위험을 무릅쓰고 반박하였다. “세계를 변모시키는 건 행위야. 그것밖에 없어.” - P. 226


세계를 변모시키는 것은 ‘인식’이 아니라 ‘행위’라는 사실을 왜 모르겠는가. 행위 이전에 용기가 선행되어야 한다. 인식을 통해 용기가 생기가 그것은 현실에서 구체적인 행위로 나타나 실천하게 된다. 불행하게도 미조구치는 금각사에 대한 ‘방화’를 행동으로 옮겼다. 어떤 행동이든 그것은 우리를 현실에서 벗어나게 해 줄 수는 없다. 다만 현실을변화시킬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아니면 영원히 현실에서 격리된다. 전후 일본 소설의 정점을 이룬다는 평가를 받는 미시마 유키오의 <금각사>는 재미없는 소설이지만 의미있다.


061124-1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