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극장 - 막이 내리고 비로소 시작되는 아버지, 어머니의 인생 이야기
노명우 지음 / 사계절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만하면 됐다.’

아버지는 생전 처음으로 어머니에게 칭찬의 말을 건넸다.

당신 수고 많았다.” - 413

 

인생이란 고칠 수 없는 단 한 번의 연극이라는 비유는 식상하지만 그보다 적절한 표현을 찾기도 어렵다. 노명우의 인생극장을 읽는 동안 몇 번 코가 시큰했고 눈물이 고였다. 2015년과 2016년에 잇달아 아버지와 어머니를 떠나보낸 노명우처럼 2017년 봄에 아버지가 떠나셨기 때문만은 아니다. 모든 공감은 유사성에서 기인한다. 이해할 수도 상황, 상상해 본적 없는 감정에 공감하기는 어렵다. 이 책은 감동을 받은 책이 아니라 공감한 책이다. 감동과 공감은 다르다.

 

1924년생 노병욱 요셉과 1936년생 김완숙 세실리아는 사회학자 노명우의 부모다. 살아계셨다면 80, 90대 노인이다. 그분들은 우리들의 할아버지, 할머니 혹은 아버지, 어머니라는 일반명사로 읽을 수 있다. 왜냐하면 그저 그런사람이었기 때문이다. 노명우가 시도했듯 1917년생 영웅박정희가 걸었던 삶의 궤적과 확연히 구별된다. 박정희도 모자라 그의 딸까지 모셨던 대한민국의 근현대사가 두 분의 삶에 고스란히 녹아 있다. 사회학자의 눈에 비친 두 분의 삶은 고스란히 대한민국 사회의 과거이며 현재이고 미래다.

 

염려했던 대로 아들로서 돌아가신 부모를 그리워하는 애잔한 마음과 지극히 주관적인 언사가 군데군데 집중력을 떨어뜨렸으나 지나치진 않았다. 메마르고 객관적 시선으로 서술하는 방식 또한 공감을 덜어냈을 테니까. 노병우 요셉은 충남 공주에서, 김완숙 세실리아는 서울 창신동에서 태어났다. 노명우는 파주 광탄면 신산2리에서 인생극장의 막을 올렸다. 아들 사회학자가 부모자연인으로 바라보는 데는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하지 않았을까. 막이 내리고 비로소 시작되는 아버지, 어머니의 인생 이야기에는 아직 마르지 않은 눈물 자국이 선명해서 조금 불편했다.

 

다만 사회학자의 눈에 비친 당대의 모습과 그 시대를 살아왔던 이 땅의 모든 그저 그런사람들의 이야기가 내게도 일부 겹쳤기 때문에 훨씬 더 공감할 수 있는 폭이 넓었다. 일제 강점기, 6.25 전쟁, 박정희 시대를 기억하는 세대가 이젠 망자가 되거나 노년에 접어든다. 시대를 읽어내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노명우는 영화를 선택했다. 실제 당시의 영화를 보며 이야기를 나눈 강좌 덕에 만든 책이지만 영화의 내용을 소개하는 내용도 흑백 사진을 들여다보는 것처럼 재밌다. 그리 멀지 않은 과거의 일인데도 이제는 아주 먼 옛날 얘기처럼 들린다. 그만큼 변화의 속도를 따라잡기 힘들다는 얘기겠지만. 텍스트는 여전히 소수만 공유하는 세계다. 성인 104명은 전혀 텍스트를 접하지 않는다는 2017년 국민독서실태조사의 결과가 오히려 놀랍다. 어쨌든 6명은 읽는다는 말이니까.

 

유시민의 나의 한국현대사1959년부터 2014년까지의 역사를 다룬다. 이에 비해 노명우의 인생극장1924년부터 1960대를 주로 다룬다. 이후의 이야기는 후일담에 해당한다. 1966년생 막내 아들이 바라본 부모님의 삶은 우리 사회의 축소판이다. 역사학자라면 그분들의 삶은 그대로 미시사 연구의 사료로 사용되기에 충분했으리라. 다만 노명우도 부모님이 남긴 자료와 흔적이 많지 않아 동시대의 영화, 통계 자료로 갈음한다. 레인보우 클럽에서 무지개 다방으로 바뀌는 과정은 우리의 근현대사의 이면을 그대로 드러낸다. 부모가 공무원이나 회사원이었다면 노명우는 이 책을 쓰지 못했으리라. 식민지 시대부터 6.25 전쟁 그 이후의 삶은 모든 사람의 인생을 한 편의 소설보다 파란만장하게 만들었다. 이 책은 그 시대를 읽어내는 객관적인 기록이면서 지극히 사적인 고백이다.

 

살아 있는 사람에게 세상은 한창 상영 중인 영화다. 어서 빨리 엔딩 크레딧을 보고 싶은 사람도 있을 테고 이제 막 클라이맥스를 찍고 있는 사람도 있다. 행복하고 즐거운 사람도 있고 비참하고 우울한 사람도 있을 터. 그러나 곧(?) 막을 내린다. 조금 다른 방식으로 자기 영화의 스토리를 바꿔보고 싶다면 용기와 변화가 필요하다. 아무도 시나리오를 써주지도 고쳐주지도 않는다. 타인과 세상에 대한 손가락질의 방향을 돌려야하지 않을까. 모두 내 탓이라는 낮은 자존감도 문제지만 자기 영화의 스토리를 남에게 맡기는 사람도 문제다. 노명우의 말대로 우리 모두 인생극장의 주인공이다. 조연인척 하지 말자. 감독이나 작가를 욕하면 달라질까.

 

아주 가까운 사람이 세상을 떠나면 채 몇 달이 지나지 않아 우리는 그와 그토록 함께 나누고 싶었지만 그가 멀리 가고 나서야 비로소 정체가 드러나는 그 무엇을 알아차린다. 우리는 그가 더 이상 이해하지 못하는 언어로 그에게 마지막 인사를 보낸다. - 발터 벤야민, 일방통행로재인용, 43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