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사가 귀찮고, 일없이 빈둥거리고 싶을 땐 애거서 크리스티 추리소설이 제일이다. 그래서 해문의 문고판 애거서 크리스티 전집 25권 [삼나무 관]을 집어들었다. 이 책을 다 읽고는 잇따라 26권 [구름 속의 죽음]도 읽어버렸다. 둘 다 예전에 읽었던 것이 틀림없다. 다시 읽어도 재미있다. [구름 속의 죽음]은, 오래 전 읽었던 게 분명한데 이상하게 집에 책이 없다. 누군가에게 빌려줬나? 이사하면서 빠뜨렸나? 전혀 기억나지 않는다. 그래서 얼마 전에 다시 샀다.
역시 번역은 가끔 웃긴다.
포와로는 그녀를 주시하며 부드럽게 말했다.
“예, 그리고 당신들은 모두 함께 그 집으로 올라갔죠?”
“예. 우리는 ― 응접실에서 그 샌드위치를 먹었어요.”
포와로는 한결같이 부드러운 어조로 말했다.
“예, 예 ― 여전히 그 꿈속에서...... 그리고 난 다음.......”
“그리고 난 다음?” 그녀는 눈을 크게 떴다. “저는 그녀를 두고 나왔어요 ― 창문 곁에 서 있는 것을 보고. 전 식기실로 갔죠. 당신 말씀대로 여전히 꿈속에서였어요......” - [삼나무 관] 262쪽.
“꿈속에서”라니? 지금 이 여자는 꿈 이야기를 하는 게 아니다. 살인 사건이 일어난 당시 상황을 회상하는 장면에서, 왜 갑자기 “꿈속에서”라는 표현이 등장할까? “멍한 상태”나 “꿈처럼 몽롱한 정신으로”라는 뜻 아닐까? 대충 뜻을 짐작할 수 있으니까 봐준다.
이번엔 유난히 인종 차별적인 표현이 눈에 띈다. "유대인 같은 코를 가진 남자"([삼나무 관])라느니(유대인 같은 코란 어떤 코일까? 아무튼 좋은 느낌으로 쓴 말은 분명 아니다.), 아주 멀쩡한 선남선녀가 서로 호감을 느끼며 공통점을 꼽는 부분에서 “그들은 개를 좋아했고 고양이를 싫어했다. ... 두 사람은 큰 소리로 떠드는 것과 시끄러운 레스토랑, 그리고 흑인을 싫어했다.”([구름 속의 죽음])는 말이 버젓이 등장한다. 1930년대 평범한 영국인의 상식이 이 정도라는 거겠지. [구름 속의 죽음]이란 소설 자체는 걸작인데, 조금 언짢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