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남편
에프라임 키숀 지음, 변상출 옮김, 송은경 그림 / 좋은생각 / 2004년 7월
평점 :
절판


7년쯤 전에 벽호 출판사에서 나온 [가족]을 읽고 에프라임 키숀이란 ‘풍자 작가’를 알게 되었습니다. 1924년 헝가리에서 태어나, 2차 세계대전 때 강제수용소에서 살아남은 뒤 이스라엘이 건국되자 그리로 이주(1948년 건국, 1949년 키숀 이주)해서, 히브리어로 글을 쓰는 몇 안 되는 작가라고 합니다. 그의 작품은 전 세계적으로 유명하지만, 히브리어를 번역할 수 있는 나라는 별로 없으므로 그의 작품은 모두 일단 독일어로 번역되고, 다른 나라에서는 그 독일어판을 다시 자기네 나라 말로 옮긴답니다.

[가족]을 읽고는 포복절도했어요. 좌충우돌 어리석은 듯하면서 현명한 보통 사람들과 왁다글닥다글 복작대는 집안, 세계 공통인 ‘아줌마’의 슬기와 염치를 다 가지고 있는 “세상에서 가장 멋진 아내”와 세상에서 가장 사랑스럽지만 죽이고 싶을 만큼 밉기도 한 아이들, 이스라엘이란 나라의 관료주의와 삐걱거리는 기계문명과 얼토당토않은 상술 들! 이 책이 무지하게 재미있어서, 미술평론가이기도 한 이 사람이 쓴 [피카소의 달콤한 복수]도 사서 읽었지요. [피카소의 달콤한 복수]는 난해한 현대미술을 비꼰 책입니다. 이 책도 유쾌했어요. (다양한 미술 작품 사진을 보여주며 내내 “피카소의 난해한 그림은, 알 듯 모를 듯한 말을 이어붙이는 걸 업으로 삼는 평론가들을 골탕 먹이기 위한 것이었다. 피카소 한 명이 그렇게 했으면 됐지, 점점 난해해지는 현대미술은 뭐냐? 작가는 자기가 뭘 표현한 건지 정말 알기나 하냐?” 하고 씹은 책이지요. ^^;; 그러고 보니 미술에 대해서도 이 사람 꽤 보수적이군요.)

이 [가족]이란 책을 친구에게 빌려주었다가 잃어버리고 말았어요. 이번에 좋은생각 출판사에서 [세상에서 가장 멋진 아내]와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남편]을 낸 걸 보고, 혹시 같은 책이 아닌가 해서 보았습니다. 같은 책은 아니었어요. 이 작가는 워낙 짤막한 콩트 형식으로 신문이나 잡지에 글을 쓰고, 그 글들을 묶어 책을 내기에 같은 이야기가 이 책 저 책에 중복해서 실린 경우도 있어요. 하지만 대체로 다른 작품이었습니다. 그리고 [세상에서 가장 멋진 아내]는 그의 작품에 줄곧 등장하는 그의 “세상에서 가장 멋진 아내”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자, 아예 아내만을 주제로 책을 쓴 모양입니다.

그런데 말이죠, [가족]을 읽었을 때처럼 뒤로 넘어가도록 재미있지가 않았어요. ‘보수적이지만 나름대로 선량한 지식인 남성’의 시각이 짜증스러울 때도 있었습니다.얼마 전 [팔레스타인]을 읽었기 때문일까요? 이 사람이 누리는 ‘중산층’의 삶, 독일이나 프랑스에서 비행기로 모셔 가는 유명 작가로서 누리는 특권, 눈에 보이고 손에 걸리는 모든 걸 웃음거리로 만들 줄 아는 여유, 그런 것들이 어떤 이들의 삶을 밟고 올라선 것인가, 하는 생각이 내내 걸려서일까요? 분명 그도 나치 때문에 혹독한 시련을 견뎌야 했고, 그러한 경험 뒤에 자신들 민족이 차별받지 않을 수 있는 나라를 선택했어요. 그리고 이스라엘은 유대교로 개종하기만 하면 어느 나라, 어느 인종의 사람이라도 받아들입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바로 그 ‘유대교의 유일신’을 내세우며 평화 공존이 아니라 억압과 배타를 선택했지요. 그 결과 이스라엘에서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희극 작가가 등장할 수 있었지만, 팔레스타인에선...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이 사람 책을 보고 웃을 수 있을까요. 

그 때문만은 아니겠지요. 그의 작품 중에는 새로이 상품으로 등장한 기계를 비꼬는 이야기가 많은데, 그게 70년대, 80년대 이야기이다 보니 지금으로선 공감이 안 될 때가 많습니다. 그리고 보수적인 시각도. 뭔가 보물을 잃은 듯한 느낌이에요. (그렇다고 영 재미없었던 건 아니에요. 키득거리며 웃기도 했어요.)

그런데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남편] 105쪽, 106쪽에 나오는 이스탄불의 ‘탑카피’는 톱카프 궁전이겠지요? 그리고 184쪽에선 너비를 ‘넓이’라고 해놨어요. 넓이는 면적이고 너비는 폭인데!

에프라임 키숀Ephraim Kishon은 [세상에서 가장 멋진 아내]를 1981년,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남편]은 1983년 발표했습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없는 이 안 2004-11-07 08: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숨은아이님 리뷰는 참 독특해요. 내용이나 감상 외에 다른 부수적인 출판의 이야기나 교정이나 편집의 오류까지 엿들을 수 있으니 후한 선물상자 같아요. ^^ 그런데 한 작가에게서 남매 같은 작품제목을 본다는 건 좀 맘에 안 들어요. 전 김훈의 현의 노래 제목을 보고는 솔직히 작가사 좀 실망스러웠거든요. 물론 나름대로의 계산이기도 하겠지만, 전작 칼의 노래 분위기에 좀 어긋난 제목짓기가 아니었나 싶어서. 재미있는 리뷰 잘 읽고 갑니다!

숨은아이 2004-11-08 11: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안님은 제 리뷰에 늘 후하셔. ^^ 내용이나 감상을 멋들어지게 쓰지 못하니, 책에 얽한 기억을 나름대로 다 적어서, 정보 면에서라도 쓸모 있는 리뷰를 만들고자 하는 노력입니다. ㅠ.ㅠ 책 제목을 남매 같이 단 건 아무래도 독자의 호기심을 끌려는 상업적인 목적 때문이겠죠. ;-)

하얀마녀 2004-11-08 16: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진실을 몰랐으면 그냥 재밌게 읽으실 수 있었을텐데요. 그래도 모르고 속는 것보단 가슴 한켠이 무거워도 아는 쪽이 좋죠? ^^

숨은아이 2004-11-08 17: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얀마녀님, ^^; 그런데 꼭 그 때문만은 아닐 거예요. 예전에 너무 재밌게 읽어서일까, 그만큼 재미있지가 않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