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1시간 노트 - 인생을 바꾸는 시간 전략, 개정판
야마모토 노리아키 지음, 서수지 옮김 / 책비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 사람들은 이런 책을 좋아하는 것 같다. 그냥 블로그에 올라올 내용을 짜집기한 구성이다. 

내용은 너무 단순하다. 그냥 일찍 아침에 일어나서 가장 하고 싶은 걸 하라는 거다. 

말은 쉽지만 행동은 어렵다.

올해는 새로운 습관을 만들려고 노력 중이다.

6개월 정도 간헐적 단식, 음식, 운동, 수면 등에 대한 습관이 조금 정착되었다.

그렇게 되다 보니 다른 습관을 만들고 싶어졌다.

일단 수면을 8시간 지키려다 보니 저녁에 무슨 일을 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래서 아침 시간을 활용하기로 했다. 

5시쯤 일어나 한 시간 글쓰기를 하는게 목표다. 


이제 시작이다. 매일 못해도 최대한 노력해보려고 한다. 

지금 나에게 가장 중요한 건 잠이다. 잠도 보장하고 글도 쓸 수 있는 방법으로 아침 한 시간을 활용해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번 생은 초록빛 - 아끼고 고치고 키우고 나누는, 환경작가 박경화의 에코한 하루
박경화 지음 / 한겨레출판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놀랍다. 내가 쓴 것 같이 너무 익숙한 내용의 책이다.

환경 운동에 관심이 많아서,

박경화 저자가 쓴 내용의 80%는 나도 이미 하고 있다.

물건 오래 쓰기, 나눠쓰기, 텃밭 가꾸기, 고쳐쓰기, 걸어 다니기 등등


아직 내가 시도하지 못한 건, 종이상자나 포장지 등을 판매점에 돌려주기, 포장상자 나눔 하기, 대장간 가기 등이다.

서울에 있는 유일한 대장간, 아버지와 아들이 하는 곳:

불광대장간: https://blog.naver.com/malgum61/223169777666

이런 곳들은 참 소중하다.


제도적으로 쓰레기를 적게 만들 수 있는 법이나 정책을 많이 만들면 좋겠다.

나도 가끔 하는 게 먹다 남은 과일의 씨를 심어보는 거다.

그런데 자주는 못한다. 저자는 귤, 비파 씨도 심어봤다고 한다!


우리 동네에서도 환경을 살리기 위한 활동과 모임들이 많다.

전기를 안 쓰는 무전기 데이, 수리수리 연구소, 아나바다 등.

실천하고는 있지만, 이 책을 읽고 더 열심히, 초심으로 돌아가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역시 가끔 이렇게 자극제가 되는 책을 읽는 게 필요하다.

지구를 지키고 싶고, 환경을 살리기 싶은 분들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책으로 <이번 생은 초록빛>을 추천한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징검다리 - 어느 난민 가족의 여행 철학하는 아이 10
마그리트 루어스 지음, 이상희 옮김, 니자르 알리 바드르 사진, 정우성 해설 / 이마주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돌로 표현한 그림책이 창의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분홍 모자 철학하는 아이 9
앤드루 조이너 지음, 서남희 옮김, 김지은 해설 / 이마주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7년 1월 21일은 세계 곳곳에서 500만 명의 여성이 '세계여성공동행진'을 한 날이다. 

프럼프의취임식 다음 날이었다. 

미국 로스엔젤레스에 사는 크리스타 서와 제이나 츠바이먼은 함께 뜨개질 수업을 듣다가 당시 대통령 후보였던 트럼프가 여성의 몸을 함부로 낮추고 얕보는 발언을 하는 것을 지켜보게 되었다. 분노한 그들은 여성의 권리를 지지하는 연대의 표시로 Cat-eared knit hat인 pussy hat project를 제안하게 됩니다.


그림책에서는 할머니가 뜬 분홍 모자가 여정을 거쳐 소녀에게 이릅니다.

그리고 그 소녀도 행진에 참여합니다.


다시 올해 트럼프가 당선된 걸 보니 다시 행진을 해야하지 않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온한 공익 - 왜 어떤 ‘사익 추구’는 ‘공익’이라 불리나
류하경 지음 / 한겨레출판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민주 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노동위원회 소속 변호사인 류하경 저자. 변호사가 된 이후부터 소수자, 약자와 함께 싸워왔다. 현재 관악구에서 법률사무소 '물결'과 동네책방 '밝은책방'을 운영하고 있다.

내용은 가볍지 않다. 약자의 편에서 공권력과 맞서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책을 안 봐도 알 수 있다.

저자는 대학생 때는 청소노동자 조합설립, 쌍용자동차 해고 노동자 분향소 강제 철거하고 집회를 원천 봉쇄하자 대한문 앞에 집회신고를 냈다. 경찰이 집회신고를 제한하는 통고를 하자 '집행정지신청'을 했다.

정치하는엄마들을 도와 스쿨미투 처리 결과 정보 공개 활동을 함께 했다. 서울시교육청에 피해자와 가해자 분리 여부, 가해 교사 직위해제 여부, 교육청 징계 요구 내용 및 처리 결과.

가해자는 선생이고 학교는 공범이었다. 서울시교육청은 피재라를 방패막이로 삼았다. 법원에서 "향후 교내 성폭력 사건의 고발 및 그 처리 과정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계기" "교육기관 내에서 벌어진 성폭력 사건의 조사 결과와 그에 따른 징계처분의 결과가 어떠했는지 알리는 것은 학부모를 비롯한 일반 국민들에게도 매우 중요한 관심사""이 사건 나머지 정보는 헌법상 알권리나 정보공개법에 의한 정보 공개청구권의 보호 범위에 포함시켜 이를 공개하도록 할 필요성이 크다"라고 명시했다.

하지만 서울시교육청은 승복하지 않고 항소했다.

서울시교육청은 이중적이고 위선적이었다.

책을 읽다 보면 경찰은 '국민의 봉사자'가 맞는지, 교육은 학생 편이 맞는지 의심하게 된다.

국가는 국민의 '불신'을 해소해야 할 사명이 있지만 과연 얼마나 그 사명을 다하는지. 국민으로서 싸워야 할 일이 너무 많다.

민주주의를 유지하기 위해 선거제도와 함께 정보공개제도가 민주주의 꽃으로 불린다. '정보공개' 청구를 무시하는 것은 민주주의를 짓밟는 것이며, 범죄 은폐, 범인은닉과 마찬가지 행위다.

결국 민주주의를 지키는 것은 시민들의 몫이다.

이 책을 읽다 보면 저자와 같은 시민들이 있기 때문에 민주주의가 지켜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책 읽는 것이 민주주의를 발전에, 그리고 우리의 몫을 대신하고 있는 저자와 같은 사람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