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랑은 당연히 아니고 그렇다고 비하도 아닌데 내가 좀 까막귀다; 어린날 남들보다 훨씬 빠른 시기에 피아노학원을 때려쳤을 때 이미 이런 상태였다. 핑계를 궁리하자면 이렇다. 그때 우리집엔 피아노는 고사하고 멜로디언도 없어서 음악에 재능이 있던 언니조차 음악 시험은 다 리코더로 쳤다. 그럼에도 아이들이 다니는 걸 보고 내가 졸랐던 건지, 하여간 나는 피아노학원을 다녔다. 나중에 알고 보니 집에 피아노가 있어도 연습이 그렇게 싫다는데, 나는 종이 건반을 두드리는 처지였으니 재미가 있을 리도 실력이 늘 리도 없었다. 설상가상으로 매주 청음 시험은 나를 좌절의 늪으로 떨어뜨렸다. 선생님이 건반을 두드리면 오선지 카드에 음표를 그리는 거였는데, 나의 정답률은 절망적인 수준이었다. 이제 와 생각해보면 그것도 집에 피아노가 없어서는 아니었을까, 약간 애틋하다....고만 할 수는 없다. 그래, 어쨌든 재능은 없었던 거다.
고등학교 때 음악 선생님은 학교를 통틀어 가장 엄격한 할아버지셨다. 음악시간은 언제나 클래식 감상으로 시작했고, 시험엔 늘 듣기 평가가 들어 있었다! 학교 앞 문방구에선 시험범위에 해당되는 곡들을 녹음한 카세트 테이프를 팔았다. 어리고 둔한 귀에도 음질은 엉망진창이었고, 듣기 평가의 정답률은 청음 시험의 경우보다 조금 나은 수준이었다(사지선다였으니까). 클래식 음악에 호감을 갖기엔 열악한 성장 조건이었다.
대학 때 종로 뮤직랜드에서 엉겁결에 산 컴필리에이션 카세트 테이프에서 처음 브란덴부르그 협주곡을 듣고 테이프가 늘어나도록 들으면서도 '브란덴부르그'라는 말조차 외우지 못했다. 계기도 까먹었을 정도로 우연히 기든 크레머 할아버지(♡)를 알게 되어 CD를 몇 장 사서 들으면서도 그것뿐이었다. 잠이 안 올 때 즐겨 들었던 글렌 굴드의 변주곡? 들으면서도 한동안 글렌 굴드가 사람 이름인지, 연주 형식 이름인지, 자.... 작곡가인지 연주자인지도 구분하지 못했다. (악, 저 얼굴 빨개졌어요.)
그래서 누군가 클래식 애호를 자랑하면 공연히 (부끄럽습니다) 빈정이 상했다. 누구의 무슨 곡은 누구보단 누구 연주가 더 좋다거나, 역시 무슨 곡은 어디 필이 좋다거나 하는 말을 들으면 그래 뭐 어려서 교육 잘 받았나 보네, 그러거나 심하게는 흥, 알고 하는 소리겠어? 하기도 했다. 더 나쁜 것도 있다. 집앞 도서관에서 '오페라 감상 길잡이' 강연을 한다는 포스터를 보고는 뭐야 음악도 배워서 들으라는 거야? 하면서 못난이처럼 굴었다. 이렇게 쓰고 보니 창피하지만 후련하다.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책 읽고 집안일 하고 하는 데도 소위 '노동요'가 필요해 아끼던 CD들을 들었는데, 온종일 틀어두기엔 역시 라디오가 좋았다. 광고도 피할 겸, 혹시 영어처럼 자꾸 들으면 귀가 트일지도 모른다는 기대에 클래식 FM을 주로 듣는데 가끔 타령도 듣고 간지러운 퓨전 음악도 듣고 괜찮긴 하지만 그걸로 음악에 한 톨이라도 지식이 더 생기거나 하는 것은 당연히 아니었다. 그런데 지난주 어느 날 라디오에서 흘러나온 어떤 연주가 서재방에서 뒹굴던 나를 거실 라디오 앞으로 불러세웠다. 어떻게 말해야 좋을지 모르겠는데, 아름답고 정직한 연주였다. 나는 처음으로 스마트폰에서 '음악 검색'이라는 것을 해서 그것이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라는 것을 알았고, 연주가 끝나고 박수 소리가 잦아들도록 그렇게 서 있었다. 진행자 말로는 이 앨범에 수록된 곡 중 하나라 했다.
이렇게 해서 갈등 끝에 내 처지에서는 정말 큰 돈을 들여 이 음반을 사게 됐다. 아직 리뷰도 페이퍼도 쓰신 분이 없어서 땡스투도 못했다. 그래도 안 쓰고 간직해둔 알사탕을 몽땅 적립금으로 바꾸고, 음반 할인 쿠폰, 회원 쿠폰, 중고서점 이용하면서 어쩌다 받은 쿠폰, 모아둔 적립금을 탈탈 털어서 133,000원짜리 음반을 97,250원에 샀으니 돈 번 거라고 (ㅠㅠ) 애써 기뻐하고 있다. 내가, 내가 지금 무슨 짓을 저지른 거지? 싶으면 서둘러 중고서점에 내다 팔 책들을 찾는다. 뒤로는 아련히, 하루 한 장씩만 듣기로 한 켐프 할아버지의 연주가 흐른다. 라디오에서 들었을 때처럼 아름답고 정직하며 내 CD로 들으니 어쩐지 더 기품 있는 것 같은 그런 연주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