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의 간교한 눈속임이라고 속으로 몇 번이나 되뇌면서도 SK의 이미지광고가 새로 나올 때마다 나는 눈물과 사투를 벌인다. 감히 비틀즈의 렛잇비를 저렇게 써먹다니, 돈이면 다냐! 그러면서도 마지막에 ‘사람을 향합니다’라는 카피가 뜰 때면 나도 모르게 울컥한다.
고등학교 때까지 내 소원 중 하나는 LP를 실컷 사는 것이었다. 물론 이미 CD들이 나오고 있었지만 그건 아예 신경도 안 썼다. 대학 가서 아르바이트를 하면, 받은 돈을 LP 사는 데 다 써버리겠다고 결심도 했다. 그런데 막상 내가 대학생이 되자 언제 그랬냐는 듯이 레코드샵에서 LP가 싹 사라져버렸다. (종로에 있던 신나라 레코드에서 망연자실 서 있는 네꼬 씨 영상.) 충격으로 한동안 음악을 멀리 했다. 그렇다고 고집을 피워 LP 마니아를 자처할 정도로 부지런한 것도 아니어서, 할 수 없이 CD를 이용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엄마집 내 방엔 아직도 턴테이블과 몇 장의 LP가 남아있다.) 이런 처지이다 보니 MP3를 사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내 CD플레이어는 납작하고 예쁘다고 생각하면서 미련 맞게 그걸 들고 다닌다. 가방에 CD를 가득 넣고 다니다가 지하철 역 같은 데서 갈아 끼우려고 하면 다른 사람들의 시선이 느껴진다. (-_-;;; ) 그래도 나는 어쩔 수가 없다. 고집이나 철학이 있어서가 아니라, 내가 느린 탓이다.
차를 샀을 때 초보인 내게 선배들은 네비게이션을 권했지만, 내가 무슨 대단한 일을 한다고 위성까지 써가며 운전을 해요, 하고 말았다. 지도와 이정표를 보고 다니고, 모르면 헤매고 하면서 익히죠. 언젠가 필요한 날이 오면 장만하게 되겠지만 아직은 아니다. 아직은. 아직은? 어떤 사람들은 20세기 때부터 21세기로 살았다는데, 어찌 된 게 나는 여태 20세기다. 그런 내가 ‘아직은’ 소리를 하다니. 30대에 이미 시대를 쫓아가지 못하는데 노년엔 어떡하지? 가끔 그런 걱정이 들기도 한다.
-
돌아온단 기별은 들었지만, 헛소문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고층 빌딩에서 공항에서 도심에서 나쁜 놈들과 맞서서 몸이 으스러져라 싸우는 그를 보면서 어린 나는 얼마나 가슴이 뛰었던가! ‘죽으려야 죽기도 힘든’ 그라는 걸 알면서도 행여 어떻게 될까봐 조마조마하면서 논리적으로는 말도 되지 않는 액션들에 입을 벌렸더랬다. 하지만 그것도 이미 오래 전의 일. 존이 그렇듯 브루스 윌리스도 늙었는데 그가 어떻게 돌아오겠는가 반쯤 포기했다. 그가 정말로 돌아왔다기에 ‘반가운 마음’으로 만나러 갔다. 늙은 배우의 액션 연기를 보면서 마음이 불편할 것을 걱정했지만 그래도 살아 돌아온 옛 친구를 모른척할 수야 있겠는가. 다이하드 4.0 - 존 맥클레인 형사 말이다.

“디지털 시대의 아날로그 형사” 존 맥클레인. 어린 해커의 입에서 쏟아져 나오는 얘기를 듣다가 순진한 얼굴로 “그런 걸 어떻게 알아?” 하고 물을 때 나는 그만 가슴이 찡-했다. 통신도 컴퓨터도 아는 건 없지만, 테크놀로지의 재앙에서 마지막까지 죽도록 열심히 육탄전을 벌이는 늙은 형사 존이 너무 좋았다. CG인 줄 알면서도 터널의 액션신을 볼 땐 너무나 신이 났고, 존이 승강기 통로를 빠져나올 땐 절로 손뼉을 칠 정도였으므로 “그래서 네가 영웅인 거야” 류의 부끄러운 대사는 잊어주기로 했다. 어쩐지 다시는 존을 만날 수 없을 것 같다. 다시 우릴 찾아오긴 어렵겠지만 어디선가 오래오래 살아있어 주었으면 좋겠다. 하긴 참, 그는 죽기도 어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