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는 외국에 원하는 것이 없는 나라였다. 국경을 확장해 더 많이 더 넓게 다스려야 한다는 의지 자체가 희박했다. 오직 자신의 풍요로운 중앙을 방어하기 위한 계획, 곧 순망치한(脣亡齒寒)의 단조로운 논리만이 머릿속을 채웠다. 고대 이집트는 마아트를 따라 스스로 만족해 지속된 문명이다. - P9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리스도인이라면 야훼의 적대자 바알의 신화를 읽을 때 조금 불경스런 느낌을 떨칠 수 없을 것이다. 구약성경보다 훨씬 고대의 기록을 읽거나 구약성경이 전하는 내용과 다른 문헌을 읽을 때면 ‘묘한‘ 기분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역사를 있는 그대로 대면해야 한다는 용기는 인문학이든 신학이든 꼭 필요한 자질일 것이다. - P40

원문을 실제로 읽어 보면 고대근동의 사료 자체가 이미 저마다의 독특한 시각을 드러냄을 느낄 수 있다. 모든 문헌자료는 ‘객관적 보도‘가 아니다. 고대근동의 텍스트는 고도로 정치적이거나 종교적이며, 늘 ‘자신의 진실‘을 전한다. - P40

도시의 의미는 컸다. 성벽 안팎은 크게 달라졌다. 주변의 위성마을은 물론, 먼 곳과도 교역하는 중재자요 중심지 역할을 했다.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재화와 서비스가 도시 안에는 있었다. 도시의 중앙을 차지한 신전은 도시의 중심이자 주변 지역의 중심이었고 먼 곳까지 위세를 떨쳤다. 메소포타미아에서 최초의 도시들은 쉼없이 경쟁했다. - P53

사르곤이 등장했다. 기원전 24세기였다. 그는 아카드제국을 세워 뛰어난 무력으로 메소포타미아 전체를 통일했다. 동서남북의 다양한 민족들이 모두 무릎을 꿇었다. - P61

사르곤은 인안나(=이쉬타르)를 섬겼다. 그는 자신의 성공이 이쉬타르 여신의 특별한 은총에 힘입은 것으로 여겼다. 그 감사의 표현으로 사르곤은 자신의 친딸 엔헤두안나(Enheduanna)를 우르로 보내 인안나와 난나(Nanna = Sin)를 섬기는 여사제로 임명하였다. - P69

사르곤 이후 아카드어가 고대근동에 퍼졌다. 아카드어는 처음부터 수메르어와 한 배를 타야 할 운명이었다. 아카드어는 셈어의 일종으로 수메르어와는 아예 어족이 다르다. 아카드인들은 오랫동안 고급의 언어, 일종의 문화어의 지위를 누린 수메르어를 무시할 수 없었다. 그래서 아카드인들은 광범위하게 수메르어를 포용하는 정책을 썼다. - P70

우르는 남부의 수메르인들을 규합해 새로운 제국을 세웠다. 이른바 ‘우르 제3왕조‘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기원전 22세기였다. 전쟁보다는 외교가 중시되었다. 문치(文治)의 시대가 열렸다. 함무라피 법전보다 더 이른 ‘인류 최초의 법전인 우르-남무 법전이 선포되었다. - P74

새로운 제국을 이룬 수메르의 도시국가는 우르였다. 『수메르 왕명록』에 따르면, 아카드가 붕괴하고 약 100년간의 혼란기를 종식시킨 우르의 새 왕조는 우르의 세번째 왕조에 해당한다. 그래서 이를 ‘우르 제3왕조‘라고 한다. - P76

아카드적인 것이 대체로 실용적이며 호전적이고 현세적인 북부의 경향을, 반대로 수메르적인 것이 원칙적이며 지혜롭고 종교적인 남부의 경향을 띤다는 정도로 말할 수 있을 뿐이다. 이런 경향은 메소포타미아 역사에서 계속해서 병행하며 드러난다. - P78

고대 이집트와 고대 메소포타미아는 기원전 4천 년대에 문명이 시작되었지만 서로 퍽 다른 모습을 보여 준다. 고대 이집트의 자연, 사회, 종교, 이념, 문화, 역사 등을 이해하기 위해서 ‘강력하고 우월한 하나의 중심이 대비되는 두 세계를 통합한다‘는 생각을 염두에 두면 유리할 것이다. - P85

이집트에서 오랫동안 종살이했고 이집트의 이웃으로 오래 살았던 히브리인들이 이집트를 ‘두 개의 미츠‘로 인식했던 것이다. ‘이집트 종살이‘라는 히브리어를 직역하면 ‘두 미츠르의 종살이‘가 된다. 왜 그랬을까?
이집트를 상이집트와 하이집트를 나누어 보았기 때문이다. 그만큼 상·하 이집트는 서로 다른 지역으로 인식되었던 것이다. - P87

고대 이집트의 강력하고 우월한 중심인 마아트와 파라오를 알아보자. 마아트는 삼라만상의 근본적 원리요 상지(上智)였고, 파라오는 마아트가 체현된 인격이었다. 파라오는 ‘짐이 곧 국가‘라는 중세 유럽의 절대왕권보다 훨씬 더 강력했고 우월했다. 파라오는 최고의 인간이자 최고의 신이었기 때문이다. 이런 인식은 이집트 역사를 관통했다. - P89

마아트의 체현, 파라오
호루스의 현현인 파라오는 그 자신이 곧 마아트의 의지였고, 마아트를 지상에 실현하는 존재였다. 이런 개념은 강력한 왕권신학과 통한다. 파라오는 단순한 인간이 아니라 전능하고 전지한 존재였다. - P9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대근동학의 범위
고대근동학이 다루는 공간과 시간을 정의하면서 시작하자. 우선 공간을 질문하며 시작하면 효율적일 것이다. 우리는 왜 ‘고대중동학‘이라고 하지 않고 ‘고대근동학‘이라고 하는가? - P17

고대근동학이 다루는 시대는 기원전 4세기 알렉산드로스 대제의 정복 이전, 곧 ‘헬레니즘화 이전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 P19

메소포타미아의 역사도 남북의 갈등과 경쟁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런데 메소포타미아에서는 문화적으로 강한 남부에서 문명이 발흥해 북부로 확산되었고, 시대가 지남에 따라 ‘남북의 강역‘이 훨씬 확장되었다는 점을 주의하자. - P23

이들 사이에 낀 지역, 곧 지정학적 요충지가 바로 시리아-팔레스티나 지역이다. 이 지역은 고대근동 지형에서 실질적으로 중앙을 차지한다. 하지만 땅이 협소해 작은 도시국가들이 발전했을뿐, 큰 제국을 세운 적도 강대국이 발흥한 적도 없다. 이 지역은 ‘길‘의 역할을 맡았다. 강대국들이 힘의 균형을 이루거나 모든 강대국들이 지리멸렬했을 때 번영기를 구사하기도 했지만, 강대국들이 충돌할 때는 전장(戰場)을 제공해야 했다. - P25

반달 모양의 땅
이렇게 교역이 가능한 땅을 이으면 대략 반달 같은 모양이 된다. 이 반달지역이 사람이 물을 얻어 농사를 짓는 지역이자 고대근동 세계의 모든 것이 이루어지는 지역이다. 전통적으로 이 지역을 ‘비옥한 초승달 지대‘ (The Fertile Crescent)라고 한다. - P28

현대에는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는 물론 아나톨리아 반도와 시리아-팔레스티나를 모두 포괄하는 상위개념으로 점차 고대근동학이라는 말을 쓰고 있다. - P33

고대근동학은 처음부터 구약성경 연구와 관련이 깊었고 지금도 그렇다. 사실 이집트나 메소포타미아에 대한 연구결과보다 이스라엘에 대한 연구결과가 훨씬 많고 다양하다. 그 이유는 물론 그리스도교 때문이다. - P35

만약에 내가 고고학자라면 지금 당장 꼭 찾아야 할 발굴지는 어디일까? 학자들에 따라 여러 곳을 말할 수 있겠지만, 아마 아카드를 들 수 있을 것이다. - P3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모
미하엘 엔데 지음, 시모나 체카렐리 그림, 김영진 옮김 / 김영사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름다운 글이 아름다운 그림을 만났다.
어릴 적 상상한 모습을 볼 수 있는 기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인자의 쇼핑몰 2 - 디즈니플러스 오리지널 시리즈 <킬러들의 쇼핑몰> 원작 소설 새소설 13
강지영 지음 / 자음과모음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자를 속이는 탐정은 공정하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