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알고리즘 영상으로 밥 딜런이 기타를 메고 무대에서 노래를 부르는 다큐멘터리가 떠서 호기심에 보기 시작했다.
영상의 시작은 1970년대 정치적 사회적으로 대 혼란에 휩싸였던 거리 시위와 닉슨 전 미국 대통령의 모습이 등장 하다 불쑥 불쑥 밥 딜런이 이야기를 하거나 공연을 하는 모습의 장면들이 교차 시키면서 흘러간다.
첫 등장에서 밥 딜런은 이미 40여년 전에 있었던 공연 일 뿐 별 의미가 없었다며 스치듯 말한다.
1975년 롤링 선더(thunder revue) 투어에 탑승한 이들은 밥 딜런을 비롯해서 조니 미첼, 시인 엘렌 긴즈버그, 조안 바에즈, 패티 스미스 등 30여 명의 예술가들과 함께 미국 전 지역의 무대를 누볐다.
당대 청춘의 화신으로 불리며 청년들의 우상으로 자리 잡았던 밥 딜런은 화려한 무대가 아닌 소형 무대에서 손을 뻗으면 관객에게 닿을 수 있는 거리에서 기타를 치고 노래를 불렀다.
투어에 나섰던 공연이 열린 지역마다 밥 딜런은 가장 후미진 곳에 자리한 소극장에서 노래를 불렀다.
공연에 나선 연주가들의 명성에 비해 표값이 싸서 무대에 오르는 아티스트들에게 돌아가는 수익이 거의 없었다.
식비 정도만 벌 수 있는 무대에서 밥 딜런은 4행으로 이어지는 대화 같은 노래( isis)를 읊조린다.
그녀는 말했지. "당신, 어디 있었던 거야?" 난 말했지. "그냥 여기저기."
그녀는 말했지. "당신, 달라 보여." 난 말했지. "음, 그런가."
그녀는 말했지. "당신은 떠났잖아." 난 말했지. "자연스러운 거야."
그녀는 말했지."머무를 거야?" 난 말했지."당신이 원한다면, 그럴게."
노래의 절정은 위에 언급한 대화체 가사가 끝나고 나서 청중을 향해 "YES"를 크게 외친 후에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공연을 이어 가던 밥 딜런은 '여러분에게 정치적인 영향력이 있다면, 다시 이 사람이 거리로 나올 수 있도록 도와 달라'고 말한 뒤,'Hurricane'을 부른다. 밥 딜런이 지칭한 이 사람은 1960년대 허리케인이라는 별명의 복싱 선수로 이름을 날렸던 루빈 카터를 일컫는다.
1966년 복싱 선수 루빈 카터는 살해 혐의를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없는데도 단지 사건이 발생했던 장소에 있었던 흑인이라는 이유로 체포되었다. 당시 시민들은 그가 흑인이기 때문에 범죄 혐의를 뒤집어 썼다며 분노의 여론이 들끓어 올랐었다.
밥 딜런은 거리 시위에 동참하지 않았지만 무대에서 관객들의 눈을 바라 보며 인종 차별로 얼룩진 세상의 부조리를 노래에 실었다.
다큐멘터리는 롤링 선더 투어를 떠났던 밥 딜런의 모든 공연을 연도별로 보여주면서 같은 무대에서 함께 노래를 불렀던 음악가들과 시인들의 모습을 마치 기념비에 이름을 새기듯 교차 시켜 펼쳐 보인다.
그 시절 밥 딜런과 함께 연주 하고 노래를 불렀던 연주가들과 시인들은 부스스한 머리카락에 헝클어지고 구겨진 청바지와 티셔츠를 입고 기타 하나만 달랑 메고 무대에 올랐다.
무대에서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자유를 보여 줬던 그 시절의 음악가들과 시인들은 큰 수익을 가져다 준다거나 명성을 드높이는 무대가 아니여도 세상을 유랑하며 대중들과 소통했다.
밥 딜런은 별 의미가 없었던 공연이라 했지만 그가 이끌었던 선더 레뷰 투어 시절에는 음악과 시 그리고 예술이 세상을 바꿀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이 존재 했던 시대였다.
20세기에 살았던 밥 딜런 세대는 좋아하는 가수의 노래를 들으려면 직접 발로 뛰고 버스에 올라타서 공연장에 찾아 가야 했지만 21세기에는 손 안에 영상으로 때와 장소, 시대를 넘나들 수 있다.
음악이나 영화를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듯이 손으로 터치만 하면 순간 이동이 가능해져서 손으로 만지고 넘기는 책도 읽지 않고 보는 행위가 되었다. 휘리릭 빠른 속도로 무엇이든지 재생하고 터치 하다 보니 무언가에 대해 깊이 생각하는 것 자체가 귀찮아 졌다.
세상을 찬찬히 읽기 보다 가방이나 주머니에서 폰을 꺼내 사진을 찍고 톡 메시지창을 열고 스레드 피드백을 보다 여기 저기 앱 창을 터치 하며 분당 수십건의 이미지들이 영사기처럼 눈으로 스쳐 지나갈 뿐이다.
이런 행위가 연속으로 이어지는 동안 나는 과연 어제 그리고 그저께 무엇을 읽고 보았을까...
20세기 까지만 해도 사람들은 지하철에서 책을 읽거나 종이 신문을 읽었지만 21세기에는 폰으로 재미와 흥미를 주는 짧은 영상을 보거나 시즌 드라마와 영화를 보며 혼자 키득 거린다.
우연히 지하철 옆 좌석에 앉은 사람이 키득 거려서 슬쩍 그의 손에 들려 있는 폰의 영상을 보았다. 낚시꾼이 낚시 바늘에 고기 밥을 꿰어 강물에 던지더니 순식간에 팔뚝 크기 만한 물고기를 낚아 올리는 장면이 나왔다.
그 낚시꾼이 강물에 낚시대를 던질 때마다 최상 크기의 대어가 걸려 들었다.
영상에서 그 낚시꾼은 이렇게 소리 질렀다.
"여기가 천국이라고!"
문득 그 영상을 훔쳐 보던 나는 읽다 멈춘 책으로 다시 돌아 왔다.
우리는 모든 것이 가능한 곳에,
그러나 가치 있는 것은 어디에도 없는 곳에 살고 있다.
-닥터로우
폰만 열면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이 가능해 보이고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입고 먹고 마시고 즐기는 그 모든 것들이 내가 갖고 있는 것, 누리고 있는 것과 비교 할 수 없을 정도로 값져 보인다.
휴대폰이라는 것이 없던 시대에 태어나 청춘을 보냈던 밥 딜런은 연주장에서 만나는 팬들에게 불친절했고 자신이 추구하는 음악에 대해 끊임없이 의심하며 뚜렷한 목적이나 사상 없이 바람이 부는 데로 노래 하면서 누군가에게 보여지는 삶이 아닌 온전히 자신의 삶을 살았다.
그는 지금도 변함없이 어디에서든 바람처럼 노래를 부르고 글을 쓰고 있다.
바람이 부는 데로 노래를 부르는 밥 딜런은 무대에 오를 때 마다 원곡의 멜로디를 심하게 변형해서 그의 오랜 팬들 조차 알아 듣지 못하게 할 때가 있다.
평론가들은 밥 딜런이 나이를 먹어서 목소리가 이전 같지 않다며 전성기를 지난 퇴물로 가는 중이라고 혹평을 날리기도 하고 노환으로 성격이 바뀌었다는 등의 조롱을 해댄다.
밥 딜런은 전성기 시절부터 지금까지 무대에 오를 때 마다 천 개의 버전을 부르는 가수로 자신의 원곡을 원석을 다듬듯이 끊임없이 다듬으며 단 한 순간도 멈춰 선 적이 없이 스스로를 끊임없이 단련한다.
다듬지 않고 야생적이고 즉흥적으로 무언가 시도하고 실패 하기도 했던 그 시절을 살아 본 적이 없는 나는 무심코 알고리즘 추천 영상으로 뜬 걸 봤을 뿐인데 불쑥 불쑥 내면에서 무언가가 꿈틀거리기 시작했다.
출 퇴근 지하철을 탈 때 마다 폰 영상으로 밥 딜런이 부르는 노래를 흥얼 거렸다.
그녀는 말했지. "당신, 어디 있었던 거야?" 난 말했지. "그냥 여기저기."
그녀는 말했지. "당신, 달라 보여." 난 말했지. "음, 그런가."
그녀는 말했지. "당신은 떠났잖아." 난 말했지. "자연스러운 거야."
그녀는 말했지."머무를 거야?" 난 말했지."당신이 원한다면, 그럴게."
같은 곡을 시대에 맞게 고치고 음을 변형 시키는 밥 딜런이 음반에 새겨진 음악이 아닌 노래를 부르기 위해 세상을 유랑한 모습을 시공간을 초월해서 보던 나는 뜨거운 태양빛이 내리 쬐는 한 여름에 책을 읽으려고 기차를 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