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 없는 사랑은 없다 정호승의 시가 있는 산문집
정호승 지음 / 비채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은 아들이 부자인 아버지에게 유산을 미리 달라고 하자 아버지는 선뜻 아들에게 유산을 미리 준다.

아버지에게 미리 물려 받은 유산을 온갖 유흥에 흥청망청 전부 소비 해 버린 작은 아들은 그해 흉년이 들어 굶게 되고 굶주림에서 면하려고 남의 집 돼지치기를 하며 얹혀 살아간다.

돼지들이 먹는 쥐엄나무로 끼니를 떼우던 작은 아들은 그마저도 제대로 먹지 못하고 거지꼴이 되어 아버지의 집으로 돌아가 종으로 삼아 달라고 청한다.

거지꼴이 되어 돌아 온 아들을 반갑게 맞이한 아버지는 아들의 입에서 '당신의 종이 되겠습니다.'라는 말이 튀어나오기도 전에 '사랑하는 내 아들아.!'라고 외치며 가문의 상징인 반지를 아들의 손가락에 끼워준다.

아버지는 마을 사람들을 불러 모아 아들이 집으로 돌아 왔다며 축하 파티를 열자 큰아들이 자신은 집을 떠난 적도 없이 농사를 지으며 열심히 살아왔어도 아버지는 자신을 위해 돼지 한 마리 잡아 준 적도 없었다며 송아지를 잡고 이웃들을 물러 모아 파티를 여는 아버지에게 원망 섞인 말을 내뱉는다.

'나의 것은 다 너의 것이다. 내가 잃었던 아들을 되찾았으니, 죽었던 아들이 다시 살아왔으니 아니 기쁘지 않을 수 있겠느냐.!'

-누가 복음의 '돌아온 탕자' 중에서


<누가 복음>에 나오는 '탕자'를 그림으로 남긴 화가가 있다.


화가로 정점에 올라 서서 부와 명성을 손에 쥐었던 렘브란트는 서른 살 무렵 부터 누가 복음에 나오는 '돌아온 탕자'의 이야기에 관한 동판화 작품을 많이 그렸다.


서른 살 무렵에 그린 <돌아온 탕자> 속의 아버지는 문 밖으로 달려나가 힘차게 아들을 끌어 않는다.


1668년 생애 끝자락에 완성한 <돌아온 탕자>는 상처투성이 발을 드러낸 채 아버지 앞에 무릎을 꿇으며 가슴에 얼굴을 파묻고 있는 아들의 머리를 아버지는 사랑과 용서의 눈빛과 눈길로 쓰다듬고 있다.

이 그림을 수시로 꺼내 보는 시인이 있다.


시인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에르미타시 미술관까지 찾아 가서 미술관의 허락을 얻어 이틀 동안 의자를 그림 앞에 놓고 이 그림만 감상했다.

등단 50년을 넘긴 한국 서정시의 거장, 전 세대에게 사랑 받고 있는 시인 정호승은 한동안 시를 버리고 살았으나 시는 지금까지도 자신을 버리지 않고 있다며 질풍 노도 같은 청춘의 시기에 겪은 아픈 이별이 어떻게 시가 되었는지, 서울의 밤을 바라보았던 가난한 가장이 시를 쓰기 위해 과감히 신문사에 사표를 썼던 당시 심경은 어땠는지….

그동안 겪어온 사랑과 고통을 시와 함께 돌아보며 고해 하듯 직접 가려 뽑은 시 68편과 그 시에 얽힌 이야기 68편 속에 깊은 내면을 털어놓았다.


시인

혹한이 몰아닥친 겨울 아침에 보았다.

무심코 추어탕집 앞을 지나가다가

출입문 앞에 내어 놓은 고무함지 속에

꽁꽁 얼어붙어 있는 미꾸라지들

결빙이 되는 순간까지 온몸으로

시를 쓰고 죽은 모습을

꼬리지느러미를 흔들고 허리를 구부리며

길게 수염이 난 머리를 꼿꼿이 치켜든 채

기역자로 혹은 이응자로 문자를 이루어

결빙의 순간까지 온몸으로

진흙을 토해내며 투명한 얼음 속에

절명시를 쓰고 죽은 겨울의

시인들을

돌아 가시기 전까지 매일 밤, 가족을 위한 기도와 일기 쓰기로 하루를 마치셨던 시인의 아버지, 생을 마치기 전까지도 자식들을 걱정했던 시인의 어머니


어제 하루의 안녕에 대해 감사하고 오늘 하루의 안녕에 대해 기도 하는 삶을 실천했던 시인의 부모님의 모습에서 보이지 않게 세상 모두의 안녕을 위해 세상을 떠나는 그 날 까지 솔선 수범 하신 모습에서 가슴이 뭉클해졌다.

숯이 되라

상처 많은 나무의 가지가 되지 말고

새들이 날아와 앉는 나무의 심장이 되라

내가 끝끝내 배반의 나무를 불태울지라도

과거리를 선택한 분노의 불이 되지 말고

다 타고 남은 현재의 고요한 숯이 되라

숯은 밤하늘 별들이 새들과 함께

나무의 가슴에 잠시 앉았다 간 작은 발자국

밤새도록 새들이 흘린 눈물의 검은 이슬

오늘 밤에도 별들이 숯이 되기 위하여

이슬의 몸으로 내 가슴에 떨어진다.

미래는 복수에 있지 않고 용서에 있으므로

가슴에 활활 격노의 산불이 타올라도

산불이 지나간 자리마다

잿더미가 되어

잿더미 속에서도 기어이 살아남아

화해하는 숯의 심장이 되라

용서의 불씨를 품은 참숯이 되라

렘브란트가 생애 마지막 시기에 완성한 돌아온 탕자 그림에서 아들의 어깨에 올려진 아버지의 양 손의 모양과 크기가 다르다.


아버지의 손은 무릎을 꿇고 있는 아들이 입고 있는 옷에 주름이 질 정도로 움켜쥐고 있고 어머니의 손은 어깨 위를 토닥이듯 살며시 감싸 안고 있다.

자신을 용서 하지 못한 채 남도 용서하지 못하는 순간마다 이 그림을 꺼내보고 있는 시인 정호승은 마흔을 훌쩍 넘겨 인생의 방향을 바꿔 시인의 길을 갔다.

각고의 노력 끝에 완성했던 소설들이 누군가의 쓰레기장에 버려진 적도 있고 창작의 열의가 꺾여져 버렸을 때는 수년 동안 글 한 줄도 쓰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상의 먼지보다 더 미미한 존재인 것 같다는 생각으로 좌절의 쓴맛을 보면서도 시를 썼다.

꽃을 보려면

꽃씨 속에 숨어 있는

꽃을 보려면

고요히 눈이 녹기를 기다려라

꽃씨 속에 숨어 있는

잎을 보려면

흙의 가슴이 따뜻해지기를 기다려라

꽃씨 속에 숨어 있는

어머니를 만나려면

들에 나가 먼저 봄이 되어라

꽃씨 속에 숨어 있는

꽃을 보려면

평생 버리지 않았던 칼을 버려라

문자와 카톡, 사진으로 소통이 가능한 시대에 언어의 참 의미와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말을 듣기 어려워졌고 글자의 자음과 모음의 기이한 조합으로 타인의 행동과 말을 조롱하는 언어들이 SNS 세상에서 시커먼 구름처럼 둥둥 떠다닌다.

10초면 웃고 즐길 수 있는 틱톡 영상이 넘쳐 나고 언제 어디에서든 좋아하는 이들의 일상적인 모습을 실시간 영상으로 보는 시대에 정제된 언어와 말은 빠른 속도로 축약되고 희화화 되고 있는 시대에 어느 가정에서든 어떤 사회에서든 누가 복음의 '돌아온 탕자'들이 있을 것이다.

살아가는 동안 누가 복음을 읽지 않아도 렘브란트의 <돌아온 탕자>의 그림을 본 적이 없어도 이런 시대에 세상의 모습을 시어에 담아 맑은 영혼의 눈빛으로 세상의 빛과 어둠을 빚어내는 시인이 쓴 글을 읽게 된다면 지금 살고 있는 세상이 다르게 보일 것이다.

별밥

하늘의 우물에는 별이 많다.

어머니가 우물가에 앉아 쌀을 씻으시면서

쌀에 아무리 돌이 많아도 쌀보다 더 많지 않다.

물끄러미 어린 나를 바라보며 말씀하셨지만

나의 우물 속에는 언제나 쌀보다 별이 더 많았다.

지금도 나는 배가 고프면

하늘의 우물 속에 깊게 두레박을 내리고

별을 가득 길어 섞어 별밥을 해 먹고

그리운 어머니를 찾아 길을 떠난다.


어떠한 일에도 감사하고 용서하며 원망하지 않고 살겠다고 다짐하는 시인의 성정에 매일 한 편 한편 책장을 넘기며 사랑과 고통은 결코 나누어지지 않는다고, 고통이 산문이라면 사랑은 시라고 말하는 시인의 말을 가슴에 새겨본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6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4-02-05 13: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4-02-05 16: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4-02-05 16:4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4-02-06 12: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희선 2024-02-06 02:4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마지막 글 어떠한 일에도 고마워하고 용서하고 원망하지 않겠다고 다짐하다니... 쉽지 않은 일입니다 어쩌면 마음이 편하려면 그게 더 좋기는 하겠지만, 어쨌든 쉽지 않은 일이죠 렘브란트가 그린 <돌아온 탕자>에서 아버지 손은 한사람 손이 아니었군요 그런 뜻도 있다니... 그림에 담긴 뜻을 알려면 오래 봐야겠네요 그런 적 별로 없군요 책에 실린 그림도... 정호승 시인은 그 그림을 오래 봤군요

며칠 뒤면 설 연휴예요 scott 님 설 연휴에는 편안하게 쉬시기 바랍니다


희선

2024-02-06 12:1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