뼛속까지 자유롭고 치맛속까지 정치적인 - 프랑스 남자와 결혼하지 않고 살아가기
목수정 글, 희완 트호뫼흐 사진 / 레디앙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랑스 남자와 결혼하지 않고 살아가기"라는 다소 도발적인 부제가 달려 있는 이 책의 저자 목수정은 일하던 공연장에 큰 손해를 끼치며 마지막 기획공연은 막을 내리고, 격렬한 행복이라고 믿었던 사랑이 1년도 안돼 지옥바닥으로 끌어내리며 끝이 났던 사랑, 이 두 가지로부터 벗어나고자 프랑스행을 결정한다. "나처럼 작정하고 백지 상태가 되고 싶은 사람에게 그곳은 천국이었다. 내 오랜 여신 이사도라 던컨과 시인 랭보의 묘지 등을 걸어서 순례하며 이 믿기지 않는 거대한 전설 같은 도시를 탐험했다. 그렇게 파리에서의 첫 달이 꿈결같이 흘러갔다"

언니와 동생 사이에 낀 둘째. 부모의 관심에서 적당히 배제된 둘째라는 타이틀이 그녀에게는 좀 더 자유롭게 살수 있는 동기부여가 되고, 부모의 도움을 전혀 기대할 수 없으면서도 직장생활하면서 모은 천만원을 들고 아무런 연고도 없는 프랑스로 떠날 용기를 주었나 보다. 같은 둘째임에도 전혀 자유롭지 않았던 나. 직장생활하면서 모은 천만원을 당연히 결혼자금으로 써야 한다는 융통성 없던 내가 한심하다. 난 그때 왜 배낭여행 갈 정도의 도전정신도 없었을까?

파리 8대학에서 그녀는 문화정책을 공부한다. 학교에서 가장 멋진 공간인 도서관에서 책의 숲에 푹 빠져 공부하고, 공공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연극은 영화의 두배 정도면 언제든지 볼 수 있는 문화의 홍수에 빠져사는 그녀는 어느덧 뼛속까지 자유로움을 만끽하게 된다. 임신에서 출산까지의 모든 비용이 전액 무료인 나라, 연극배우만으로 살아가기에도 충분한 보장을 해주는 프랑스. 250년 후에나 완성될 희완의 작품인 어른들의 놀이터 '갸를롱'에 언젠가 가보고 싶다.

결혼하지 않고 살아간다는 두려움을 그녀에게서는 찾아볼 수 없다. 딸 칼리의 아빠 희완은 그녀에게 반려자이기 이전에 든든한 후원자요 조력자다. 그녀의 선택을 믿어주고, 국경을 넘나들며 늘 함께 하는 그들의 관계가 참으로 사랑스럽다. 잠시 우리나라 민주노동당 연구원으로 생활하지만 진보적인 그곳에서조차 자행되는 편협함과 이기주의에 염증을 느낀 그녀는 다시 프랑스로 돌아간다. 문득 그녀의 떠남으로 우리나라 문화정책은 조금은 주춤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드는 건 노파심일까?   

아이들 시험기간이라 성당 다녀오는 것 이외에는 집에서만 생활했던 일요일에 이 책 읽으면서 행복했다. 그녀와 희완과의 편안하면서 아름다운 사랑, 한 아이의 엄마가 되고 생각하는 육아,  가족에 대한 생각, 우리나라 문화정책에 대한 시각, 프랑스의 다양한 문화 등 에세이라고 하기엔 가볍지 않은 읽을거리와 생각거리가 많았던 책이다.  

막연히 남성적이고, 전투적일거라고 생각했던 그녀는 이사도라 던컨을 닮았고, 여성스러우며 아름답다.

"결국 독서란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서이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는 이미 알고 있는 진리들을 여러가지 방향으로 다시 환기하고 내 삶에 끌어들이게 하기 위한 것이기도 함을 새삼 느꼈다. 그리고 희완이 내가 독서를 통해 얻은 깨달음을 공유하기를 바랐다. 너는 도대체 좋은 아빠가 되기 위해서 육아교육 책을 얼마나 읽었냐 타박하며, 그러나 그럴수록 희완은 더욱 더 멀리 달아났다."         p.238

오늘이 행복하면, 내일도 그럴 수 있다는 것을 믿는다. 오늘 나의 삶의 태도가 진실하다면, 내일의 나에 대해서도 신뢰할 수 있다.          p. 310 

 한 우물을 파서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되고, 그리하여 인류의 발전을 도모하는 동시에 밥벌이를 해야 한다는 전 인류가 주입시켜온 생각에  동의하지 않는다. 살아있는 동안 나의 욕구와 관심은 나와 함께 진화할 것이며, 열심히 그 새로운 호기심과 열정에 화답하며 살고 싶다. 그것이 나의 진실이다. 그래봤자 1세기도 안 되는 짧은 시간이 내게 주어져 있을 뿐이고 나의 관심사는 '문화'라는 거대한 대지 속에서 이리 저리 출렁거릴 뿐이다.            p. 312


댓글(18)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nine 2010-12-06 06: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바닥을 치고 올라올 때 더 높이 비상을 할 수 있나봅니다.
프랑스와 우리 한국 사회는, 참 많이 다르겠지요. 그러고 보니 제목이 그걸 비유한 것이로군요. 앞 구절은 프랑스 사회, 뒷 구절은 한국 사회를.
오늘을 열심히 사는 것이 내일을 불안해하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이다...새겨갑니다.

세실 2010-12-06 06:11   좋아요 0 | URL
굿모닝 나인님^*^
어젯밤 좀 일찍 잠들었더니 새벽 4시에 깨었습니다. 오랜만에 느껴보는 구속받지 않는 자유가 좋아요.
밥하고, 배추국 끓이면서 알라딘 글쓰고...

바닥까지 갔을때 올라갈 수 있는 용기가 참 대단하죠. 자포자기할 수도 있을텐데요....
님 말씀 듣고 보니 그런데요. 프랑스와 한국사회 와우~~

편안한 한주 되세요^*^

섬사이 2010-12-06 11: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제 kbs에서 핀란드 교육에 대한 다큐 방송을 봤어요. 얼마나 부러웠는지 몰라요.
함께 혐동하는 걸 배우는 교육을 통해 어려서부터 함께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그 나라 사람들은
나 혼자 top이 되는 게 최고라고 배우는 우리와는 뼈 속부터 다르겠죠?
"살아있는 동안 나의 욕구와 관심은 나와 함께 진화할 것이며, 열심히 그 새로운 호기심과 열정에 화답하며 살고 싶다. 그것이 나의 진실이다'라는 구절, 참 멋지네요.

세실 2010-12-06 13:04   좋아요 0 | URL
아웅 저도 핀란드교육 궁금했는데..요즘 TV를 안보니 좋은 프로그램을 이렇게 놓치는군요.
핀란드는 모두가 함께가는 교육 이념이 좋은거 같아요.
다시보기로 봐야겠어요.

목수정의 가치관은 참 신선한 충격이었어요. 멋진 사람이죠.

2010-12-07 09:5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12-07 19: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12-08 11:4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12-08 16: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sslmo 2010-12-08 01: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목수정,정명훈 때문에 관심 갖게 됐는데...님의 이 리뷰를 읽으니 새로운 걸요.

"살아있는 동안 나의 욕구와 관심은 나와 함께 진화할 것이며, 열심히 그 새로운 호기심과 열정에 화답하며 살고 싶다. "
이 문장 마음에 새겨요~^^

세실 2010-12-08 09:27   좋아요 0 | URL
작년일이었죠. 아마...
요즘 좀 경직된 생활이 이어져서인지 그녀의 열정, 자유로움, 용기가 많이 부러워요.
모든걸 훌훌 털고 떠날수 있는 용기 전 아마도 평생 못할듯. 요 글 참 좋죠^*^

마녀고양이 2010-12-08 11: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언니, 우리나라에서는 자유로울 수 없는걸까요?
과연....... ㅠㅠ
외국에서는 이렇게 자유로운 창의력을 펼치는 사람들이
우리나라에서는 날개를 꺽이는 것을 보면, 좀 답답해져 버려요.

세실 2010-12-08 15:58   좋아요 0 | URL
그쵸? 흑. 자유로울수 없나봐요.
다시 돌아간 걸 보면 참 슬픈 현실이죠. 더군다나 진보신당임에도.....
우리나라는 모든 것에 선이 딱 그어져 있는듯 해요.

2010-12-09 22: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12-10 08: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읽자 2010-12-13 17: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이 책 표지가 저자의 전신사진을 쓰고 있음에도 그 저자의 외적인 어떤 면을 내세우기보다는 책의 분위기를 알려주는 것 같아서 참 좋았습니다. 전신사진을 표지에 이렇게도 쓸 수 있다니.. ^__^

세실 2010-12-15 08:46   좋아요 0 | URL
그쵸. 표지가 왠지 신비스러우면서도 자유로움이랄까. 소박함도 느껴지고요.
읽으면서 참 멋지다는 생각했습니다. 표지도, 글도..........

같은하늘 2010-12-24 00: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참 자유로운 모습이예요.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라면? ㅜㅜ

세실 2010-12-25 21:45   좋아요 0 | URL
그게 문제랍니다.
그 진보정당에서도 적응하지 못했다니.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