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19 김승옥문학상 수상작품집
윤성희 외 지음 / 문학동네 / 2019년 9월
평점 :
단편은 중언부언할 수 없다. 섣불리 거창해질 수 없다. 한정된 지면과 시간 안에 하고 싶은 이야기와 하려는 말을 최대한 응축하여 쏟아부어야 한다. 그래서 쉽게 성공하기 어렵다. 할 수 있거나 실패하거나 둘 중 하나다.
그런 면에서 이번 김승옥문학상 수상 작품들은 명료하고 농밀하다. 하려는 이야기가 모호하거나 지리멸렬하지 않지만 읽는 자들이 쉽게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이고 핍진성 있는 이야기들이었다. 쉽고 재미있게 읽히고 서걱거리지 않은 반가운 이야기들이었다. 한동안 너무 어려운 문학, 모호한 메시지, 파격이 진부하게조차 느껴지는 이야기들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시간들이 있었다. 다시 다가갈 수 있는 이야기들이었다.
대상작인 윤성희의 어느 밤의 화자는 "일주일 전, 나는 아파트 놀이터에서 킥보드를 훔쳤다."로 재기발랄하게 시작한다. 하지만 알고 보면 그녀는 삶의 그 수많은 고충들에 이미 시달릴 대로 시달린 할머니라는 반전을 가지고 있다. 예기치 않은 사고에 구원자가 되어준 청년과의 조우는 저마다의 상실과 고통의 몫을 소화해야 하는 양세대의 화해와 소통의 지점을 확인시켜 준다. 아이의 새 킥보드를 어이없이 도난당한 경험이 떠올라 절로 미소가 지어졌다. 어디에선가 그 킥보드를 타고 있을 그 누군가가 연상됐다.
권여선의 <하늘 높이 아름답게>에는 종교 공동체 안의 나이 든 여인들의 시선이 교차하고 중첩한다. 가장 가난하고 불행해 보였던 한 여인의 죽음은 뜻밖의 성찰의 시간을 가져온다. 저마다의 사적인 삶은 사회적인 여성에 대한 편견과 차별의 역사와 분리될 수 없었다. 여자 노인으로서 한국 사회의 격랑을 통과해 온다는 것이 가지는 그 무게와 의미가 조명되는 순간이었다.
편혜영의 <어쩌면 스무 번>은 여전히 편혜영 답다. 울울한 정서, 인간의 내면의 그 어두운 욕망, 기만. 큰 사건 사고가 없어도 절대 늘어지거나 긴장이 늦추어지는 법이 없는 그녀만의 서사의 그 팽팽함은 여전하다. 여기에 병든 노인의 부양에 관한 문제가 드러난다. 그것이 한 가족 구성원들의 은밀한 욕망과 패배감과 연결될 때 빚어질 비극의 깊이는 상상불가다.
개인적으로 초기에 줄거리를 따라잡기 힘들었던 황정은의 <파묘>가 참 좋았다. 쉽게 들어오지 않는 등장인물들의 실명의 명명이 가지는 의미가 차차 밝혀지고 '파묘'라는 일회적 사건을 둘러싸고 노출되는 한 가족사의 요약이 가지는 응축도가 대단했다. 단 한 문장도 낭비되거나 부족한 면이 없이 예리하게 조탁되어 이야기의 얼개를 이룬다.
최은미의 <운내>는 이 작품집에서 가장 파격적이고 놀라운 이야기였다. 두 소녀의 성장기에는 어떤 무시무시한 한국적, 무속적인 은밀함이 스며 있다. 하지 않고 참은 이야기의 여백에 끼어드는 상상력의 여파가 두려울 정도다. 쓰는 행위에 이미 읽을 자들의 역할이 가정되어 있는 영리한 이야기였다.
그러고 보면 작품들은 한결 같이 여성, 노인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특히 한국의 전통적인 가부장적 사회 구조가 여성의 개인적 삶에 가하는 어떤 폭력에 대한 예리한 관조가 있다. 지극히 사적인 이야기는 사실 공적인 이야기의 변주이기도 하다. 그러한 면에서 이야기들은 흩어져 있는 듯해도 결국 집약한다. 수상작들이 모여 일련의 메시지를 전하는 놀라운 성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