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한성에 관한 사유들
빅터 브롬버트 지음, 이민주 옮김 / 사람의무늬 / 2015년 2월
평점 :
절판
요즘 책을 소장하는 데에 약간 생각이 달라졌다. 내가 살아 온 시간 만큼만 더 살면 어쩌면 나는 너무 노쇠해서 그 책들을 다읽지 못할 수도 있고, 이런 상상은 지극히 슬프지만 이미 이 세상 사람이 아닌 경우 처분에 대한 번거로움이 고스란히 남은 사람들에게 남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제는 막무가내로 욕망하고 쌓을 나이의 능선은 이미 넘어온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은 '내가 죽는다','나의 삶이 유한하다'는 명제를 도저히 피할 수 없다고 느낀 데에서 비롯된 것일 수도 있다.
그래서 계절의 변화도 좀 더 각별하게 느껴진다. 나는 영원히 이 계절의 순환을 볼 수 없다. 겨울이 가고 봄이 오는 냄새는 때로 가슴에 아린다. 그럴 때 듣는 이러한 얘기는 좀 더 경청할 수 있다. '유한성에 관한 사유들'은 과분한 것이 아니다.
미국의 명문대의 비교문학과 석좌교수. 그는 두 세계대전 사이에 태어나 실제 전쟁에 참전했고 함께 살아 남았던 동료들이 그를 제외하고 다 죽어버릴 만큼 나이가 들었다. 아주 어렸을 때부터 '삶의 유한성'을 의식했고 최근에는 자신이 살아온 세월 만큼 더 강렬하게 의식하고 있다. 게다가 앙드레 말로의 표현을 빌어 "우리의 무존재를 거부할 수 있게 해 주는" 예술 중 특히 문학을 연구하고 강연한 세월이 사십 년에 이른다. 저자 빅터 브롬버트는 19,20세기의 위대한 소설가 여덟 명의 작품들을 원어로 읽고 그들이 천착했던 삶의 유한성을 그들의 개인 이력과 그들의 언어와 조우하는 지점에 중개자로 선다. 대단히 신중해서 자신에 대한 이야기는 보물찾기할 때 아주 꽁꽁 숨겨 둔 보물 만큼이나 쉽게 찾을 수 없다. 톨스토이의 <이반 일리치의 죽음>처럼 그도 1인칭이 아닌 3인칭의 서술 시점에 서 있음으로써 이야기의 일반화에 성공했다. 누구나 이 책을 읽으면 다 자신의 이야기인 것처럼 느끼고 몰입할 수밖에 없는 미덕이다.
톨스토이, 카프카, 카뮈, 버지니아 울프, 조르지오 바사니, 쿳시, 프리모 레비. 구태여 그들을 다 알지 못해도 그들의 작품을 읽지 않았어도 친절한 노교수의 강의는 가슴을 파고든다. 읽었다면 혹시 읽고 있다면 가슴이 먹먹해지는 대목이 군데군데 있다. 왜냐하면 독서는 기본적으로 고독한 일인데 친절한 안내자가 내가 헤매거나 의아해하는 대목, 한 조각 꺼내어 주머니에 넣어 버리고 싶은 부분들을 절묘하게 포착해 내어 언어로 풀어주는 가르침이 있기 때문이다.
언젠가 죽는다는 사실에 대한 고찰을 죽음에 대한 묵상이나 암흑의 세계에 대한 집착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언젠가 죽는다는 사실에 맞닥뜨린다는 건 모순적으로 들릴지 모르지만 여전히 살아있음을 의미한다. 나아가 인간의 유한한 생을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하고 도덕적인 고민을 한다는 뜻이다.
-에필로그 중
저자가 매료되어 있는 몽테뉴의 관심사는 본질이나 존재가 아니라 오히려 '이행'이었다는 것, 스스로를 "나는 지나감을 그리는 사람이다."라고 했던 것은 저자가 여덟 작가들의 작품과 삶을 통해 궁극적으로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과 만난다. 결론, 본질, 이데올로기, 관념이 해체되고 남은 모순, 흔들림, 스러짐에 대한 천착이 눈부시다. 누구도 여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