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0인의 책마을 - 책세이와 책수다로 만난 439권의 책
김용찬.김보일 외 지음 / 리더스가이드 / 2010년 8월
평점 :
누군가에게 무슨 책을 읽느냐,는 질문은 가장 사적으로 은밀한 영역을 교묘하게 침범하는 일일런지도 모른다. 당신은 어떤 사람이냐,고 묻는 것보다 더 도발적인 일이 될 수도 있다. 우리는 읽는다, 기 보다는 차라리 새로 쓴다,는 표현을 빌리는 것이 더 독서에 대한 정직한 고백이 될 것 같다. 서사의 공백마다 주장과 고백의 여백마다 우리는 자신의 삶과 느낌, 주장을 슬며시 끼워 넣는다. 그리고 마침내 읽었다, 고 자백하고 만다. 똑같은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자백은 그 수만큼이나 불어나 있다.
서평을 읽는 일은 그래서 가장 진지하고 까다로운 독서가 될 수 있다. 타인이 읽은 책에 대한 얘기를 듣는 일은 때로 나의 그것과 충돌하고 조응하고 비껴간다. 이런 아슬아슬한 만남은 아집에 빠질 수 있는 독서의 편력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축복이다. 독서는 그 자체로 비교적 바람직한 행위로 상찬받는 경우가 많아 적시에 주어지는 적절한 교정과 자극을 결여하는 일이 태반이다. 이런 와중에 저자 중 한 분인 stella09님과 인연이 닿아 이 책을 읽게 된 것은 모처럼 독서 행위 자체에 대한 의식적 점검을 가능한게 한 일이었다.
문학, 인문사회, 문화, 과학 분야를 평범하지만 삶에 대해 몇 겹은 더 진지하고 성실한 자세를 가지고 있는 듯한 다양한 필진들이 자신들의 독서 지형도와 그에 따른 삶의 궤적을 감칠맛나게 버무려 보여주고 있다. 고등학교 때 그저 신분의 격차를 뛰어넘지 못한 비극적인 사랑의 결말로만 이해했던 <노틀담의 꼽추>는 어느새 중세에서 근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에서 그 불합리한 신분의 틀안에 가두어진 개인의 존엄에 대한 각성으로 재해석되어 다가온다. 그 시대상에 대한 해박하고 명철한 지식과 날카롭고 명징한 비판의식을 떠받쳐 줄 도서 목록은 덤으로 따라온다. 새만금 방조제 물막이 공사 현장에서 그 방조제를 뚫는 기습시위를 벌인 전력이 있는 저자가 권해주는 환경과 생태에 관련된 책 목록은 그 분야에 대한 지식과 열정이 결여된 나에게 그 어떤 권장도서목록보다 절절하고 설득력 있게 다가온다. 우리 국회에서 걸핏하면 남발되는 좌파 명찰 붙이기를 낳은 역사적 배경과 진정성 있고 영향력 있는 실천적 좌파로 거듭나기 위한 지침을 안내받는 일은 자기 안에만 함몰되어 눈앞의 욕망에 후달리는 몽롱한 나를 정치적,사회적으로 의식있는 개인으로 건너가는 그 길목에 서게 한다. 건널 것인가, 주저앉아 버릴 것인가,는 결국 선택의 문제로 귀결되겠지만 너머의 세계를 의식하는 일은 어렵지만 존재의 경계를 확장시킨다.
진중권이 얘기한 각주와 목록을 따라 인터넷을 서핑할 때처럼 클릭하면서 비선형적으로 미로를 헤매는 놀이에 몰두하는 기쁨은 서평 읽기의 또다른 즐거움이다. 무한증식하는 읽고 싶은 책의 목록만큼이나 매혹적인 가능성을 품고 있는 게 또 있을지 잘 모르겠다. 이 책읽기가 사회적 의미를 가지게 되는 비평의 의미로까지 확장되려면 아직 가야 할 길이 멀다. 아슬아슬한 경계타기를 하며 수많은 이야기들을 주무르며 유리창을 닦 듯 나의 세계상을 닦는다. 언젠가는 말갛게 드러날 것을 기대하며 그 경험을 공유하는 이런 책을 가지고 계속 걷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