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생각을 해본 적이 있다. 그때 나의 엄마와 아빠가 해운대에서 입맞춤을 하지 않았더라면.
아니, 설사 그랬다손 치더라도 각자 다른 사람을 만나 결혼했더라면, 그래서 각기 다른 아이들을 낳았더라면.
수많은 시간을 뚫고 왜 하필 지금 여기에서 내가 이 사람을 만나 이 아이를 낳고 오늘 지금 이 순간에 자판을 두들기고 있나. 

이런 생각들에 스치울 때면 존재가 무거워지는 것도 같고 한없이 가벼워지는 것도 같다. 그러나 대부분 나는 이런 것들은
잊고 치워두고 비본질적이고 치사하고 졸렬한 것들에 집착하고 매달려 하루하루를 소진하고 있다. 한 살 한 살 나이가 더 들어갈 수록 우리는 더욱더 근시가 된다. 마침내 정말 코앞의 것들밖에 보이지 않을 때 우리는 존재의 지평선 너머로 슬쩍 밀려가 버리고 만다. 영겁의 시간들 속에 그렇게 우리 존재는 역사 속 의미있는 한 줄도 되지 못한 채 그저 그렇게 흔적도 없이 스러져 간다. 

모든 것의 의미를 알아차릴 수는 없다. 모든 것의 본질로 포박해 들어갈 수는 없다. 관념적이고 그럴듯한 것들로 삶전체를 채울 수도 없다. 싸고 먹고 마시고 소진하고 낳고 그러다 보면 의도하지 않은 마침표를 수용할 수밖에 없는 시간에 당도한다.  

두 번은 없다.
반복되는 하루는 단 한 번도 없다.
두 번의 똑같은 밤도 없고,
두 번의 한결같은 입맞춤도 없고,
두 번의 동일한 눈빛도 없다. 

<중략> 

너는 존재한다.-그러므로 사라질 것이다.
저는 사라진다-그러므로 아름답다.  

 

쉼보르스카 '두 번은 없다'중

 

 

시를 즐겨 읽지도 않고, 더군다나 시집을 사모으지도 않는다. 어느 날 정혜윤의 <런던을 속삭여 줄게>에서 이름도 어려운 쉼보르스카의 <박물관>이라는 인용된 시를 우연히 마주치게 되었다. 박물관의 사물들에 대한 그녀의 명쾌하고 예리한 서사 부여가 가슴 끝을 찌르는 듯이 박혀 왔다. 

왕관이 머리보다 더 오래 살아남았어요.
손은 장갑에게 굴복하고 말았어요.
오른쪽 구두는 발과 싸워 승리했어요. 

이런 시를 쓰는 시인이라니. 박물관에서 무심코 지나치는 유물들이 인간의 삶을 뛰어넘는 그곳에서 완강하게 버티고 있는 그 모습에 대한 코믹한 시구들은 시인이 범속한 우리들과는 다른 겹눈을 가진 듯한 느낌마저 가지게 한다. 우리가 말하고 싶지만 언어로 미처 형상화해내지 못하는 것들, 찰나를 스치고 지나가 금방 잊혀져 가는, 그러나 본질적인 깨달음들을 이 폴란드의 여류시인은 재빠르게 채어 놀랍도록 명징하고 알아듣기 쉬운 언어로 되돌려 준다. 그녀는 시인은 인생이 마치 고갈되지 않는 재고품이라도 되는 듯 함부로 낭비되는 것에 일종의 강박관념을 가지고 있다고 고백한다. <쓰지 않은 시에 대한 검열 중> 

EBS에서 메디슨 카운티의 다리 위에서 메릴 스트립의 수줍게 웃는 모습을 찍어 대던 그 나이든 사진작가는 <평원의 무법자>에서 황량한 모래 바람을 가르며 총질을 해대는 젊고 매력적인 이방인으로 분하고 있었다. 무릎 위에는 쉼보르스카의 껍질에서부터 뿌리 구석구석까지 양파스럽고 겉과 속이 항상 일치하는 성공적인 피조물이라는 양파의 미덕에 대한 찬사를 들으며 끊임없이 죽여대고 복수하고 폼을 잡는 서부의 총잡이의 얘기를 슬쩍슬쩍 눈안에 퍼담았다. 육체로 말하고 호소하고 사랑하던 클린트 이스트우드는 이제 눈빛으로 호소하고 당면한 욕망을 억누르고 뒤안길로 빠지는 미덕을 목하 보여 주는 노인으로 분하게 되었다. 시간과 싸워 이길 수 있는 존재는 없다. 우리는 모두 죽음이라는 그 종결점에 결론적으로 동의하고 만 무력한 존재들이다. 모든 미소한 것들이 옴쭉달싹 할 수 없게 우리를 옭아 매는 그 순간에 이런 시를 읽고 이따금 삶이라는 것을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찰나에 스며든 존재의 그 무력하지만 신비한 속성을 응시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 행운인 것 같다. 

힘들 때마다 이 시집을 읽으려고 한다. 완전히 다른 누군가가 될 수도 있었던 그 가능성을 떠올리며 하필 내가 이 지점에서 나로 이렇게 살고 있는 것에 대한 신비로운 존귀함을 기억하고 나의 시간들이 얼마나 찰나적인 것인지에 대한 깨달음을 잊지 않도록.  삶의 비의를 살짝 훔쳐 본 것 같다.


댓글(9)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녀고양이 2010-08-15 19: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블랑카님이 철학적인 리뷰를 쓰셨으니... 나둥~

"지금 하필 이 순간이, 나, 여기" 이게 필연일까 우연일까 이런 생각들,, 이것이 전생의 업일까 아님 다만 이번 생의 찰나일까 이런 생각들............ 끝도 없고 결론도 없는 많은 생각들.

예전에는 결론 없고 에너지 소모인 듯 하여 승질났는데, 요즘은 여유가 좀 있는지.. 재미있습니다. ㅎㅎ

blanca 2010-08-16 17:03   좋아요 0 | URL
마녀고양이님은 찾아 가시는 중이잖아요. 부러워요....지금 하필 이 순간 내가 무얼 원하는지 몰라 답답해요. 내가 뭘 해야 하는지...하여튼 머리 아프답니다.^^;;

비로그인 2010-08-16 07: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인이여, 그대 이름은 무엇이냐?-몰라요

어디서 태어났으며, 어디 출신인가?-몰라요

왜 땅굴을 팠느냐?-몰라요

언제부터 여기에 숨어 있었느냐?-몰라요

왜 내 약지를 물어뜯었느냐?-몰라요

우리가 당신에게 절대로 해로운 짓을 하지 않으리라는 걸 아는가?-몰라요

당신은 누구 편이지?-몰라요

지금은 전쟁 중이므로 어느 편인지 선택해야만 한다-몰라요

당신의 마을은 존재하는가?-몰라요

이 아이들이 당신 아이들인가?-맞아요





쉼보르스카, 베트남.



제가 오래 전부터 좋아하던 시인입니다. 블랑카님의 서재에서 쉼보르스카 이야기를 듣다니, 정말 반갑습니다.

blanca 2010-08-16 17:03   좋아요 0 | URL
쉼보르스카를 좋아하시는군요. 저는 첨 알았어요. 시가 이렇게 잘 읽히고 좋은지...위에 시도 한참을 정지할 정도로 좋아요....쥬드님

비로그인 2010-08-17 15:03   좋아요 0 | URL
물음보다 `몰라요' '맞아요', 이 두 마디가 더더욱 오랜 시간 남아있는 시입니다.

pjy 2010-08-17 18: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멈추게 만드는 시.. 온통 달려야만 보이는건 아니죠~ 멈추면 더 잘 보이는거죠^^

blanca 2010-08-17 21:32   좋아요 0 | URL
예, 그래서 이따금 이런 시집을 읽어줘야 하나 봅니다.^^

비로그인 2010-08-17 21: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만 보면.. blanca님 읽고 대면하시는 책과 제가 읽는 책이 좀 비슷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뭐 올려지는 몇 권의 책만 가지고 판단하기는 또 어려울수도 있겠지만요. ^^

이른 밤. 삶을 "정지" 하게 만드는 시들. "정지" 한 삶에서 중요한 무엇들을 불러 일으키는 시들. 중요한 무엇들이 다시 삶을 바로 잡아 주게 만드는 시들.. 쉼보르스카 와 비슷한 느낌의 다른 시인들의 시를 생각하며 이런것들을 떠올려봅니다.

대체 뭐가 뭔지 허옇게, 나의 시선과 타인의 시선이 너무나 차이가 나는 것을 또 느끼는 밤. 들려 갑니다. 편안한 밤 되세요. blanca님..

blanca 2010-08-17 22:34   좋아요 0 | URL
바람결님. 비슷한 건 언제나 기분이 좋아요^^;; 외국 시인들의 시는 번역을 거쳐 아무래도 직접 소통하기 힘들지 않을까 하는 선입견이 있었는데 쉼보르스카의 시는 워낙 좋으니 그런 우려도 부끄럽게 만들더라구요. 저는 소통에 큰 기대를 안 건답니다. 그것도 나이듦의 장점이자 서글픈 대목이기도 하고요. 바람결님 행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