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가 꽉 막혔다. 눈물, 콧물 다 줄줄 흘러내리고 흡사 물에 빠져 허우적대며 세상을 바라보는 느낌이다. 모든것들이 비현실적으로 보이고 귓가를 윙윙대는 것만 같다.
어딜 가나 분노와 불신, 비난 등이 난무한다. 한몫 거들어 댓글을 달고 숨돌리고 또 분노하고 그러다 유아기로 퇴행중이다. 이런 어른 노릇이 힘겹고 지겨워지려고 한다. 벌써.
힘들 때면 내가 아이였을 때를 생각한다. 완벽하게 행복하지는 않았지만 책임지지 않아도 되고 무조건 위로받고 이해받을 여지로 충만했던 시기는 죽을 때까지 꿈으로 남아 있을 것 같다. 세상에 태어나서 좋았던 건 아이로 살아봤다는 것이다. 나이가 들어갈 수록 추억의 시계는 점점 더 거꾸로 돌아가 멈춘다. 그래서 노망이 나면 옛기억을 붙잡게 되나 보다.
내가 바라는 것은 사람이 사람 귀한 줄을 알고 그 사람들의 시간을 존중해 주는 거다. 나이든 이들이 결정하고 추진한 바를 젊은 아이들이 고스란히 감수하고 때로는 생명까지 바쳐야 되는 이 모순이 역겹다. 살아온 시간들을 빌미로 다른 이들의 남은 시간들을 분탕질칠 수 있다고 착각하고 시간에 권력을 행사하는 일이야말로 가장 잔인한 일이 아닐까.
정말 정치를 제대로 알고 시국을 걱정하는 마음에서 화가 나는 것인지, 나 자신의 결핍과 감정마저 투사하는 것인지 나도 잘 모르겠다. 테렌스 데 프레의 <생존자>에 흠뻑 빠져 홀로코스트 문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책을 사서 읽는 것에 익숙해지다 보니 빌려서 줄을 긋지 못하고 간지를 무슨 문어발처럼 붙여 대는 일이 낯설고 좀 싫다. 도서관에 다 있는 책들인데 주문했다.

<이것이 인간인가>는 제목 한 번 걸쭉하다. 누구나 극단의 상황에서 쉽게 되뇌게 되는 말이지만 사실 저자가 수용소 체험을 직접 회고한 이 책의 리얼리티에 기분이 너무 다운되서 책을 그만 읽었다는 사람까지 있으니 그 정도의 이해는 곡해이상이 아닐 수 있다. 이렇게 아우슈비츠에서 힘겹게 살아나온 저자는 끝내 자살한다. 슬픈 반전이다. 삶이란 언제나 반전이 도사리고 있다 튀어 나오는 불편하고 흥미로운 영화 같다. 스스로 삶의 종결을 집행한 이가 살아나온 이야기라니.
<디아스포라 기행>은 실제로 보고 사려고 했는데 서점에서 미친듯이 머리를 쥐어뜯다가 디~ 다음이 생각안나서 못보고 말았다. 이럴 때 아이폰이 절실하다. 알라딘 장바구니만 보면 되는데. 여하튼 디아스포라를 생각해 내려고 온갖 단어를 다 조합하다 결국 실패하고 말았다. '디아스포라'라는 말은 유대인뿐 아니라 아르메니아인, 팔레스타인인 등 다양한 '이산의 백성'을 지칭하는 용어로 쓰이고 있다고 한다. 여기에 프리모 레비의 위 책이 등장한다고 하니 두 책이 묘하게 엮여 있는 셈이다. 결국 인간이 인간을 대우하는 최악의 마지노선을 더듬거리며 살아나간다는 것에 대한 실증이 아닐까 싶다. 이런 책들은 언제나 읽고 나면 기분이 침체된다.
그래서 우리가 우리말로 쓴 청춘의 얘기를 읽고 싶었다. 신경숙의 언어는 투명하고 아름답다. 김훈의 그것이 명징하고 둔중한 맛이 있다면 그녀의 문장들은 잘 닦인 구슬 같아 손안에 품고 싶어진다. 이 언어가 삶의 결 속에 잘 미끄러져 들어갈 때의 그 성취는 놀랍다. 그녀의 책을 읽으며 이제는 나의 시계를 이십대로 돌려 조금 가까운 과거를 쓰다듬어 보고 싶다. 누군가 전화해서 '너의 스무 살을 나는 기억하고 있어.'라고 말해주는 상상을 해본다.
내일 깨면 코가 뚫리기를. 책들이 오겠지. 그 책들에 코를 박고 싶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