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를 맞고 다니던 시절이 있었다. 그래도 추리해 보이지 않을 설익음과 당당함이 있었다. 이제는 비를 맞고 있으면 조금 불쌍해 보일 만한 처지가 되었다. 비를 맞지 않고 빗소리를 들을 수 있어 다행스럽다. 빗소리는 그 어떤 배경음악보다 단조롭고 거슬리지 않는다.
<삼성을 생각한다>를 읽었다. 소설 같았다. 김용철 변호사의 얘기가 신뢰성이 부족해 봬서가 아니라 그가 외부에 나와 토해낸 내부의 얘기들이 모이니 하나의 코미디가 따로 없었다. 대기업들의 눈가리고 아웅식의 편법 승계와 횡행하는 부조리를 몰랐던 것은 아니다. 하지만 나도 삼성의 이름이 가지는 무게와 그 신화에서 완벽하게 자유롭지 못했던 것 또한 사실이다. 욕하더라도 마지막은 그래도 삼성이잖아,라고 변명거리를 만들어 주었었다. 그래서 김용철 변호사의 양심고백이 불편했을런지도 몰랐다. 언론에 의해 주입되고 각종 경제 지표에 깊게 물려 있는 거대 기업의 아우라에 물들어 우리는 그의 얘기를 경청하는 데 인색했다. 이 책을 읽고 나서 삼성이 진심으로 불편해졌다. 거대 이익 밑에 깔린 도덕을 목도하는 일은 괴롭고도 아픈 일이었다. 언제까지나 이런 모습에 익숙해져서는 안될 터다. 불편하고도 아픈 진실을 들추어 내고 타성과 관성을 벗겨 내는 일은 숙명적으로 저항과 거부감을 동반한다. 하지만 인간으로서 인간답게 존재의 방점을 찍어가며 살고자 한다면 그 소롯길을 피할 도리가 없다. 상쾌한 기분전환을 필요로 한다면 권할 수 없는 책이다.
한 때 <냉정과 열정 사이>의 열풍이 대단했었다. 두 작가가 나란히 연인의 입장에서 서로 다른 이야기를 고백한다는 발상 자체가 파격적이고 신선했던 것 같다. 잘 뽑아낸 작가들의 사진도 홍보 역할을 톡톡히 했다. 츠치 히토나리와 에쿠니 가오리의 얼굴선은 그대로 남자 주인공과 여자 주인공의 환영을 만들어 냈다. 텍스트가 작가의 존재로 이미지화되는 경험은 색다른 즐거움이었다. 배경인 이탈리아의 두오모도 더불어 각광받았었다.
그리고 에쿠니 가오리의 책들을 읽어 나가기 시작했던 것 같다. 그녀의 책은 일단 잘 읽힌다. 복잡한 심리묘사도 지루한 배경 묘사도 없다. 푹 꺼지는 낡은 소파에 드러누워 졸며졸며 읽어도 왠지 다 작가는 이해해 줄 것만 같은 안온함이 있었다. 지극히 단조롭고 그 날이 그 날 같은 정말 드라마틱하지 않은 일상의 얘기들을 줄세워 놓았는데 그것을 하나하나 만져 보는 일에 중독되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작 <빨간 장화>는 그런 단조로움이 더이상 나와 소통되지 않을 것 같다는 막연한 이별의 예감을 떠올리게 했다.
그녀는 언제나 그 자리에 있지만 나는 그 자리를 떠나려고 하나 보다. 식상하다고 감히 얘기할 수 없는 것은 나는 이 작가를 좋아했고 지금도 미련을 가지고 있고 앞으로 어떻게 달라질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녀를 여전히 사랑하는 다른 사람에게 이 책은 지금 가고 있다.
김연수의 <세계의 끝 여자친구>는 말미에 실린 문학평론가 신형철의 해설이 돋을새김처럼 떠오른다. 좀 과장하자면 신부측 하객이 신부보다 더 예쁜 경우 같다. 해설이 너무 좋았다,는 어느 리뷰어의 말에 말미의 피로감을 누르고 주의깊게 읽었다. 시적인 언어로 쓰인 작품에 대한 사려깊고 진지한 해설은 기대이상이었다. 맥락의 독서는 여기에서 시작되었다. 수전 손택의 소설론이 인용되었고, 체호프의 단편의 떨림이 전해졌다. 김연수가 번역하고 오마주를 바친 레이먼드 카버의 <대성당>도 들이민다. 그러니 내 시야 반경 안에 들어올리 없었던 수전 손택의 책들이 들어왔고, 체호프의 단편에 압도되어 미친듯이 중고로 산 단편집에 줄을 좍좍 그어대고, 마침내 카버의 <대성당>까지 읽게 된 것이다. 이 정도라면 나는 신형철에게 오마주를 바쳐야 하는 건지. 그저 고마울 따름이다.



지금은 <대성당>을 읽고 있는데, 아니 레이먼드 카버를 읽고 있는데(참 이상한게 왜 작가의 작품보다 작가를 읽는다고 해야 간지가 나는지, 착각인지도 모르지만) 아주 좋아 죽겠다고 과장하지는 못하겠다. 단편이 정말 끝내준다,는 생각을 줬던 경우는 거의 없었던 것 같다. 아무래도 하고 싶은 얘기들과 아퀴를 지어야 하는 얘기들이 엉키는 그 교차로에 선 작가의 혼란 때문인 것 같다. 그럼에도 대단하다고 느꼈던 단편선은 솔제니친과 오정희 정도다.
레이먼드 카버의 얘기들은(아직 표제작도 읽지 못했지만) 그리 대단한 얘기들도 아닌데 일단 재미있다. 동료집에 방문했다 그 집의 아기를 계속 보여 달라고 졸라대는데 안주인이 지금은 자게 하고 깨면 데려오겠다고 못 박는 그런 얘기.(사실 내가 그랬었다. 하도 시달리다 보니 손님들에게 아기를 깨워 보여주고픈 마음까지 사그라들더라.) 그렇게 귀하게 용안을 대면할 기회를 얻었으나 막상 못생긴 아이를 보고 거짓으로 예쁘다,고 못해주며 여럿이 무안해지는 그런 장면들에 대한 얘기. 그러니 너무 사실적이고 너무 적나라해서 되레 웃음이 터질 수밖에 없다. 이런 얘기는 누가 소설로 써주기 전까지는 대놓고 하기 참 힘든 사연들이다.
그리고 오고 있다. 이 책들이. 괜히 이런 책들이 읽고 싶어지는 때다. 뜨고 싶은가 보다.

언제나 장바구니에 넣었다가 빠지기를 거듭하는 책들. 책 좀 읽는다는 사람들이 너무 사랑한다고 외쳐대는 바로 그 책들. 나는 언제쯤 읽게 될까. 그리고 이 망설임은 뭘까.


망설임의 이유는 단 하나다. 책장이 잘 안 넘어갈까 걱정되서다. 좋은 책이 언제나 기똥차게 재미있는 것은 아니다. 누가 좀 재미있어 죽겠다고 당장 읽으라고 등좀 떠밀어 줬으면 좋겠다.
그리고 요즘 드는 걱정들은 독서 편식이다. 문학과 심리학, 처세술, 자녀교육 쪽으로만 기우뚱하고 인문사회과학쪽으로는 담을 쌓은 독서가 현실감각을 마비시키고 있지 않나 심히 걱정된다. 꿈만 꾸지 그 꿈으로 가는 현실적인 이정표에는 청맹과니처럼 우둔하다. 그러니 각종 사회 현안들을 나의 열등감이나 투사시켜 극도로 흥분하고 떠들기나 했지 나름대로의 프리즘을 통해 통찰력 있게 해석하고 제대로 비판하는 일에 서툴다. 욕하기 위한 욕을 주워섬기는 일에 매달리다 보면 사람이 추해진다. 그러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