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Book] 펠리시아의 여정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95
윌리엄 트레버 지음, 박찬원 옮김 / 문학동네 / 2021년 6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악을 이야기하는 것은 결국 공허해지기 쉽다. 그래서, 그 이후의 이야기를 우리는 쉽게 상상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 만큼 악의 형상화에는 신중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그것의 서사의 골격을 만들어 가는 과정 자체가 자칫 그 악행 자체를 정당화할 우려가 있다. 우리의 현실에 악은 만연해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우리가 악이 승리하거나 선의 무기력함을 확인 받고 싶어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모든 악을 다루는 이야기의 도착점은 ‘그럼에도 불구하고’를 품고 있어야 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윌리엄 트레버는 그러한 점에서 대단히 명민한 작가다. 악을 이야기하지만 그것의 여정의 끝에는 선이 있다. 이것은 대단한 스포일러가 아닐 수 없다.
<펠리시아의 여정>의 펠리시아는 아일랜드의 십대 소녀다. 영국군에 맞선 전장에서 순직했던 선조들의 과거를 자랑스럽게 스크랩한 아버지가 영국군에 입대한 청년의 아이를 가진 펠리시아에게 보일 반응은 많은 설명이 필요 없을 것이다. 그녀의 여정은 언제나 그렇듯 이러한 집에서의 탈출로부터 시작된다. 펠리시아는 아이의 아버지 조니가 일한다고 했던 잔디깎이 공장 창고를 찾아 무작정 영국으로 떠난다. 이 여정에서 그녀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경험들을 하게 된다. 전적으로 선하다고 그렇다고 오직 악하다고만도 할 수 없는 사람들을 만나 이런저런 도움을 얻게 된다. 그 중에 공장 구내식당 매니저인 오십대의 독신남 힐디치가 있다. 그는 <펠리시아의 여정>에서의 중요한 기착지다. 우리는 그가 어떤 사람인지 시종일관 단서를 찾아 헤매어야 할 정도로 혼란을 느끼게 된다. 무엇보다 그가 펠리시아에게 미칠 영향 그 자체에 대하여 유보된 판단을 가질 수밖에 없는 그 무엇들이 곳곳에 흩뿌려져 있다.
트레버는 분주하게 시점을 이동한다. 그의 시선이 힐디치에게 가닿았을 때 우리는 어떤 끈끈한 암시를 읽는다. 직장과 사는 고장에서 힐디치는 흔히 마주칠 수 있는 체구가 건장한 친절하고 따뜻한 중년의 이웃이다. 그러나 그러한 외피 밑에 감추어져 있는 은밀한 어두움은 조각조각 퍼즐처럼 군데군데 그의 고독하고 평범하지 않은 유년기의 회상들로 덮여 있다. 그는 싱글맘에게서 자라고 그녀가 끊임없이 초대했던 내연남들로부터 왜곡된 관계의 거친 원형들을 전수 받는다. 필요와 위장과 욕망에 의해 접근하는 사람들, 그러한 것들이 사라지면 미련 없이 떠나버리는 그들 뒤에 홀로 남은 어머니는 심지어 아들에게까지 성적 욕망을 발산한다. 힐디치의 끔찍한 어린 시절은 현재의 악행을 합리화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현재의 그의 모습을 상당 부분 설명할 수 있다. 그러한 과거를 품고 그는 거리를 떠돌아다니는 펠리시아에게 은근하게 접근한다. 그녀를 도와줄 수 있는 것처럼 위장하고 끊임없이 그녀 주위를 맴돈다. 그에게는 그 전에 이미 여러 명의 소녀가 있었다. 그녀들은 그와 관계를 맺음으로써 사라졌다. 트레버는 이러한 일들을 대단히 간접적이고 절제된 방식으로 암시할 뿐이다. 우리는 힐디치를 섣불리 단정할 수 없다. 그의 번민과 고뇌, 유보된 욕망들은 그의 전체를 구성하지 못한다.
펠리시아가 끝내 그에게서 탈출한 곳은 의외의 곳이다. 그녀가 다시 그 가부장적인 아버지와 오빠들에게로 돌아가지 않는 것은 그녀의 여정이 가지는 의미를 시사한다. 어쩌면 따뜻하고 안전한 집으로 가지 않고 거리에 남는 일을 택함으로써 결국 펠리시아가 얻어낸 것이 의미하는 바를 우리는 각자가 해석해야 한다. 구질서에서 억압에서 제도권에서 가부장적 구조에서 떠나는 것 자체가 그 모든 것의 극복이자 탈출과 동의어는 아닐 것이다. 그럼에도 그곳으로 돌아가지 않는 그 행위 자체가 가지는 의미는 크다. 펠리시아는 놀랍게도 이 여정의 끝에 만족한다. 안전한 귀환만이 해피엔딩이 아니라는 놀라운 깨달음이다.
그녀는 떠오르는 생각 속에서 굳이 의미를 찾지 않고, 목적 없는 여정에서도 더 이상 의미를 찾지 않는다. 시간과 사람이 뒤죽박죽 섞인 가운데서도 어떤 규칙을 찾지 않는다.
-윌리엄 트레버 <펠리시아의 여정>
펠리시아의 여정을 규격화하거나 재단하는 대신 열린 것으로 해방시킴으로써 트레버는 그녀를 다른 방법으로 성장시킨다. 대부분의 영웅담이 결국 집으로의 귀환의 여정으로 그려진 것과는 달리 소녀의 여정은 거리로의 탈출로 확장된다. 힐디치의 손아귀에서 벗어남으로써 그녀가 도착한 곳은 드물긴 하지만 반드시 존재하는 선의의 손길이다. 그것은 악보다 더한 “선의 미스터리”다. 트레버가 악의 이야기를 통해 당도한 곳의 소박한 거리의 선은 악의 치밀함보다 더 관대하다. 위대해진 작가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탈피하려 했던 가부장적 질서와 악의 만연의 해방구로서 그곳에 함께 당도하게 되는 독자들의 여정은 그러니 뭉클할 수밖에 없다. 시야는 확장되고 고정관념은 부서진다. 위대한 이야기는 그렇게 만들어지는 것이다. 쓰는 이도 이야기 속 인물도 읽는 이들도 함께 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