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경우가 있다. 그러니까 책 내용도 좋지만 '옮긴이의 말'이나 '해설'은 더 좋은 경우. 아니면 심지어 그 '해설'과 만나야 그 책의 내용이 완성되는 경우. 여러 번 언급했지만 소설가 김연수와 평론가 신형철의 조합이 그랬고 콜레트의 <여명>과 옮긴이의 말이 그러했고 노로 구니노부의 <사랑에 관한 데생>이 또 그러하다.
















사실 서재분의 추천이 아니었다면 노로 구니노부는 접하지 못할 뻔 했다. 나가사키 태생의 아쿠타가와상 작가로 이 소설은 그가 심근경색으로 죽기 전 마지막 작품이다. 아버지의 고서점을 물려받은 이십 대의 청년 게이스케가 헌책과 거기에 얽힌 사람들의 삶의 탐방기 형식을 띠고 있다. 오래된 책, 읽어버린 인연, 망각된 아버지의 삶이 태피스트리처럼 엮여 잔잔하고 여운이 길다. 실제 나가사키의 원자폭탄 투하를 목격한 작가의 경험은 전체주의에 대한 혐오와 경고로 이어지며 일본 작가로서는 보기 드물게 평화가 우리 삶에 있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에 대한 이야기로 확대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청년이 선대의 시간여행을 하는 듯한 이야기는 우리가 잃어버린 시간들을 주워담아 재구성하는 그 찬란한 시간들에 대한 절창의 복원으로 빛난다. 


자네는 젊어서 아직 인생의 잔혹함을 몰라. 잘 듣게. 무상이라는 건 산 사람이 죽는 일이 아니야. 아름다운 게 추해지는 일이지.

-노로 구니노부 <사랑에 관한 데생> pp.216


시간의 힘은 놀랍다. 어쩌면 가장 인간을 무력하게 하는 것이 시간의 흐름이다. 아름다움도 스러지고 불꽃도 사그라든다. 모든 영원과 절대의 추구를 무력하게 만든다. 그렇기에 찰나의 시간들은 더 형형히 빛나는 것일지도 모른다. 사라진다는 가정하에 향유했던 그 낭비했던 젊음의 시간을 우리는 그 어떤 것으로도 되돌려 받을 수 없다. 그러니 해설자도 번역가도 모두 자신들의 이십 대를 추억한 것은 <사랑에 관한 데생>의 마침표로 유효적절하다. 소설가 사토 쇼고는 대학 시절 노로 구니노부의 책을 읽고 편지를 보내고 답장을 받은 것으로 기억한다. 그러나 그 기억은 어쩌면 자신의 왜곡된 기억일 수도 있다고 시인한다. 옮긴이는 "그토록 폭력적이고 야만적이었던 시대에도 그리운 일들은 도무지 헤아릴 수가 없다."라고 추억한다. 


아름다운 게 추해지는 일이 시간의 흐름과 일치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뒤돌아 보며 아름다웠던 것을 아름다웠다라고 말할 수 있는 깨달음조차 시간의 흐름과 함께 오니까. 노로 구니노부는 그것을 알고 표현하기 위해 <사랑에 관한 데생>을 쓴 것 같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잠자냥 2021-03-27 14:0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니 이 책 벌써 읽으셨어요?! 전 아직! ㅎㅎ 저도 오늘 같은 날 읽어야겠어요.

blanca 2021-03-27 16:25   좋아요 0 | URL
비 오는 오늘과 맞춤한 책인것 같아요. 벌써 읽고 계시려나요.

scott 2021-03-27 17:2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일본어 번역가중 송태욱님이 최고 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분의 번역은 무조건 신뢰!

blanca 2021-03-27 17:40   좋아요 1 | URL
오, 그렇군요! 옮긴이의 말이 너무 좋아서 예사롭지 않더라니...역시나 그랬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