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마스 이브에는 교보문고, 크리스마스에는 영풍문고에 갔다. 나 같은 사람들이 많은 모양인지 이 세상의 모든 사람이 크리스마스를 보내기 위해 평소에는 자주 오지 않던 서점 방문을 결심한 것인지 사람들로 인산인해였고 무언가 조용히 책을 고르거나 서점 특유의 착 가라앉은 하지만 너무 무겁지 않은 그 느낌은 절대 가질 수 없을 정도로 거의 호떡집 불난 수준의 분위기였다. 제대로 책을 보려면 아주 오래 전에 나왔거나 인기가 없는 책들이 모여 있는 서가를 공략해야 할 정도였다. 그런데 의외의 수확은 거의 재고가 없는 메리 올리버의 <휘바람 부는 사람>과 원서로 한번 읽어보려다 미루어 둔 토마스 린치의 <죽음을 묻는 자, 삶을 묻다>가 비슷한 곳에 꽂혀 있었다는 것.
김연수로 알게 된 시인 메리 올리버는 산문집도 시 못지 않게 좋다. 문장 하나 하나가 시인의 그것이니 만큼 참 농밀하고 덜할 것도 더할 것도 없다. 토마스 린치는 시인이자 장의사란다. 죽음을 보필하는 시인이 하는 얘기가 궁금하다.
문학동네 북클럽에서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인 <최단경로>를 보내주었다. 궁금하다. 이력을 보니 나이가 내 막내 동생과 동갑이다. 지하철 안 책을 보는 사람은 거의 본 적이 없다. 크리스마스 서점의 폭발적인 인기를 보면 재미있는 현상이다. 좋은 이야기는 여전히 귀 기울여 들을 사람이 있다고 믿는다. 책의 미래를 비관하지 않는다. 점점 이북이 싫어지는 것을 보면 더욱 그렇고. 아. 난 종이책이 여전히 좋아 큰일이다.
올 한 해를 마무리하는 책은 이 정도가 될 것 같다. 하루키의 신간은, 생각보다 실물이 너무 얇아 솔직히 내키지 않는다. 마음 같아서는 진지한 노년의 에세이를 한 삼백 페이지 이상되는 분량으로 내주었으면 좋겠다. 그가 몸에 대해 했던 이야기들을 나이가 들수록 공감하게 된다. 정말 잘 갈고 닦으며 관리해야 이 생의 과업을 완수할 수 있을 텐데. 쉽지 않다. 아무리 철학과 영혼을 이야기한다고 해도 사는 일은 반드시 몸을 담보로 전제로 한다. 그건 정말 완강한 진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