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책을 읽으며 번역가를 의식하게 되는 일은 거의 없었다. 그만큼 대부분의 번역가가 번역을 능숙하게 잘했다는 이야기도 되겠다. 직역과 의역의 딜레마와 한계도 인정한다. 그런데 최근 읽은 너무나 좋았던 소설은 번역이 정말 아쉬웠다. 내용이 좋아서 더 그랬다. 사소한 번역 오류 한두 개 정도가 아니라 각종 비문들, 오타들,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문장들이 잊을 만하면 끊임없이 나왔다. 하나하나 지적하자면 한도 끝도 없이 의식되는 오류들에 숨이 턱턱 막혔다. 나는 그 책을 도저히 그 누구에게도 추천할 수 없다.
이 책의 번역 때문에 역설적으로 번역가의 역할과 번역의 힘, 지금까지 큰 생각 없었던 번역자의 노고에 대해 진지하게 돌아보게 됐다. 그러면서 잘 읽히던, 잘 이해되던 각종 번역서 뒤에 그들의 지분이 얼마나 컸던지 절감하게 됐다. 번역은 투명하지만 투명하기 위해 갖춰야 하는 기본기와 담보되어야 하는 성실성의 무게가 엄중하다. 한때 번역가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잠깐 한 적이 있었지만, 그 생각을 접었던 것을 다행으로 여긴다. 번역가는 나 같은 아무나가 절대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는 것을 또 한번 다시 깨달았다.
그런 의미에서 은유 작가의 정제된, 다듬어진, 성실한 문장들이 좋았다. 우리 말의 아름다움과 그 엄정한 문법으로 은유 작가의 인터뷰어로서의 태도와 자세에 대한 이야기들을 듣는 과정이 사람을 인터뷰하고 그 내용을 기록하는 일의 무게와 가치를 일깨워줬다. 한 사람을 만나기 위해 그 사람과의 시간을 공유하기 위해 작가가 기울여야 하는 노력이 어떠한 것인지, 그 에너지가 얼마나 깊고 넓은 것인지.
나도 살며 어떤 일에 매너리즘에 빠져 실수하지 않았나 돌아보게 된다.